"탕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2번째 줄: 12번째 줄:
  
 
온라인 다기 쇼핑 사이트
 
온라인 다기 쇼핑 사이트
 +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파일:Company.jpg]]
 
[[파일:Company.jpg]]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
==관련 문서==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
|[[탕관]]||는 ~와 같이쓰인다.||[[다관]]
 +
|}
  
 
==기여==
 
==기여==
 
*[[전문구]]: 처음 작성
 
*[[전문구]]: 처음 작성
 +
*[[황문이]]: 텍스트 추가, 이미지 추가, 하이퍼 링크 추가
  
 
[[분류:전문구]]
 
[[분류:전문구]]
 +
[[분류:황문이]]
 
[[분류:한국의 전통차]]
 
[[분류:한국의 전통차]]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2016년 6월 20일 (월) 00:01 기준 최신판

width=100px and height=100px

정의

탕관(湯罐)

보통 물을 끓이는 다구를 탕관이라 한다. 탕관의 재료는 금, 은, 동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렇다하지만, 쇠와 동으로 만들어진 탕관은 녹이 슬기 쉬워 관리가 어렵고, 금과 은은 비싸기 때문에 곱돌솥[1]으로 만든 탕관을 많이 쓴다한다. 곱돌솥로 만든 탕관은 열의 전도가 늦는 대신 물이 빨리 식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는데, 대표적으로 다리가 달린 다정(茶鼎), 다리가 없는 다부(茶釜), 주전자형의 철병(鐵甁) 등이 있다.

탕관에서 물을 끓일 때, 그 소리가 맑을 수록 좋은 탕관이라고 한다. '물은 차의 어머니요, 차관은 차의 아버지이다.'라는 격언이 있듯이 차문화에서는 중요한 다구 중 하나이다.

브랜드

해성요

온라인 다기 쇼핑 사이트 http://www.hsyo.co.kr/shop/main/index.php

Company.jpg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탕관 는 ~와 같이쓰인다. 다관

기여

  • 전문구: 처음 작성
  • 황문이: 텍스트 추가, 이미지 추가, 하이퍼 링크 추가

각주

  1. 곱돌로 만든 자그마한 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