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프레임 ==정의== 찻잎의 크기와 여리고 굳은 정도에 차의 분류 방법으로써 세작(細雀)과 대작(大雀:왕작) 중간 크기의 찻잎을...)
 
(관련 문서)
 
(2명의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M4.jpg|프레임]]
 
[[파일:M4.jpg|프레임]]
 
==정의==
 
==정의==
찻잎의 크기와 여리고 굳은 정도에 차의 분류 방법으로써 세작(細雀)과 대작(大雀:왕작) 중간 크기의 찻잎을 덖어서(볶듯이 익혀서) 만든 덖음차를 가리킨다. 세작에 비해 질이 떨어지고 값이 싸지만 대작보다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보통차라고도 한다. 대작과 함께 시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녹차이다. 수확시기는 세작 생산이 끝난 뒤인 입하(立夏) 뒤부터 음력 5월 중순까지이다. 창(槍:처음에 돋는 움)과 기(旗:피기 시작된한 잎)가 펴진 찻잎을 1~2장을 따 만들었다. 명차(銘茶) 여름차 중차(中茶) 두물차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
찻잎의 크기와 여리고 굳은 정도에 차의 분류 방법으로써 [[세작]](細雀)과 대작(大雀:왕작) 중간 크기의 찻잎을 덖어서(볶듯이 익혀서) 만든 덖음차를 가리킨다. [[세작]]에 비해 질이 떨어지고 값이 싸지만 대작보다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보통차라고도 한다. 대작과 함께 시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녹차이다. 수확시기는 [[세작]] 생산이 끝난 뒤인 입하(立夏) 뒤부터 음력 5월 중순까지이다. 창(槍:처음에 돋는 움)과 기(旗:피기 시작된한 잎)가 펴진 찻잎을 1~2장을 따 만들었다. 명차(銘茶) 여름차 중차(中茶) 두물차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세작보다 더 자란 잎을 따 만든 차이기 때문에 처음 마실 때는 강한 맛이 나지만 뒷맛이 떫다. 그러나 애호가들이 주로 찾는 세작이나 우전(雨前)보다 질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녹차 고유의 색깔과 향기를 즐길 수 있는 차라는 평가를 받는다. 광합성의 영향으로 찻잎에 엽록소가 많다. 따라서 차 색깔은 자연 녹차와 비슷한 연두색을 띠고 은은한 향기가 난다. 비타민과 폴리페놀 등을 많이 함유하여 상쾌한 맛이 난다.  
+
[[세작]]보다 더 자란 잎을 따 만든 차이기 때문에 처음 마실 때는 강한 맛이 나지만 뒷맛이 떫다. 그러나 애호가들이 주로 찾는 [[세작]]이나 [[우전차]](雨前)보다 질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녹차 고유의 색깔과 향기를 즐길 수 있는 차라는 평가를 받는다. 광합성의 영향으로 찻잎에 엽록소가 많다. 따라서 차 색깔은 자연 녹차와 비슷한 연두색을 띠고 은은한 향기가 난다. 비타민과 폴리페놀 등을 많이 함유하여 상쾌한 맛이 난다.
  
 
==사진==
 
==사진==
11번째 줄: 11번째 줄:
  
 
==효능==
 
==효능==
작설차를 두고 [동의보감]에서는 기를 내리게 하고, 뱃속의 오래된 음식을 소화시키며, 머리를 맑게 해주고 이뇨 작용을 해 당뇨를 치료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된 세작의 경우 특히 그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각종 세계 차 콘테스트에서 수상을 하거나 호평을 받은 사례가 많다. 세작은 적당한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인해 한국인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녹차 중에 하나이다.
 
 
[[파일:agasdvsdcTLS.jpg]]
 
 
 
===콜레스테롤 배출===
 
===콜레스테롤 배출===
 
콜레스테롤 배출을 도와 혈관 내에 콜레스테롤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콜레스테롤 배출을 도와 혈관 내에 콜레스테롤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23번째 줄: 19번째 줄:
 
===숙취해소===
 
===숙취해소===
 
아스파라긴산,아라닌, 카테킨, 아미노산 등이 있어 숙취해소에 좋다.
 
아스파라긴산,아라닌, 카테킨, 아미노산 등이 있어 숙취해소에 좋다.
 +
 +
===다이어트===
 +
지방분해에 탁월하여 다이어트에 좋다.
  
 
==제품==
 
==제품==
 
===브랜드===
 
===브랜드===
[[화개제다]], [[쌍계명차]] 및 [[오설록]]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세작을 제공하고 있다.
+
녹차원 및 [[오설록]]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세작을 제공하고 있다.
  
 
<gallery>
 
<gallery>
파일:Se5.jpg|[[화개제다]]
+
파일:M6.jpg|[[녹차원]]
파일:Se6.jpg|[[쌍계명차]]
+
파일:Ose.png|[[오설록]]
+
  
 
</gallery>
 
</gallery>
  
 
===원산지===
 
===원산지===
[[대한다원]] 및 [[봇재다원]] 등 다양한 원산지들이 세작(작설차) 제품를 제공하고 있다. 이중 봇재다원에서는 세작 무료시음이 가능하다.
+
[[대한다원]] 등의 원산지가 중작을 재배하고 있다.
 
+
 
<gallery>
 
<gallery>
파일:Se7.jpg|[[대한다원]]
+
파일:M5.jpg|[[대한다원]]
 
</gallery>
 
</gallery>
  
47번째 줄: 43번째 줄: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세작]]||은 ~에서 제공하고 있다.||[[화개제다]]
+
|[[중작]]||은 ~에서 제공하고 있다.||[[오설록]]
 
|-
 
|-
|[[세작]]||은 ~에서 제공하고 있다.||[[쌍계명차]]
+
|[[중작]]||은 ~에서 생산하고 있다.||[[대한다원]]
 
|-
 
|-
|[[세작]]||은 ~에서 생산하고 있다.||[[대한다원]]
+
|[[중작]]||은 ~와 다 녹차의  한 종류이다.||[[세작]]
 
|-
 
|-
|[[세작]]||은 ~에서 생산하고 있다.||[[봇재다원]]
+
|[[중작]]||은 ~와 다 녹차의  한 종류이다.||[[우전차]]
 
+
 
|}
 
|}
  
 
==기여==
 
==기여==
 
*[[정유정]]: 처음 작성
 
*[[정유정]]: 처음 작성
*[[황문이]]: 이미지 추가
+
*[[황문이]]: 하이퍼 링크 구현 추가
  
 
[[분류:정유정]]
 
[[분류:정유정]]

2016년 6월 18일 (토) 21:05 기준 최신판

M4.jpg

정의

찻잎의 크기와 여리고 굳은 정도에 차의 분류 방법으로써 세작(細雀)과 대작(大雀:왕작) 중간 크기의 찻잎을 덖어서(볶듯이 익혀서) 만든 덖음차를 가리킨다. 세작에 비해 질이 떨어지고 값이 싸지만 대작보다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보통차라고도 한다. 대작과 함께 시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녹차이다. 수확시기는 세작 생산이 끝난 뒤인 입하(立夏) 뒤부터 음력 5월 중순까지이다. 창(槍:처음에 돋는 움)과 기(旗:피기 시작된한 잎)가 펴진 찻잎을 1~2장을 따 만들었다. 명차(銘茶) 여름차 중차(中茶) 두물차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세작보다 더 자란 잎을 따 만든 차이기 때문에 처음 마실 때는 강한 맛이 나지만 뒷맛이 떫다. 그러나 애호가들이 주로 찾는 세작이나 우전차(雨前)보다 질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녹차 고유의 색깔과 향기를 즐길 수 있는 차라는 평가를 받는다. 광합성의 영향으로 찻잎에 엽록소가 많다. 따라서 차 색깔은 자연 녹차와 비슷한 연두색을 띠고 은은한 향기가 난다. 비타민과 폴리페놀 등을 많이 함유하여 상쾌한 맛이 난다.

사진

M1.jpg M2.jpg M3.jpg

효능

콜레스테롤 배출

콜레스테롤 배출을 도와 혈관 내에 콜레스테롤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항암효과

녹차에는 카테킨과 비타민C가 풍부해 암예방, 치료에 도움이 된다.

숙취해소

아스파라긴산,아라닌, 카테킨, 아미노산 등이 있어 숙취해소에 좋다.

다이어트

지방분해에 탁월하여 다이어트에 좋다.

제품

브랜드

녹차원 및 오설록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세작을 제공하고 있다.

원산지

대한다원 등의 원산지가 중작을 재배하고 있다.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중작 은 ~에서 제공하고 있다. 오설록
중작 은 ~에서 생산하고 있다. 대한다원
중작 은 ~와 다 녹차의 한 종류이다. 세작
중작 은 ~와 다 녹차의 한 종류이다. 우전차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