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인물 정보 |사진 = |이름 = 이성계 |출생 = 1335년 |사망 = 1408년 |성별 = 남자 |국적 = 고려, 조선 |직업 = 왕 |재위 = 1392년∼1398년 }} ==생애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인물 정보
 
|사진 =  
 
|사진 =  
12번째 줄: 11번째 줄:
  
 
==생애와 활동==
 
==생애와 활동==
*[정의]
+
*'''정의'''
 
1335(충숙왕 복위 4)∼1408(태종 8). 조선 제1대 왕.
 
1335(충숙왕 복위 4)∼1408(태종 8). 조선 제1대 왕.
  
  
*[개설]
+
*'''개설'''
 
재위 1392∼1398.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이성계(李成桂)이다. 처음 자는 중결(仲潔)이다. 호는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이다. 등극 후에 이름을 이단(李旦), 자를 군진(君晉)으로 고쳤다. 화령부(和寧府: 영흥)에서 태어났다.
 
재위 1392∼1398.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이성계(李成桂)이다. 처음 자는 중결(仲潔)이다. 호는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이다. 등극 후에 이름을 이단(李旦), 자를 군진(君晉)으로 고쳤다. 화령부(和寧府: 영흥)에서 태어났다.
 
이자춘(李子春)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최한기(崔閑奇)의 딸이다. 비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이다. 계비는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담대했다. 특히 활솜씨가 뛰어났다.
 
이자춘(李子春)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최한기(崔閑奇)의 딸이다. 비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이다. 계비는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담대했다. 특히 활솜씨가 뛰어났다.
그의 선조 이안사(李安社)가 원나라의 지배 아래 여진인이 살고 있던 남경(南京: 간도지방)에 들어가 원나라의 지방관이 된 뒤부터 차차 그 지방에서 기반을 닦기 시작했다. 이안사의 아들 이행리(李行里), 손자 이춘(李椿)이 대대로 두만강 또는 덕원지방의 천호(千戶)로서 원나라에 벼슬했다.
+
그의 선조 이안사(李安社)가 [[원나라]]의 지배 아래 여진인이 살고 있던 남경(南京: 간도지방)에 들어가 원나라의 지방관이 된 뒤부터 차차 그 지방에서 기반을 닦기 시작했다. 이안사의 아들 이행리(李行里), 손자 이춘(李椿)이 대대로 두만강 또는 덕원지방의 천호(千戶)로서 원나라에 벼슬했다.
 
이자춘도 원나라의 총관부(摠管府)가 있던 쌍성(雙城)의 천호로 있었다. 이자춘은 1356년(공민왕 5) 고려의 쌍성총관부 공격 때 내응해 원나라 세력을 축출하는 데 큰 공을 세우고 고려의 벼슬을 받았다. 이자춘은 1361년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되어 동북면(東北面) 지방의 실력자가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03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태조]</ref>
 
이자춘도 원나라의 총관부(摠管府)가 있던 쌍성(雙城)의 천호로 있었다. 이자춘은 1356년(공민왕 5) 고려의 쌍성총관부 공격 때 내응해 원나라 세력을 축출하는 데 큰 공을 세우고 고려의 벼슬을 받았다. 이자춘은 1361년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되어 동북면(東北面) 지방의 실력자가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03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태조]</ref>
  
27번째 줄: 26번째 줄:
  
 
==관련 항목==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이문서  || 관계 || 관련 내용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
| [[조선 태조]] || A는 B의 주인이다.|| [[구리 건원릉]]
 
|-
 
|-
| 조선 태조 || ~에 무덤이 있다. || 구리 건원릉
+
| [[조선 태조]] || A는 B의 주인이다. ||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
 
|-
 
|}
 
|}
40번째 줄: 4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김사현]]
+
[[분류:김사현]] [[분류:아차산성]]

2016년 6월 9일 (목) 18:59 기준 최신판


생애와 활동

  • 정의

1335(충숙왕 복위 4)∼1408(태종 8). 조선 제1대 왕.


  • 개설

재위 1392∼1398.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이성계(李成桂)이다. 처음 자는 중결(仲潔)이다. 호는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이다. 등극 후에 이름을 이단(李旦), 자를 군진(君晉)으로 고쳤다. 화령부(和寧府: 영흥)에서 태어났다. 이자춘(李子春)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최한기(崔閑奇)의 딸이다. 비는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이다. 계비는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담대했다. 특히 활솜씨가 뛰어났다. 그의 선조 이안사(李安社)가 원나라의 지배 아래 여진인이 살고 있던 남경(南京: 간도지방)에 들어가 원나라의 지방관이 된 뒤부터 차차 그 지방에서 기반을 닦기 시작했다. 이안사의 아들 이행리(李行里), 손자 이춘(李椿)이 대대로 두만강 또는 덕원지방의 천호(千戶)로서 원나라에 벼슬했다. 이자춘도 원나라의 총관부(摠管府)가 있던 쌍성(雙城)의 천호로 있었다. 이자춘은 1356년(공민왕 5) 고려의 쌍성총관부 공격 때 내응해 원나라 세력을 축출하는 데 큰 공을 세우고 고려의 벼슬을 받았다. 이자춘은 1361년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되어 동북면(東北面) 지방의 실력자가 되었다.[1]

클래스

  • 인물


관련 항목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조선 태조 A는 B의 주인이다. 구리 건원릉
조선 태조 A는 B의 주인이다.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기여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