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황룡사 조영(2023-02실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관련 자료==
 
==관련 자료==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gallery>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윤중식 8.15해방 스케치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7443&dsid=000000000002&gubun=search 기록화제작상황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3Kingdoms.jpg|Goguryeo, Baekje, Silla, and Gaya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윤중식 8.15해방 스케치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64828&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전시회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EastAsia-500.jpg|North East Asia, AD 5C
청일전쟁1.jpg|청일전쟁(1894~1895)
+
파일:황룡사터.jpg|황룡사 터
청일전쟁2.jpg|청일전쟁(1894~1895)
+
파일:선덕여왕(r632-637).jpg|선덕여왕 r. 632-637
명성왕후1.jpg|일본의 명성황후 시해(1895. 10. 8)
+
파일:김영택-황룡사9층목탑(펜화)-2016.jpg|김영택 「황룡사9층목탑」펜화 2016
명성왕후2.jpg|명성황후 영정
+
파일:황룡사탑조공국.jpg|황룡사 9층 목탑 각 층의 상징
러일전쟁1.jpg|일본과 중국이 조선을 유린하는 것을 경계하는 러시아
+
러일전쟁2.jpg|발틱함대의 이동
+
러일전쟁3.jpg|러일전쟁(1904~1905)
+
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 「동학교주 전봉준」 1976
+
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 「홍주성수복」 1975
+
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 「태백산전투」 1975
+
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1905. 11.) 1976
+
박기태-박성환순국(박성환)-1976s.jpg|박기태 「박승환의 자결순국」(1907. 8.) 1976
+
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1909. 10.) 1976
+
최대섭-독립선언-1976s.jpg|최대섭 「민족대표의 독립선언」(1919. 3.) 1976
+
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 「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1919. 3.) 1976
+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 「청산리싸움」(靑山里戰鬪, 1920. 10.) 1975
+
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 「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鳳梧洞戰鬪, 1920. 6.) 1976
+
 
</gallery>
 
</gallery>
  
==작가의 다른 작품==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윤중식-전쟁드로잉_1951_1.jpg|전쟁드로잉(1951)
 
파일:윤중식-귀로_1953.jpg|귀로(1953)
 
파일:윤중식-무제_1967.jpg|무제(1967)
 
파일:윤중식-풍경_1968.jpg|풍경(1968)
 
파일:윤중식-고목_1969.jpg|고목(1969)
 
파일:윤중식-호수_1973.jpg|호수(1973)
 
파일:윤중식-귀로_1973.jpg|귀로(1973)
 
파일:윤중식-아침_1973.jpg|아침(1973)
 
파일:윤중식-자매_1980.jpg|자매(1980)
 
파일:윤중식-군무A_1989.jpg|군무A(1989)
 
파일:윤중식-소나무_1991.jpg|소나무(1991)
 
파일:윤중식-뜨거운태양_1993.jpg|뜨거운 태양(1993)
 
  
  
</gallery>
+
==관련 항목 네트워크==
 +
[[Network:민족기록화W05.lst]]
 +
{{NetworkGraph | title=Network:민족기록화W05.lst}}
  
==8.15해방을 그린 다른 작가의 작품==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gallery>
 
  
==관련 항목 네트워크==
+
==XML 문서==
[[Network:민족기록화W11.lst]]
+
* [/sample/작품-황룡사의 조영.xml 작품-김대성과석굴암.xml]
{{NetworkGraph | title=Network:민족기록화W11.lst}}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3/201/sample/작가-이종상.xml 작가-이종상.xml]
  
==XML 문서==
 
* [http://digerati.aks.ac.kr/DhLab/2023/201/sample/작품-815해방.xml 작품-8.15해방.xml]
 
* [http://digerati.aks.ac.kr/DhLab/2023/201/sample/작가-윤중식.xml 작가-윤중식.xml]
 
  
==Reference==
 
<references/>
 
  
[[분류: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3]] [[분류:이한나]]
+
[[분류: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3]] [[분류:홍자현]]

2023년 10월 25일 (수) 12:59 판

김태 「황룡사 조영-신라 건축가들의 활동-」 1977]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3 민족기록화


작품

신라의 황룡사(皇龍寺)의 조영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 황룡사(皇龍寺): 신라 24대 임금인 진흥왕 14년(553)에 세운 절로, 궁궐을 짓다가 황룡(黃龍)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절로 지었다. 신라의 진흥왕 14년(553)에 공사를 시작하여 569년 담장을 완성하였고, 황룡사 9층 목탑은 선덕여왕 14년(645)에 완성되었다. 담장 완성에 17년이 걸렸고 주요 건물 완공까지 93년이 걸렸다. 고려 고종 25년(1238년)에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고 석조 일부와 터만 남아 있다. 현재 그 터인 황룡사지(皇龍寺址)가 사적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 황룡사 9층 목탑: 선덕 여왕 12년(643)에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자장 권유로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한 염원을 담아 9층 목탑을 세웠다. 탑은 80미터에 달하는 매우 거대한 규모로 모두 9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9개의 층은 신라 주변의 아홉 나라를 상징했다. 이후 황룡사 9층 목탑은 여러 차례 손질하여 고쳐가며 보전되었지만, 고려 고종(1283년)에 몽골이 침입하여 황룡사가 불타 사라질 때 함께 없어졌다.

(출처: 경주 황룡사지, 위키)


작가

김태(金泰): 대한민국의 서양화가로, 1931년 함경남도에서 출생하여 195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입선하였으며 10여 차례의 개인전과 수많은 단체전에 출품하였. 1967년 이후 1996년 퇴직할 때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후학을 양성하였다.[1]


관련 자료


관련 항목 네트워크

Network:민족기록화W05.lst



XML 문서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