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순이와 우일선선교사사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1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Story==
 
==Story==
  
메리 린리 테일러는 영국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고향 첼트넘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파리의 예비신부학교에 입학했으나, 그만두고 나와 연극 배우가 되었다. 1916년 메리는 극단을 따라 아시아 순회공연을 가게 되었고, 공연지 중 한 곳이었던 일본 요코하마에서 한국에서 온 미국인 사업가 앨버트 테일러를 만났다. 열 달 후 앨버트는 인도에서 공연중이던 메리를 찾아갔고, 두 사람은 봄베이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1917. 6. 15)<br/>
+
박순이는 1921년 1월 18일에 광주 양림동에서 박태삼과 박애신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부친 박태삼은 박순이가 태어난 1921년 만주로 떠났고 이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어머니 박애신은 1908년부터 로버트 M. 윌슨(우일선) 선교사의 일곱 자녀들을 돌보고 있었기에, 박순이도 태어나면서부터 윌슨 선교사의 자녀들과 함께 생활하게 되었다. 1926년 윌슨 선교사가  한센병 환자들을 위해 여수 애양원으로 자리를 옮기자 어머니 박애신 역시 윌슨 가족을 따라갔다. 자신의 사택을 직접 건축한 윌슨 선교사가 이사하면서 사택은 미국 남장로교회 한국선교부의 시설로 사용되었다. 박순이는 윌슨 선교사의 사택에서 계속 거주하면서 그곳에서 고아들을 보살피기 시작했다. 윌슨 선교사와 모친 박애신이 봉사하는 애양원에서 한센병에 감염되지 않은 아이들을 따로 격리하여 박순이에게 보냈기 때문이었다. 박순이가 처음 윌슨 선교사의 집에서 고아들을 돌보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선교사 브루스 커밍(Bruce Cumming)이 1953년 미국 남장로회 선교부에 제출한 보고서에도 기록되어 있다. 박순이는 수피아여학교에 재학했으나 4학년이던 1937년 신사참배 거부로 학교가 폐교되어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전남여고)에서 학업을 마쳤다. 미션스쿨이었던 수피아여학교의 다른 학생들이 대개 그러했듯이 박순이 역시 학교와 교회를 오가며 생활했다. 선교사 사택에서 자라면서 신문물인 피아노를 익혔던 박순이는 양림교회에서 피아노 반주를 했으며, 광주의 각종 음악 행사에서도 피아니스트로 활약했다. 박순이의 이런 음악적 소양은 결혼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1944년, 박순이는 일본 나가노의 도쿄음악학교에서 근대식 음악 교육을 받은 성악가 김생옥과 결혼했다. 부부는 1남 1녀를 낳고 유럽 유학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1948년 여수·순천 봉기 중 김생옥이 순천에서 좌익 혐의로 무고히 경찰에 총살되고 말았다. 시련에도 불구하고 박순이는 남을 돕는 사명을 잊지 않았다. 선교사 사택에서 고아들을 돌보던 박순이는 1952년 5월 1일 정식으로 미 남장로회 선교부와 계약하고 광주충현원을 설립하여 1953년 현재의 광주 양림동 210으로 이전하였다. 선교사와의 개인적인 친분으로 근대적 교육과 음악 소양을 습득할 수 있었던 박순이는 자신이 받은 혜택을 충현원이라는 근대적 보육기관의 설립을 통해 사회에 환원했다.
앨버트와 결혼하여 한국에 온 메리는 서대문 인근에 살면서, 남편과 함께 자주 인왕산 인근을 산책했다. 그러던 어느날 산 아래 마을의 우물가에서 노거수 은행나무를 발견하고, 훗날 집을 짓게 되면 이 나무 옆에 지으리라 결심한다. 몇 해를 기다란 끝에 테일러 부부는 그곳의 땅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고, 1923년에 그곳에 집을 짓기 시작했다. 집의 이름 딜쿠샤는 메리가 인도 순회공연 도중에 가 보았던 러크나우 지역의 유적지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인도의 딜쿠샤는 인도에 사는 영국인들의 별장으로 지어진 건물이었고, 메리의 할아버지가 인도인들과의 전쟁에서 전공을 세운 곳이기도 했다. 메리가 그곳에 갔을 때 건물은 이미 폐허가 되어 있었지만, ‘기쁜 마음의 궁전’이라는 힌디어 ‘딜쿠샤’의 뜻이 마음에 들었던 메리는 자신이 집을 짓게 되면 이 이름을 붙이겠다고 결심했다.
+
  
 
==Web Resource==
 
==Web Resource==
9번째 줄: 8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참고 || 국가문화유산포털 || 우일선선교사사택 ||  || http://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CHQcsz8K66KOBkuwyxyrjqTtwGc1NjzpgykCeQalzpA2HB2dprelCBf7vKIUcmWK.cpawas_servlet_engine1?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Kdcd=23&ccbaAsno=00150000&ccbaCtcd=24&ccbaCpno=2332400150000&ccbaGcode=CA&ccbaBcode=06&ccbaMcode=03&culPageNo=1&header=div&returnUrl=/heri/cul/culSelectDivList.do&pageNo=1_1_4_1
+
| 해설 || 인문360 || 광주 근현대 여성운동가 박순이 ||  ||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cid=2367449
 
|-
 
|-
 
| 해설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우일선선교사사택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074
 
| 해설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우일선선교사사택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074
 
|-
 
|-
| 해설 || 인문360 || 광주 근현대 여성운동가 박순이 ||  ||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cid=2367449
+
| 해설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광주양림교회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6749
 +
|-
 +
| 해설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265
 
|-
 
|-
 
| 해설 || 충현원 공식사이트 || 충현원이야기 ||  || http://cbh.or.kr/wp_2ds/01_01_02.html
 
| 해설 || 충현원 공식사이트 || 충현원이야기 ||  || http://cbh.or.kr/wp_2ds/01_01_02.html
29번째 줄: 30번째 줄: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SBN:9788997735334 || 단행본 || 메리 린리 테일러, 호박목걸이, 송영달 역 (책과함께, 2014) || yes24.com || http://www.yes24.com/Product/Goods/12322175
+
| eArticle:A362369 || 논문 || 유혜량. 「박순이 선생의 삶과 생명존중사상: 충현원의 설립과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역사연구』 1(1). 2018: 106–32.
 +
|| eArticle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62369
 +
|-
 +
| eArticle:A314054 || 논문 || 유혜량. 「사회복지역사연구회 창립과 충현원의 사회복지역사적 가치」. 『사회복지와 역사』 1. 2016: 68-74.
 +
|| eArticle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4054
 +
|-
 +
| https://doi.org/10.22254/kchs.2019.54.08 || 논문 || 이영식. 「광복 이후 광주 선교스테이션의 의료활동과 대 사회적 역할」. 『한국교회사학회지』 54. 2019: 277-312. ||  KoreaScholar || 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151
 +
|-
 +
| UCI:I410-ECN-0102-2018-100-003961395 || 논문 || 우승완·천득염. 「미국 남장로교 목포, 순천지역 선교기지 (Mission Station) 조성에 관한 고찰」. 『호남문화연구』 63. 2018: 195-221.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617531
 
|-
 
|-
| ISBN:9791186324783 || 도록 || 서울역사박물관, (기증유물특별전)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2018) || 서울역사박물관 || https://museum.seoul.go.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012&seq=20181227133541138
+
| UCI : G704-SER000014876.2009..46.006 || 논문 || 이영남. 「1920~30년대 한 ‘모던 보이’의 삶. 동아시아문화연구」 46. 2009: 143-17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91202
 
|-
 
|-
| RISS:A107996226 || 논문 || 최아름, 하우스 뮤지엄의 전시 소재와 의미에 대한 고찰: ‘딜쿠샤(Dilkusha)’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63호 (2021)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7996226
+
| || 박사학위논문 || 김성은. 『1920~30년대 미국유학 여성지식인의 현실인식과 사회활동』. 2011 || 서강대학교 || https://dcollection.sogang.ac.kr/dcollection/public_resource/pdf/000000047485_20230625205547.pdf
 
|-
 
|-
 
|}
 
|}

2023년 6월 25일 (일) 20:56 기준 최신판

Story

박순이는 1921년 1월 18일에 광주 양림동에서 박태삼과 박애신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부친 박태삼은 박순이가 태어난 1921년 만주로 떠났고 이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어머니 박애신은 1908년부터 로버트 M. 윌슨(우일선) 선교사의 일곱 자녀들을 돌보고 있었기에, 박순이도 태어나면서부터 윌슨 선교사의 자녀들과 함께 생활하게 되었다. 1926년 윌슨 선교사가 한센병 환자들을 위해 여수 애양원으로 자리를 옮기자 어머니 박애신 역시 윌슨 가족을 따라갔다. 자신의 사택을 직접 건축한 윌슨 선교사가 이사하면서 사택은 미국 남장로교회 한국선교부의 시설로 사용되었다. 박순이는 윌슨 선교사의 사택에서 계속 거주하면서 그곳에서 고아들을 보살피기 시작했다. 윌슨 선교사와 모친 박애신이 봉사하는 애양원에서 한센병에 감염되지 않은 아이들을 따로 격리하여 박순이에게 보냈기 때문이었다. 박순이가 처음 윌슨 선교사의 집에서 고아들을 돌보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선교사 브루스 커밍(Bruce Cumming)이 1953년 미국 남장로회 선교부에 제출한 보고서에도 기록되어 있다. 박순이는 수피아여학교에 재학했으나 4학년이던 1937년 신사참배 거부로 학교가 폐교되어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전남여고)에서 학업을 마쳤다. 미션스쿨이었던 수피아여학교의 다른 학생들이 대개 그러했듯이 박순이 역시 학교와 교회를 오가며 생활했다. 선교사 사택에서 자라면서 신문물인 피아노를 익혔던 박순이는 양림교회에서 피아노 반주를 했으며, 광주의 각종 음악 행사에서도 피아니스트로 활약했다. 박순이의 이런 음악적 소양은 결혼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1944년, 박순이는 일본 나가노의 도쿄음악학교에서 근대식 음악 교육을 받은 성악가 김생옥과 결혼했다. 부부는 1남 1녀를 낳고 유럽 유학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1948년 여수·순천 봉기 중 김생옥이 순천에서 좌익 혐의로 무고히 경찰에 총살되고 말았다. 시련에도 불구하고 박순이는 남을 돕는 사명을 잊지 않았다. 선교사 사택에서 고아들을 돌보던 박순이는 1952년 5월 1일 정식으로 미 남장로회 선교부와 계약하고 광주충현원을 설립하여 1953년 현재의 광주 양림동 210으로 이전하였다. 선교사와의 개인적인 친분으로 근대적 교육과 음악 소양을 습득할 수 있었던 박순이는 자신이 받은 혜택을 충현원이라는 근대적 보육기관의 설립을 통해 사회에 환원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인문360 광주 근현대 여성운동가 박순이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cid=2367449
해설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일선선교사사택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0074
해설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주양림교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6749
해설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265
해설 충현원 공식사이트 충현원이야기 http://cbh.or.kr/wp_2ds/01_01_02.html
해설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충현원 http://hostinfo.cafe24.com/overTraffic/503.html?rcehf.cafe24.com
참고 전남일보 한국 사회복지의 선구자 충현원 소개 http://jndomin.kr/article.php?aid=14362660336381045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eArticle:A362369 논문 유혜량. 「박순이 선생의 삶과 생명존중사상: 충현원의 설립과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역사연구』 1(1). 2018: 106–32. eArticle https://www.earticle.net/Article/A362369
eArticle:A314054 논문 유혜량. 「사회복지역사연구회 창립과 충현원의 사회복지역사적 가치」. 『사회복지와 역사』 1. 2016: 68-74. eArticle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4054
https://doi.org/10.22254/kchs.2019.54.08 논문 이영식. 「광복 이후 광주 선교스테이션의 의료활동과 대 사회적 역할」. 『한국교회사학회지』 54. 2019: 277-312. KoreaScholar 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151
UCI:I410-ECN-0102-2018-100-003961395 논문 우승완·천득염. 「미국 남장로교 목포, 순천지역 선교기지 (Mission Station) 조성에 관한 고찰」. 『호남문화연구』 63. 2018: 195-221. KISS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617531
UCI : G704-SER000014876.2009..46.006 논문 이영남. 「1920~30년대 한 ‘모던 보이’의 삶. 동아시아문화연구」 46. 2009: 143-176.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91202
박사학위논문 김성은. 『1920~30년대 미국유학 여성지식인의 현실인식과 사회활동』. 2011 서강대학교 https://dcollection.sogang.ac.kr/dcollection/public_resource/pdf/000000047485_20230625205547.pdf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