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VC-2203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같은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59번째 줄: 59번째 줄: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2.py?db=Class2022&project=study03B&key=KSVC-2203A"></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study03&key=KSVC-2203A"></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2.py?db=Class202project=study03B&key=KSVC-2203A'">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study03&key=KSVC-2203A'">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KSVC-2203A.episode&db=Class2022project=study03B'">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KSVC-2203A.episode&db=Class2022&project=study03'">  
 
</html>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22년 6월 26일 (일) 12:18 기준 최신판

#Links
KSVC-2203A	문효세자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조선_정조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의빈성씨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창덕궁_대은원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창덕궁_중희당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창덕궁_인정전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효창묘_조성(1786)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보양청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_상견례(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_수책례(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_책례(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_책봉례(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효창묘_조성(1786)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ref-문효세자보양청계병: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어제문효세자효창묘신도비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묘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효창묘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효창원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묘소도감의궤:1786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보양청계병: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보양청일기:1783-1785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책례계병: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어제문효세자효창묘신도비명첩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wr-문효세자보양청계병:1784	hasContextualElement
KSVC-2203A	wr-문효세자보양청계병:17842	hasContextualElement
#End

KSVC-2203.story


Theme

문효세자, 5세에 요절하여 효창원에 안장되다


Synopsis

정조임금에게는 아들이 2명 있었는데, 한명은 우리가 모두 알고 있는 조선의 23대 임금인 순조이며 또 다른 한명은 세자로 책봉되었지만 왕이 되기 전에 요절한 문효세자이다.

문효세자가 태어날 당시 정조는 나이 30살이 다 되어가도록 자식이 없었는데, 정부인 이었던 효의왕후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고 후궁인 원빈 홍씨는 이미 병으로 죽었으며 화빈 윤씨는 임신을 했다고 하여 산실청을 설치했지만 20개월이 되어도 출산소식이 없었다. 그런 복잡한 상황에서 승은 상궁인 성덕임(훗날 의빈성씨)[1]은 2차례 임신했었지만 2번의 유산 끝에 1782년(정조 6년) 9월 7일 출산에 성공하였고, 이것이 문효세자이다. 이에 정조는 자신이 ‘비로소 아비라는 호칭을 듣게 되었으니, 이것이 다행스럽다’ 라며 크게 기뻐하였다.[2]

왕실에서는 왕위 계승자들을 올바르게 양육하기 위하여 어린 나이일 때부터 교육기관인 보양청(輔養廳)을 설치하고 스승 보양관(輔養官)을 임명하였다. 보양관이 정해지면 바로 원자와 상견례(相見禮)를 실시하였는데, 상견례는 임금의 맏아들, 원자(元子)가 보양관과 처음 인사를 나누는 행사로 보양청에서 주관하는 가장 중요한 의례이다.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은 1784년 1월 문효세자가 창덕궁 대은원(戴恩院)에서 두 명의 보양관과 처음 만나 서로 인사하는 의식을 그린 궁중행사도이며, 『문효세자 보양청일기(輔養廳日記)』에는 1783년 11월 18일부터 1785년 4월 3일까지 보양청에서 있었던 일들이 매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조선의 왕세자는 다음 왕위를 계승할 후계자였기에 그 위상을 높이는 각종 통과의례가 있었는데, 대표적인 통과의례는 책봉, 입학, 관례, 가례다. 책례는 책봉 의식으로 왕세자가 왕의 후계자가 되는 가장 중요한 공식 의식이며 왕이 세자로 책봉한다는 임명서를 수여하고, 세자가 이를 하사받는 의식이다. 왕세자 책봉을 위해서는 책례도감이 구성되어 책봉에 따른 의장과 물품을 준비하고, 행사가 끝나면 책례도감의궤를 작성하였다.

문효세자는 조선왕조 역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운 어린 나이인 3세(22개월, 만 1세)에 조선의 왕세자로 책봉되었는데, 이는 정조의 나이가 30대였기 때문에 신하들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3]본래 책봉례와 수책례는 동시에 진행되지만, 문효세자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책봉례에 참석할 수 없어서 별도로 치러진 것으로 추측된다. 책봉례는 1784년 8월 1일 정전인 창덕궁 인정전에서 정조와 대신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으며, 이어 임금의 사자들이 책봉 교명과 책인을 가지고 동궁 중희당으로 이동하고 왕세자는 책봉례 동안 중희당에서 대기하다가 사자들이 가지고 온 교명과 책인을 인도받는 수책례가 진행되었다. 이때 어린 문효세자 대신 세자시강원의 궁료들이 교명과 책인을 받는 역할을 맡았고, 문효세자는 이후 사배례를 올렸다. 이 책봉례와 수책례의 모습은 《문효세자책례계병》에 각각 묘사되어있으며,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에도 기술되어 있다.

정조는 문효세자를 위해 새로운 왕세자궁인 중희당을 짓고 현판을 직접 썼다. 그러나 1786년 문효세자는 홍역에 걸렸고 그해(1786년) 5월 문효세자는 5세(만 3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더불어 같은 해 9월 의빈 성씨마저 의문의 죽음을 맞이[4]하였다.

이에 정조는 궁궐 가까운 곳[5]에 ‘문효세자와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의 원소를 조성하며 정조는 ‘효성스럽고 번성하다’라는 의미로 '효창묘'라고 명명하였고, 묘소 조성에 관해서는 《문효세자묘소도감의궤(文孝世子墓所都監儀軌)》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정조는 효창묘에 몇 번이나 거둥(왕이 행차하는 것)하였기 때문에 용산구 효창동에 있는 고개의 이름을 ‘거둥 고개’라고 불렀다고 한다.[6] 특히 효창원의 아기 석호는 정조의 애달픔이 들어있는 것으로 앙증맞고 귀엽고 생동감을 느끼게 하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정조가 쓴 ‘어제문효세자효창묘신도비’에는 ‘꿈인가, 참인가, 꿈이라 하여 반드시 꿈도 아닐 것이고 참이라 하여 반드시 참도 아닐 것이다’라며 사랑하는 문효세자를 잃고 슬픔에 괴로워하는 자신의 애통한 심경을 서술했다.

효창묘는 고종황제 때에 효창원으로 승격되었다.


Storytelling Network


주석

  1. 출산 이후 정조는 승은 상궁에게 정식 후궁 인 ‘소용’의 첩지를 내렸고, 1783년 2월 19일 소용 성씨에게 의빈(宜嬪)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2. 『정조실록』 정조 6년(1782) 9월 7일
  3. 『정조실록』 정조 8년(1784) 7월 2일
  4. 정조실록 22권, 정조 10년 (1786년) 9월 14일
  5. 효창원은 서소문 밖에서 2km 떨어져있다.
  6. 「거둥 고개」, 서울지명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72XXXXXX8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