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1 이효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 ! | + | ! 구역 || 공간 |
|- | |-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효창공원_서쪽 효창공원 서쪽] | + | ! rowspan="3"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효창공원_서쪽 효창공원 서쪽]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백범김구_묘역 백범김구 묘역] | ||
+ | |-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이봉창의사_상 이봉창의사 상] | ||
+ | |-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반공투사_위령탑 반공투사 위령탑] | ||
+ | |- | ||
+ | ! rowspan="2"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효창공원_중앙 효창공원 중앙]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삼의사_묘역 삼의사 묘역] | ||
+ | |-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의열사 의열사] | ||
+ | |- | ||
+ | ! rowspan="2"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효창공원_동쪽 효창공원 동쪽]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임정요인_묘역 임정요인 묘역] | ||
+ | |-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원효대사_상 원효대사 상] | ||
|} | |} | ||
또한 아래와 같이 효창공원 내 안장된 인물 8인에 대한 위키페이지를 구성하였다. | 또한 아래와 같이 효창공원 내 안장된 인물 8인에 대한 위키페이지를 구성하였다.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백정기|백정기 의사] |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이동녕|이동녕 선생] | |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이봉창|이봉창 의사]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조성환|조성환 선생]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차리석|차리석 선생]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안중근|안중근 의사]<ref>안중근 의사의 묘는 유해를 아직 발굴하지 못하여 가묘이다.</ref>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윤봉길|윤봉길 의사] |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김구|백범 김구 선생] | ||
+ | 디지털 큐레이션 방법은 전자지도, 사진, 동영상, VR,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 등을 이용하였으며, 장소감(물리적인 공간과 함께 그 장소에 깃든 문화적 사회적 의미가 함께 어우러져서 만들어 내는 감성)<ref>김현, 『인문정보학의 모색』, 2012.12. 북코리아.</ref>을 구현하여 독자가 문맥 속에서 효창공원에 대한 인문지식을 파악하여 효창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 ||
==='''VR, 사진, 전자지도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통한 장소감 구현'''=== | ==='''VR, 사진, 전자지도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통한 장소감 구현'''=== | ||
+ | <자료1>과 같이 전자지도(Map)를 이용하여 효창공원의 지리적·공간적 특성을 시각화하여 효창공원이 삶의 터전 한 중간에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지도를 통하여 효창공원과 그 공간들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하여 지리적 특성 뿐 아니라 공간감(효창공원이 얼마나 큰 공간인지)과 지리감(각 공간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을 도모하였다. | ||
+ | |||
+ | <자료1> 전자지도를 통한 효창공원 일원의 시각화 | ||
+ | <html> | ||
+ | <iframe width="96%" height="740px" src=" http://dh.aks.ac.kr/~sandbox/cgi-bin/Cesium/Apps/Sandcastle/dh2021/CesiumSpaceV3W.py?account=my9univ&xml=효창공원.xml"></iframe> | ||
+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 http://dh.aks.ac.kr/~sandbox/cgi-bin/Cesium/Apps/Sandcastle/dh2021/CesiumSpaceV3W.py?account=my9univ&xml=효창공원.xml'"> | ||
+ | </html> | ||
+ | |||
+ | 그리고 <자료2>와 같이 각 구역별 위키페이지에는 효창공원의 VR을 구현하여 실제로 방문한 듯한 효과를 주어 장소감을 도모하였다. 해당 VR은 실제 동선을 고려하여 갈림길에서는 방문할 곳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몰입감을 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VR 내 8개의 공간에는 위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배치하여 클릭 시 해당 공간의 위키페이지로 이동하여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
+ | |||
+ | 공간에 대한 위키페이지는 장소의 VR과 사진, 인물에 대한 주요 업적만을 간략하게 기재하는 대신, 인물 위키페이지를 생성하였다. <ref>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함</ref> | ||
+ | |||
==='''인물의 위키페이지를 통한 인문학적 함의 구현'''=== | ==='''인물의 위키페이지를 통한 인문학적 함의 구현'''=== | ||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 ||
32번째 줄: | 65번째 줄: |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사회적 의의 및 가치'''===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사회적 의의 및 가치'''=== |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개인적 의의 및 가치'''===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개인적 의의 및 가치'''===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 | ||
[[분류: 2021 멀티미디어 콘텐츠]] | [[분류: 2021 멀티미디어 콘텐츠]] |
2021년 6월 22일 (화) 16:19 판
인문정보학과 석사1학기 20212702 이효림 |
목차
‘효창공원 일원’ 디지털 큐레이션의 구성
2021년 1학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업의 일환으로 효창공원 일원에 관한 디지털 큐레이션을 제작하였다. 이 ‘효창공원 일원’디지털 큐레이션은 효창공원을 3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효창공원 내 7개의 공간에 대한 위키 페이지를 구성했으며, 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구역 | 공간 |
---|---|
효창공원 서쪽 | 백범김구 묘역 |
이봉창의사 상 | |
반공투사 위령탑 | |
효창공원 중앙 | 삼의사 묘역 |
의열사 | |
효창공원 동쪽 | 임정요인 묘역 |
원효대사 상 |
또한 아래와 같이 효창공원 내 안장된 인물 8인에 대한 위키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디지털 큐레이션 방법은 전자지도, 사진, 동영상, VR,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 등을 이용하였으며, 장소감(물리적인 공간과 함께 그 장소에 깃든 문화적 사회적 의미가 함께 어우러져서 만들어 내는 감성)[3]을 구현하여 독자가 문맥 속에서 효창공원에 대한 인문지식을 파악하여 효창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VR, 사진, 전자지도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통한 장소감 구현
<자료1>과 같이 전자지도(Map)를 이용하여 효창공원의 지리적·공간적 특성을 시각화하여 효창공원이 삶의 터전 한 중간에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지도를 통하여 효창공원과 그 공간들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하여 지리적 특성 뿐 아니라 공간감(효창공원이 얼마나 큰 공간인지)과 지리감(각 공간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을 도모하였다.
<자료1> 전자지도를 통한 효창공원 일원의 시각화
그리고 <자료2>와 같이 각 구역별 위키페이지에는 효창공원의 VR을 구현하여 실제로 방문한 듯한 효과를 주어 장소감을 도모하였다. 해당 VR은 실제 동선을 고려하여 갈림길에서는 방문할 곳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몰입감을 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VR 내 8개의 공간에는 위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배치하여 클릭 시 해당 공간의 위키페이지로 이동하여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공간에 대한 위키페이지는 장소의 VR과 사진, 인물에 대한 주요 업적만을 간략하게 기재하는 대신, 인물 위키페이지를 생성하였다. [4]
인물의 위키페이지를 통한 인문학적 함의 구현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의의 및 가치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사회적 의의 및 가치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개인적 의의 및 가치
주석
- ↑ 기말 리포트를 축약하여 작성함.
- ↑ 안중근 의사의 묘는 유해를 아직 발굴하지 못하여 가묘이다.
- ↑ 김현, 『인문정보학의 모색』, 2012.12. 북코리아.
- ↑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