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색점증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1887년 만경전 정일진찬 즉 조대비(대왕대비전) 팔순기념 연회때 '대왕대비전 진어찬안(대왕대비께 올린 진어찬안'에 오른 음식 중 하나이...)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두텁떡(厚餠) : 찹쌀 · 거피팥 각 1말 8되, 대추 · 깐밤 각 4되, 꿀 5되, 깐잣 3홉, 계피가루(桂皮末) 2작(夕)<br /> | · 두텁떡(厚餠) : 찹쌀 · 거피팥 각 1말 8되, 대추 · 깐밤 각 4되, 꿀 5되, 깐잣 3홉, 계피가루(桂皮末) 2작(夕)<br /> | ||
− | small>출처: [[정해진찬의궤 찬품|<정해진찬의궤> 찬품편]]</small><br /> | + | <small>출처: [[정해진찬의궤 찬품|<정해진찬의궤> 찬품편]]</small><br /> |
* 음식정보 | * 음식정보 |
2021년 6월 10일 (목) 14:18 기준 최신판
1887년 만경전 정일진찬 즉 조대비(대왕대비전) 팔순기념 연회때 '대왕대비전 진어찬안(대왕대비께 올린 진어찬안'에 오른 음식 중 하나이다.
기록은 아래와 같다.
各色粘甑餠 一器 각색점즘병 1그릇
高一尺三寸.1척 3촌 (약 39cm)로 고인다.
白豆粘甑餠: 粘米 一斗八升, 去皮豆 一斗, 大棗•實生栗 各四升
菉豆粘甑餠: 粘米 一斗八升, 菉豆 一斗, 大棗•實生栗 各四升
辛甘草粘甑餠: 粘米 一斗八升, 辛甘草末 六升, 實荏子 一斗, 大棗•實生栗•淸 各四升, 實栢子 三合
炒豆粘甑餠: 粘米 一斗八升, 去皮豆 一斗, 大棗•實生栗•淸 各四升
荏子粘甑餠: 粘米 一斗八升, 實荏子 一斗, 大棗實•生栗•淸 各四升
厚餠: 粘米•去皮豆 各一斗八升, 大棗•實生栗 各四升, 淸 五升, 實栢子 三合, 桂皮末 二夕
· 거피팥차시루떡(白豆粘甑餠): 찹쌀가루에 대추 깐 밤을 섞고 거피팥 고물로 찐 떡.찹쌀 1말 8되, 거피팥 1말, 대추 · 깐밤 각 4되
· 녹두차시루떡(菉豆粘甑餠) : 찹쌀 1말 8되, 녹두 1말, 대추 · 깐밤 각 4되
· 승검초차시루떡(辛甘草粘甑餠) : 찹쌀 1말 8되, 승검초가루 6되, 실깨 1말, 대추 · 깐밤 · 꿀 각 4되, 깐잣 3홉
· 볶은팥차시루떡(炒豆粘甑餠) : 찹쌀 1말 8되, 거피팥 1말, 대추 · 깐밤 · 꿀 각 4되
· 흰깨차시루떡(荏子粘甑餠) : 찹쌀 1말 8되, 실깨 1말, 대추 · 깐밤 · 꿀 각 4되
· 두텁떡(厚餠) : 찹쌀 · 거피팥 각 1말 8되, 대추 · 깐밤 각 4되, 꿀 5되, 깐잣 3홉, 계피가루(桂皮末) 2작(夕)
출처: <정해진찬의궤> 찬품편
- 음식정보
음식 | infoUrl | |
---|---|---|
시루떡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347 | |
두텁떡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7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