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41번째 줄: 141번째 줄:
 
==='''클래스'''===
 
==='''클래스'''===
 
:아래에는 일부만 나열한 것이고, 전체 목록은 [[경찰제복 : 지식관계망-클래스]]를 참고하면 된다.
 
:아래에는 일부만 나열한 것이고, 전체 목록은 [[경찰제복 : 지식관계망-클래스]]를 참고하면 된다.
{| style=text-align:"top" cellpadding="5"  
+
==='''클래스'''===
 +
{| style=text-align:"top" cellpadding="1"  
 
|
 
|
 
* Actor-단체 : 경무청
 
* Actor-단체 : 경무청
147번째 줄: 148번째 줄:
 
* Actor-단체 : 복설 경무청
 
* Actor-단체 : 복설 경무청
 
* Actor-단체 : 경시청
 
* Actor-단체 : 경시청
* Actor-단체 : 궁내경찰서
 
* Actor-단체 : 궁내경무서
 
* Actor-단체 : 경위원
 
* Actor-인물 : 경무사
 
* Actor-인물 : 경무관
 
* Actor-인물 : 총순
 
* Actor-인물 : 순검
 
||
 
 
* Clothing-복장 : 상복(常服)
 
* Clothing-복장 : 상복(常服)
 
* Clothing-복장 : 예복(禮服)
 
* Clothing-복장 : 예복(禮服)
* Clothing-복장 : 상장(常裝)
+
* Clothing-복장 : 동복(冬服)
* Clothing-복장 : 상복(常服)
+
* Clothing-복장 : 하복(夏服)
* Clothing-복장 : 예복(禮服)
+
* Clothing-복장 : 상장(常裝)
+
* Clothing-복식 : 상의(常衣)
+
* Clothing-복식 : 상의(上衣)
+
* Clothing-복식 : 하의(夏衣)
+
* Clothing-복식 : 바지(夏袴)
+
 
* Clothing-복식 : 상장(喪章)
 
* Clothing-복식 : 상장(喪章)
||
+
* Clothing-복식 : 경관표상식<br /><br />
 
+
|
 +
* Object-물품 : 육혈포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5%AE%98%E5%A0%B1&ridx=0&tot=675 『관보(官報)』]</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5%AE%98%E5%A0%B1&ridx=0&tot=675 『관보(官報)』]</span>
 
* Record-문헌 : 『칙령』
 
* Record-문헌 : 『칙령』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C%A3%BC&ridx=2&tot=184 『의주(儀註)』]</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C%A3%BC&ridx=2&tot=184 『의주(儀註)』]</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e5%a5%8f%e6%9c%ac&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6297 『주본(奏本)』]</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e5%a5%8f%e6%9c%ac&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6297 『주본(奏本)』]</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 Object-물품 : 육혈포
 
* Object-물품 : 도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
* Concept-개념용어 : 경찰등장 의궤 반차도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관제]]
||
+
|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관제]]
 +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복제]]
 +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복제]]
 +
* Concept-개념용어 : 국장
 +
* Concept-개념용어 : 존승·추존
 +
* Concept-개념용어 : 어진
 +
|-
 +
|colspan="3" |
 
* Record-의궤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Record-의궤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Record-의궤 : (효정왕후)국장도감의궤
+
* Record-의궤 : (고종)대례의궤
* Record-의궤 : (순명왕후)국장도감의궤
+
* Record-의궤 : (태조장조정조순조)추존시의궤
 +
* Record-의궤 : 순종순종비가례도감의궤
 +
* Record-의궤 : (헌의대원왕〮순목대원비완〮효헌왕의왕비)추봉책봉의궤<br />
 
* Record-반차도 : 빈전이봉경운궁시반차도
 
* Record-반차도 : 빈전이봉경운궁시반차도
* Record-반차도 : 명성황후발인반차도
+
* Record-반차도 : 태황제상호책보 예궐반차도
* Record-반차도 : 대행태후발인반차도
+
* Record-반차도 : 완효헌왕추봉시 책인 예궐반차도
* Record-반차도 : 순명비발인반차도
+
* Record-반차도 : 의왕비책봉시 금책 예궐반차도
 +
* Record-반차도 : 헌의대원왕〮순목대원비추봉시 금인 예궐반차도
 
|}
 
|}
  

2020년 11월 22일 (일) 03:08 판

2020년 2학기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 강좌명 : 2020년 2학기 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 소속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 담당교수 : 서동신
  • 수업방식 : 온라인 ZOOM을 활용한 수업방식과 대면수업(대학원동 305호)
  • 개인주제 : 디지털 콘텐츠 편찬 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개인주제는 본인의 석사학위 논문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1]을 활용하고자 한다.


제목: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개요

  • 조선의 좌·우포도청을 합쳐 1894년 7월 14일 경무청 설립되고, 군인의 복식을 시작으로 1895년 4월 19일에는 최초의 서구식 경찰 제복을 제정한다. 이후부터의 반차도는 서구식 복식의 군인과 경찰이 등장하면서 전과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된다.
  • 이에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궤에 수록된 반차도의 의례에서 경찰이 착용한 복식을 고증하고자 한다.

내용

2020년 2학기 진행계획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

  • 근대적 경찰제도는 크게 네 단계로 나뉘는데 1894년 경무청(警務廳) 체제로 시작되어, 1900년에 경부(警部) 체제로 바뀌며, 1902년에 경무청이 복설되고, 1907년 경시청(警視廳)이 설치된다.
  • 최초의 경찰 제복은 상복(常服)으로 1895년 4월 19일 제정되고, 예복은 1899년 3월18일 제정된다.
경무청 체제 : 1894.07.14. ~ 1900.06.13.
경부 체제 : 1900.06.13. ~ 1902.02.18.
복설 경무청 체제 : 1902.02.18. ~ 1907.07.29.


이후 진행예정

경시청 체제 : 1907.07.29. ~ 일제강점기 이전

대한제국기 의궤 반차도에 나타난 경찰계급 및 복식

  • 의궤별 반차도 수록 현황
1895년부터 1910년까지의 대한제국기 의궤를 전수 조사한 결과 의례의 행렬이 확인되는 것은 총29건이었다. 이 중, 도상반차도가 수록된 의궤는 총19건이었으나, 경찰이 등장하지 않는 1건을 제외하면 총18건이 분석대상이다.
의례별로는 국장 3건, 부묘 1건, 존숭·추존 5건, 책례 4건, 어진 관련 2건, 대례(大禮:등극) 1건, 가례(嘉禮:혼례) 1건, 영건(營建) 1건이다. 총18건의 의궤에 수록된 세부의례 반차도는 총33건이다.
<표 5> 의궤별 내용 및 도상반차도 수록 현황
의례 성서연대 서명 세부의례 반차도 행사일자
국장
(國葬)
1898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① 빈전이봉경운궁시반차도 1896.09.04.(음 07.27)
② 명성황후 발인반차도 1897.11.21.(음 10.27)
대례
(大禮:등극)
1898 (고종)대례의궤 ① 대례시 황제옥보내출 예원구단반차도 1897.10.12.(음 09.17)
② 대례시 황후책보 예궐반차도
③ 대례시 황제옥보 황태자책보 예궐반차도
④ 대례시 명헌태후옥보 황태자비책보 예궐반차도 1897.10.14.(음 09.19)
존숭
추존
1899 『[태조장조정조순조]추존시의궤』 ① 태조고황제 신위판봉 예원구교시시반차도 1899.11.16.(음 10.14)
② 금차추존교시시책보 예태묘반차도
존숭
추존
1900 『[인조대왕추상·인렬왕후추상
장렬왕후추상·효종대왕추상
인선왕후추상황제가상
명헌태후가상·명성왕후추상]
존호도감의궤』
① 인조대왕·인렬왕후·장렬왕후·효종대왕·인선왕후추상존호책보 예태묘반차도 1900.02.04.(음 01.05)
② 명헌태후가상존호책보 예궐반차도 1900.02.09.(음 01.10)
③ 황제가상존호책보 예궐반차도 1900.02.17.(음 01.18)
④ 명성황후추상존호책실 예경효전반차도
어진 1900 『영정모사도감의궤』 ① 선원전 영정신본봉안시반차도 1900.02.04.(음 01.05)[2]
영건 1900 『영희전영건도감의궤』 ① 영희전 영정이봉교시시반차도 1900.05.28.(음 05.01)
책례 1900 『의왕영왕책봉의궤』 ① 영왕책인 예궐반차도 1900.08.17.(음 07.23)
어진 1901 『영정모사도감의궤』 ① 태조고황제·숙종대왕·영조대왕·정조선황제·순조숙황제·문조익황제·헌종대왕영정이봉교시시반차도 1901.06.13.(음 04.27)
책례 1901 『순비책봉의궤』 ① 책비책인 예궐반차도 의궤원문 1901.10.15.
고종실록 1901.10.14.[3]
존숭
추존
1902 『(문조신정황후·고종명헌태후
·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① 문조익황제·신정익황후·추상존호책보 예태묘반차도도 1902.02.13.(음 01.06)
② 명헌태후가상존호책보 예궐반차도 1902.02.22.(음 01.15)
③ 황제가상존호책보 예궐반차도 1902.02.25.(음 01.18)
④ 명성황후추상존호책보 예궐반차도 1902.03.04.(음 01.25)
책례 1903 『[순비]진봉황귀비의궤』 ① 진봉황귀비책인 예궐반차도 1903.12.24.(음 11.06)
국장 1905 『[효정왕후]국장도감의궤』 ① 대행태후발인반차도 1904.03.14.(음 01.28)
국장 1904 『[순명왕후]국장도감의궤』 ① 순명비발인반차도 1905.01.03.(음 1904.11.28)
부묘 1906 『효정왕후부묘도감의궤』 ① 효정왕후부태묘반차도 1906.02.17.(음 01.24)
가례
(혼례)
1906 『[순종순종비]가례도감의궤』 ① 가례반차도 1907.01.24.(음 1906.12.11)
책례 1907 『융희양황후복위시
책례도감의궤』
① 진봉황후책보 예궐반차도 1907.08.27.(음 07.19)
② 추봉황후책보 예궐반차도
존숭
추존
1907 『(고종)존봉도감의궤』 ① 황태자책봉책보 예궐반차도 1907.09.07.(음 07.30)
② 태황제상호책보 예궐반차도 1907.09.09.(음 08.02)
존숭
추존
1907 『(헌의대원왕순목대원비
·완효헌왕의왕비)추봉책봉의궤』
① 완효헌왕추봉시 책인 예궐반차도 1907.09.30.(음 08.23)
② 의왕비책봉시 금책 예궐반차도
③ 헌의대원왕·순목대원비추봉시 금인 예궐반차도


반차도에 나타난 경찰 제복

  • 반차도의 경찰 제복 특징
  • 의례별 경찰 제복 고증


지식관계망

클래스

아래에는 일부만 나열한 것이고, 전체 목록은 경찰제복 : 지식관계망-클래스를 참고하면 된다.

클래스

  • Actor-단체 : 경무청
  • Actor-단체 : 경부
  • Actor-단체 : 복설 경무청
  • Actor-단체 : 경시청
  • Clothing-복장 : 상복(常服)
  • Clothing-복장 : 예복(禮服)
  • Clothing-복장 : 동복(冬服)
  • Clothing-복장 : 하복(夏服)
  • Clothing-복식 : 상장(喪章)
  • Clothing-복식 : 경관표상식

  • Record-의궤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Record-의궤 : (고종)대례의궤
  • Record-의궤 : (태조장조정조순조)추존시의궤
  • Record-의궤 : 순종순종비가례도감의궤
  • Record-의궤 : (헌의대원왕〮순목대원비완〮효헌왕의왕비)추봉책봉의궤
  • Record-반차도 : 빈전이봉경운궁시반차도
  • Record-반차도 : 태황제상호책보 예궐반차도
  • Record-반차도 : 완효헌왕추봉시 책인 예궐반차도
  • Record-반차도 : 의왕비책봉시 금책 예궐반차도
  • Record-반차도 : 헌의대원왕〮순목대원비추봉시 금인 예궐반차도

관계정보

아래에는 일부만 나열한 것이고, 전체 목록은 경찰 제복 : 지식관계망-관계정보를 참고하면 된다.

관계정보

항목 A 항목 B 관계 Relation
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경무청 서로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경부 서로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복설 경무청 서로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경시청 서로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경찰등장 의궤 반차도 서로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경무청 경부 ~다음~이_설치된다 edm:isPreviousInSequence
경부 복설 경무청 ~다음~이_설치된다 edm:isPreviousInSequence
복설 경무청 경시청 ~다음~이_설치된다 edm:isPreviousInSequence
경무청 경무청 관제 ~이 포함된다 dcterms:hasPart
경무청 경무청 복제 ~이 포함된다 dcterms:hasPart
경무청 관제 경무사 ~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무청 관제 경무관 ~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무청 관제 총순 ~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무청 관제 순검 ~가 소속된다 foaf:member
상장(常裝) 상복(常服) 같거나 유사하다 owl:sameAs
동복(冬服) 하복(夏服) 서로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동복(冬服) 상모(常帽) ~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동복(冬服) 상의(常衣) ~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동복(冬服) 바지 ~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예장[禮裝] 예복(禮服) 같거나 유사하다 owl:sameAs
경관표상식 상장(喪章) 같거나 유사하다 owl:sameAs
경관표상식 국장 ~를 포함한다 ekc:isUsedIn
경찰등장 의궤 반차도 의례의 종류 ~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의례의 종류 국장 ~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의례의 종류 대례(등극) ~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의례의 종류 존승·추존 ~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국장 ~는~에 관한 기록이다 ekc:documents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빈전이봉경운궁시반차도 ~가 묘사되었다 ekc:depicts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명성황후발인반차도 ~가 묘사되었다 ekc:depicts
(고종)대례의궤 대례(등극) ~는~에 관한 기록이다 ekc:documents
(고종)대례의궤 대례시 황제옥보내출 예원구단반차도 ~가 묘사되었다 ekc:depicts
(고종)대례의궤 대례시 황후책보 예궐반차도 ~가 묘사되었다 ekc:depicts
(태조·장조·정조·순조)추존시의궤 존승·추존 ~는~에 관한 기록이다 ekc:documents
(태조·장조·정조·순조)추존시의궤 태조고황제 신위판봉 예원구교시시반차도 ~가 묘사되었다 ekc:depicts
경무청 영정모사도감의궤(1900) ~시기에 편찬된다 dcterms:publisher
경부 영희전영건도감의궤 ~시기에 편찬된다 dcterms:publisher
경시청 (고종)존봉도감의궤 ~시기에 편찬된다 dcterms:publisher
경시청 (헌의대원왕·순목대원비·완효헌왕의왕비)추봉책봉의궤 ~시기에 편찬된다 dcterms:publisher
명성황후발인반차도 경관표상식 ~을 착용한다 ekc:wears
대행태후발인반차도 경관표상식 ~을 착용한다 ekc:wears
순명비발인반차도 경관표상식 ~을 착용한다 ekc:wears



주석

  1.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9.
  2. 반차도에 기록된 제목이 없어 의궤본문의 ‘時日’에 근거함.
  3. 『순비책봉의궤』의 ‘時日’에서는 1901년 10월 15일(음력 9월 4일), 『고종실록』에서는 1901년 10월 14일(음력 9월 3일)로 기록되어 있음.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儀註)』, 『일성록(日省錄)』, 『주본(奏本)』, 『칙령(勅令)』

경찰청, 『韓國警察服制史』, 민속원, 2015.
김정민, 「구한말 경찰복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1.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9.
제송희, 「조선시대 儀禮班次圖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