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설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ㅊㄱ) |
(ㅊㄱ)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귀신을 잘 다스린 안공=== |
− | === | + | ○ 나의 외삼촌 안공은 성질이 엄하고 굳세어 12주 현을 역임하였으나 추호도 남의 것을 범한 일이 없으니, 관리들은 두려워하고 백성들은 따랐다. 또 귀신의 형체를 잘 보았는데 일찍이 임천(林川) 군수가 되었다. 하루는 이웃 관리들과 술마시고 있을 때에, 사냥개가 원중(苑中)의 큰 나무를 향하여 매우 짖어댔다. 공이 돌아다 보니 어떤 괴물이 고관대면(高冠大面)으로 나무에 의지하여 서 있다가 안공이 뚫어지게 바라보니 점점 사라져 버렸다. 또 하루는 하늘이 흐리고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데, 공이 변소에 가게 되어 아이 종이 촛불을 받들고 앞을 인도하는데, 대숲 속에 한 여자가 붉은 난삼(襴衫)을 입고 머리를 풀고 앉아 있기에 공이 곧장 그 앞으로 가니 여자가 담을 넘어 달아났다. 또 그곳의 풍속이 귀신을 공경했는데, 관아에 입주하는 자가 계속해서 죽으므로 고을 사람들이 도깨비 숲이라고 버려 두었다. 공이 와서 처음으로 들어가고자 하니 고을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며 말렸으나 공은 듣지 아니하였고, 민간의 음사(淫祠)도 모두 태워 헐어버렸다. 관청 남쪽에 오래된 우물이 있는데, 고을 사람들은 그 속에 귀신이 있다 하여 앞을 다투어 모여들어 복을 빌므로 공이 명령하여 이를 메우게 하였더니, 우물에서 소가 우는 것 같은 소리가 사흘이나 들려왔다. 고을 사람들이 메우지 말라고 청하니, 공은 말하기를, “우물이 필시 슬퍼서 곡하는 것인데 무슨 괴이한 일이 있겠느냐.” 하자, 이로부터 모든 요해(妖害)가 없어졌다. 공은 마침내 그 공이 최(最)에 올라 다른 데로 영전되었다. 또 공이 서원(瑞原) 별장에 오랫동안 있을 때에 길 옆에 고목 한 그루가 있었는데, 그 크기가 몇 아름 되고 높이가 하늘을 찌를 만했다. 하늘이 흐리면 귀신이 휘파람을 불며 밤이면 불을 켜놓고 시끄럽게 떠들었으며, 공이 매를 놓아 꿩을 쫓다가도 그 숲에 들어가면 찾을 수가 없었다. 마을의 어떤 소년이 용기만 믿고 가서 그 나무를 자르다가 귀신이 붙어 밤낮으로 미쳐 날뛰니 온 동네 사람들이 당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공의 이름만 들으면 빨리 보이지 않는 곳으로 달아나 피하였다. 공이 그 집에 가서 문 밖의 평상에 앉아 사람을 시켜 머리털을 나꾸어 끌어 내도록 하니 소년은 안색이 검어지며 애걸하였다. 공은 꾸짖기를, “너는 마을에 있는 지 2백여 년이 되는데 불을 켜놓고 해괴한 행동을 하며 내가 지나가도 걸터앉아 불경한 짓을 하고 매를 놓으면 숨겨두고 내놓지 않더니, 지금은 또 이웃집을 괴롭히니 무엇을 얻고자 하는 짓이냐.” 하니, 소년이 이마를 땅에 대고 공손히 사죄하였다. 공이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 나뭇가지를 잘라 장도(長刀)를 만들어 거짓 그 목을 베니, 소년이 몸을 굴러 길게 울부짖고 죽은 것처럼 땅에 엎드려 깊이 잠들었다가 3일 만에 비로소 깨어나더니 광태가 갑자기 사라졌다. 해주 목사까지 하고는 벼슬을 버리고 사방을 두루 돌아다녔는데, 매를 팔뚝에 얹고 누런 개를 끌며 어린 종 수십 명과 함께 물고기 그물과 짐승 그물을 싣고 다니며 들에서는 고기를 잡고 산에서는 짐승을 쫓았다. 공이 또 활쏘기를 잘하여 사슴과 멧돼지를 맞히지 못함이 없고, 항상 튼튼한 말을 타고 천길이나 되는 언덕을 달려 내려가도 빠르기가 나는 새와 같았는데 살촉이 서로 연달아 이어져 보는 사람이 탄복지 않은 이가 없었다. 향년이 70으로 졸하였다. |
− | === | + | ===도깨비불을 퇴치한 안부윤=== |
− | === | + | ○ 나의 외숙 안 부윤(安府尹 안향(安珦)의 후예)이 젊어서 파리한 말을 타고 어린 종 한 명을 데리고 서원(瑞原) 별장으로 가다가 별장에서 10리쯤 떨어진 곳에 이르렀는데 날이 어두워지고 말았다. 사방을 둘러보아도 사람이라곤 없더니, 동쪽으로 현성(縣城) 쪽을 바라보니 횃불이 비치고 떠들썩하여 유렵(遊獵)하는 것 같았다. 그런데 그 기세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좌우를 삥 두른 것이 5리나 되는데, 빈틈없이 모두 도깨비불이었다. 공이 진퇴유곡(進退維谷)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고 오직 말을 채찍질하여 앞으로 7, 8리를 나아가니 도깨비불이 모두 흩어졌다. 하늘은 흐려 비가 조금씩 부슬부슬 내리는데, 길은 더욱 험해졌으나 마음속으로 귀신이 도망간 것을 기뻐하여 공포심이 진정되었다. 다시 한 고개를 넘어 산기슭을 돌아 내려가는데 앞서 보던 도깨비불이 겹겹이 앞길을 막았다. 공은 계책도 없이 칼을 뽑아 크게 소리치며 돌입하니, 그 불이 일시에 모두 흩어져서 우거진 풀숲으로 들어가면서 손바닥을 치며 크게 웃었다. 공은 별장에 도착하여서도 마음이 초조하여 창에 의지한 채 어렴풋이 잠이 들었는데, 비복들은 솔불을 켜놓고 앉아서 길쌈을 하고 있었다. 공은 불빛이 켜졌다 꺼졌다 함을 보고 큰 소리로, “이 귀신이 또 왔구나.” 하며 칼을 들고 치니, 좌우에 있던 그릇들이 모두 깨지고 비복은 겨우 위험을 면하였다. |
− | === | + | ===귀신 붙은 계집종=== |
− | === | + | ○ 나의 장모 정씨(鄭氏)는 양주에서 생장하였는데, 귀신이 그 집에 내려 한 어린 계집종에게 붙어 수년 동안을 떠나지 않았는데, 화복과 깊흉을 알아맞히지 못한 적이 없었다. 말을 하면 번번이 들어맞으니 사람들이 나쁜 짓을 하여 숨길 뜻이 있어도 못하고 모두 두려워하였으나 집안에는 아무 탈이 없었다. 그 목소리가 굉장히 맑아서 늙은 꾀꼬리 혀와 같은데, 낮이면 공중에 떠 있고 밤이면 대들보 위에 깃들었다. 이웃에 대대로 명문인 한 집이 있었는데, 주부가 보물 비녀를 잃고 항상 계집종을 때렸다. 종이 그 괴로움을 이기지 못하여 귀신에게 와서 물으니, 귀신이, “있는 곳을 알고는 있으나 네게 말하기는 거북하니, 네 주인이 오면 말하겠다.” 하였다. 종이 가서 주부에게 알리니, 주부가 친히 좁쌀을 가지고 와서 문복하였다. 귀신이, “있는 곳을 알고는 있으나 차마 말하지 못하겠다. 내가 한 번 말하면 그대는 매우 무안하리다.” 하였다. 주부가 여러 번 물었으나 끝내 응하지 아니하자 주부가 노하여 꾸짖으니, 귀신이, “그렇다면 할 수 없다. 아무 날 저녁에 그대가 이웃 아무개와 같이 닥나무 밭으로 들어가지 않았느냐. 비녀는 그 나무 가지에 걸려 있다.” 하므로, 종이 가서 찾아오니 주부가 매우 부끄러워하였다. 또 집 종이 물건을 훔쳤는데, 귀신이, “아무개가 이를 훔쳐 아무 방에 감추었다.” 하니, 종이, “어디에 있던 요물이 남의 집에 와서 의지하느냐.”고 꾸짖었다가 땅에 자빠져 한참 있다가 소생하였다. 사람들이 왜 그러느냐고 물으니, 종이 “자색 수염이 난 장부가 내 머리털을 끌어당기니 황홀하여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하였다. 집안에서 점점 싫어하였는데, 상국(相國) 정구(鄭矩)와 부(符) 형제가 집에 오기만 하면 귀신이 두려워하여 달아나고 상국이 간 뒤에 귀신이 또 돌아오곤 하였다. 상국이 그 일을 알고 하루는 귀신을 불러 말하기를, “너는 숲으로 가라, 인가에 오래 머무는 것이 부당하다.” 하니, 귀신이, “내가 여기 온 뒤로 집안 복을 더하도록 힘썼으며 한번도 재앙을 일으킨 일이 없었고, 이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집을 잘 받들고자 하였는데, 대인의 가르침이 있으니 감히 순종치 않겠사오리까.” 하고, 마침내 통곡하며 떠났는데, 끝내 영향이 없었다 한다. 이 이야기는 내가 대부인에게서 들은 것이다. |
− | === | + | ===유계량의 원혼=== |
+ | ○ 우리 이웃에 기(奇) 재추(宰樞)가 있었는데, 당대의 명현이었다. 내가 어렸을 때에 기의 손자 유(裕)와 더불어 어려서부터 사귀어왔다. 재추가 죽고 내가 유와 함께 벼슬하다가 유는 집안일을 맡아 집에 있더니, 얼마 안 되어 주택이 흉하여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하고, 유도 또한 다른 곳으로 떠났다. 내가 그 이웃으로부터 그 얘기를 들으니, 어떤 아이 종이 문 밖에 서 있었는데, 문득 그 등에 무슨 물건이 붙어 무거워 견딜 수 없으므로, 어리둥절하여 들어가서 찾아 보았으나 물건은 볼 수가 없고 꽤 오래되어 풀어지매 온몸에 땀이 흘렀다고 한다. 이 뒤로도 괴상한 일이 많아서 사람이 밥을 짓고자 하면 솥 뚜껑은 그대로 있는데 똥이 그 속에 가득하며, 밥은 뜰에 흩어져 있고 혹 소반과 바리를 집어서 공중에 던지며, 혹은 큰 솥을 들어 공중에 돌리다가 이를 치면 소리가 큰 종소리 같고, 혹은 남새밭 채소를 모두 파서 거꾸로 심어 잠깐 사이에 말라버리게 하고, 혹은 옷장을 자물쇠로 잠갔으나 옷을 모두 꺼내어 대들보 위에 늘어놓고 폭폭이 모두 제자(題字)를 붙여 과두문자(科斗文字)의 전자(篆字)와 같이 하고, 혹은 사람 없는 아궁이에서 불빛이 갑자기 일어나고, 만약 끄는 사람이 있으면 불이 문간방에 옮겨 붙어 다 태워버리니, 이런 까닭으로 집을 버리고 거처하지 않은 지가 이미 여러 해 되었다. 유가 분연히 말하기를, “선조가 살던 집을 오랫동안 수리하지 못하니 어찌 사람된 자로써 선조를 받드는 뜻이겠느냐. 대장부가 어찌 귀신을 두려워할 이가 있겠느냐.” 하고, 곧 들어가 거처하였더니, 괴상한 일이 또 다시 일어나 밥바리를 옮기거나 똥으로 사람의 낯을 칠하기도 하였다. 유가 만약 꾸짖으면 공중에서 외치기를, “기도사가 어찌 이와 같이 하느냐.” 하니, 얼마 아니 되어 유도 병을 얻어 죽었다. 사람들이 모두, “유의 표제(表第) 유계량(柳繼亮)이 난리를 음모하다가 사형당하더니 그 귀신이 집에 의지하여 빌미[崇]를 일으킨다.” 하였다. | ||
+ | ===죽은지 10년이 지난 고모(叔姑)가 귀신이 되어 나타남=== | ||
+ | ○ 또 사문(斯文) 이두(李杜)라는 사람이 호조 정랑이 되었는데, 집안에 문득 귀물이 들어와서 나쁜 짓을 하므로, 그 말소리를 들으니 죽은 지 이미 10년이나 된 고모[叔姑]의 소리였다. 생산하는 작업을 일일이 지휘하여 비록 아침저녁으로 밥을 바칠 뿐 아니라, 무릇 먹고 싶은 것이 있으면 모두 찾으며 조금이라도 뜻을 어기면 몹시 노하였다. 수저를 잡는 것과 밥을 드는 것은 볼 수 없으나 찬음(饌飮)은 자연히 없어졌다. 허리 위는 보이지 않으나 허리 아래는 종이로 치마를 삼았으며, 두 다리는 여위어 마치 칠(漆)과 같아 살은 없고 뼈뿐이었다. 사람들이 묻기를, “다리가 어찌 이와 같으뇨.” 하니, “죽은 지 오랜 지하 사람이 어찌 이와 같지 않겠느뇨.”라고 대답하였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물리치려고 빌었으나 되지 않더니 얼마 안 되어 사문이 병을 얻어 죽었다. | ||
+ | ===귀신에게 화를 입은 명통사 장님=== | ||
+ | ○ 도성 안에 명통사(明通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장님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장님들은 초하루와 보름날에 한 번씩 모여 경(經)을 외며 축수(祝壽)하는 것을 일삼았다. 높은 사람은 불당에 들어가고 낮은 사람은 문을 지키는데 문을 겹겹이 잠그고 창을 들고 지키므로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였다. 그런데 한 서생(書生)이 몸을 솟구쳐 바로 들어가 대들보에 올라가 있다가 장님이 작은 종(鍾)을 치기에 서생이 종을 끌어 올려 버렸으므로 장님은 북채를 휘둘러 허공을 쳤다. 그런 뒤에 다시 종을 내려주자 장님이 손으로 만져보니 종은 여전히 있었다. 이와 같이 하기를 서너 번 하다가 장님은 말하기를, “불당 안의 작은 종이 무엇인가에 끌려 올라간다.” 하였다. 그러자 모든 장님들이 둘러 앉아 점을 쳤는데, 그 중 한 장님이, “이것은 틀림없이 벽 사이에 박쥐가 붙어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하니, 모두 일어나 벽을 만져보았으나 아무것도 없었다. 또, 어느 장님이, “이것은 틀림없이 저녁 닭이 들보 위에 앉아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하여, 서로 다투어 장대로 들보 위를 때렸으므로 서생이 고통을 못 견디어 땅에 떨어지니, 서생을 묶고 종아리를 쳤으므로 그는 엉금엉금 기어서 돌아왔다. 이튿날 그는 삼 노끈 두어 발을 얻어 가지고 절 변소에 숨어 있다가, 주인 장님이 변소에 와서 웅크리고 앉자 서생이 갑자기 노끈으로 그의 음경을 매어 당기니, 장님은 크게 소리치며 구원을 청하였다. 여러 장님들이 다투어 와서 주문을 외기를, “주인 장님이 변소 귀신에게 화를 입게 되었다.” 하며, 혹은 이웃을 불러 약을 구하고 혹은 북을 울려 명(命)을 비는 자도 있었다. | ||
+ | ===도깨비를 물리친 이야기=== | ||
+ | ○ 내가 어렸을 때에 남강(南江)에서 손님을 전송하고 돌아오는 길에 전생서(典牲暑) 남쪽 고개에 이르렀을 때에, 마침 부슬비가 내리자 말이 거품만 뿜고 나아가지 못하는데, 문득 따뜻한 기운이 불과 같이 얼굴을 스치고 또 취한 기운이 있어 견딜 수가 없었다. 길가 동쪽 골짜기를 바라보니 어떤 사람이 삿갓을 썼는데, 키가 수십 척이요 낯이 소반 같고 눈이 횃불과 같아 괴이한 현상이 범상치 않았다. 내가 묵묵히 생각하기를, “내가 만약 마음을 놓치면 반드시 저놈의 계략에 떨어지겠다.” 하고, 드디어 말을 멈추어 나아가지 않고 한참을 눈여겨보니 그 사람이 문득 머리를 돌려 하늘을 향하고 점점 소멸하여 하늘로 올라가버렸다. 마음이 안정되면 허깨비가 들어오지 못한다더니, 참으로 그러한가 보다. |
2020년 5월 22일 (금) 21:42 기준 최신판
목차
귀신을 잘 다스린 안공
○ 나의 외삼촌 안공은 성질이 엄하고 굳세어 12주 현을 역임하였으나 추호도 남의 것을 범한 일이 없으니, 관리들은 두려워하고 백성들은 따랐다. 또 귀신의 형체를 잘 보았는데 일찍이 임천(林川) 군수가 되었다. 하루는 이웃 관리들과 술마시고 있을 때에, 사냥개가 원중(苑中)의 큰 나무를 향하여 매우 짖어댔다. 공이 돌아다 보니 어떤 괴물이 고관대면(高冠大面)으로 나무에 의지하여 서 있다가 안공이 뚫어지게 바라보니 점점 사라져 버렸다. 또 하루는 하늘이 흐리고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데, 공이 변소에 가게 되어 아이 종이 촛불을 받들고 앞을 인도하는데, 대숲 속에 한 여자가 붉은 난삼(襴衫)을 입고 머리를 풀고 앉아 있기에 공이 곧장 그 앞으로 가니 여자가 담을 넘어 달아났다. 또 그곳의 풍속이 귀신을 공경했는데, 관아에 입주하는 자가 계속해서 죽으므로 고을 사람들이 도깨비 숲이라고 버려 두었다. 공이 와서 처음으로 들어가고자 하니 고을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며 말렸으나 공은 듣지 아니하였고, 민간의 음사(淫祠)도 모두 태워 헐어버렸다. 관청 남쪽에 오래된 우물이 있는데, 고을 사람들은 그 속에 귀신이 있다 하여 앞을 다투어 모여들어 복을 빌므로 공이 명령하여 이를 메우게 하였더니, 우물에서 소가 우는 것 같은 소리가 사흘이나 들려왔다. 고을 사람들이 메우지 말라고 청하니, 공은 말하기를, “우물이 필시 슬퍼서 곡하는 것인데 무슨 괴이한 일이 있겠느냐.” 하자, 이로부터 모든 요해(妖害)가 없어졌다. 공은 마침내 그 공이 최(最)에 올라 다른 데로 영전되었다. 또 공이 서원(瑞原) 별장에 오랫동안 있을 때에 길 옆에 고목 한 그루가 있었는데, 그 크기가 몇 아름 되고 높이가 하늘을 찌를 만했다. 하늘이 흐리면 귀신이 휘파람을 불며 밤이면 불을 켜놓고 시끄럽게 떠들었으며, 공이 매를 놓아 꿩을 쫓다가도 그 숲에 들어가면 찾을 수가 없었다. 마을의 어떤 소년이 용기만 믿고 가서 그 나무를 자르다가 귀신이 붙어 밤낮으로 미쳐 날뛰니 온 동네 사람들이 당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공의 이름만 들으면 빨리 보이지 않는 곳으로 달아나 피하였다. 공이 그 집에 가서 문 밖의 평상에 앉아 사람을 시켜 머리털을 나꾸어 끌어 내도록 하니 소년은 안색이 검어지며 애걸하였다. 공은 꾸짖기를, “너는 마을에 있는 지 2백여 년이 되는데 불을 켜놓고 해괴한 행동을 하며 내가 지나가도 걸터앉아 불경한 짓을 하고 매를 놓으면 숨겨두고 내놓지 않더니, 지금은 또 이웃집을 괴롭히니 무엇을 얻고자 하는 짓이냐.” 하니, 소년이 이마를 땅에 대고 공손히 사죄하였다. 공이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 나뭇가지를 잘라 장도(長刀)를 만들어 거짓 그 목을 베니, 소년이 몸을 굴러 길게 울부짖고 죽은 것처럼 땅에 엎드려 깊이 잠들었다가 3일 만에 비로소 깨어나더니 광태가 갑자기 사라졌다. 해주 목사까지 하고는 벼슬을 버리고 사방을 두루 돌아다녔는데, 매를 팔뚝에 얹고 누런 개를 끌며 어린 종 수십 명과 함께 물고기 그물과 짐승 그물을 싣고 다니며 들에서는 고기를 잡고 산에서는 짐승을 쫓았다. 공이 또 활쏘기를 잘하여 사슴과 멧돼지를 맞히지 못함이 없고, 항상 튼튼한 말을 타고 천길이나 되는 언덕을 달려 내려가도 빠르기가 나는 새와 같았는데 살촉이 서로 연달아 이어져 보는 사람이 탄복지 않은 이가 없었다. 향년이 70으로 졸하였다.
도깨비불을 퇴치한 안부윤
○ 나의 외숙 안 부윤(安府尹 안향(安珦)의 후예)이 젊어서 파리한 말을 타고 어린 종 한 명을 데리고 서원(瑞原) 별장으로 가다가 별장에서 10리쯤 떨어진 곳에 이르렀는데 날이 어두워지고 말았다. 사방을 둘러보아도 사람이라곤 없더니, 동쪽으로 현성(縣城) 쪽을 바라보니 횃불이 비치고 떠들썩하여 유렵(遊獵)하는 것 같았다. 그런데 그 기세가 점점 가까워지면서 좌우를 삥 두른 것이 5리나 되는데, 빈틈없이 모두 도깨비불이었다. 공이 진퇴유곡(進退維谷)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고 오직 말을 채찍질하여 앞으로 7, 8리를 나아가니 도깨비불이 모두 흩어졌다. 하늘은 흐려 비가 조금씩 부슬부슬 내리는데, 길은 더욱 험해졌으나 마음속으로 귀신이 도망간 것을 기뻐하여 공포심이 진정되었다. 다시 한 고개를 넘어 산기슭을 돌아 내려가는데 앞서 보던 도깨비불이 겹겹이 앞길을 막았다. 공은 계책도 없이 칼을 뽑아 크게 소리치며 돌입하니, 그 불이 일시에 모두 흩어져서 우거진 풀숲으로 들어가면서 손바닥을 치며 크게 웃었다. 공은 별장에 도착하여서도 마음이 초조하여 창에 의지한 채 어렴풋이 잠이 들었는데, 비복들은 솔불을 켜놓고 앉아서 길쌈을 하고 있었다. 공은 불빛이 켜졌다 꺼졌다 함을 보고 큰 소리로, “이 귀신이 또 왔구나.” 하며 칼을 들고 치니, 좌우에 있던 그릇들이 모두 깨지고 비복은 겨우 위험을 면하였다.
귀신 붙은 계집종
○ 나의 장모 정씨(鄭氏)는 양주에서 생장하였는데, 귀신이 그 집에 내려 한 어린 계집종에게 붙어 수년 동안을 떠나지 않았는데, 화복과 깊흉을 알아맞히지 못한 적이 없었다. 말을 하면 번번이 들어맞으니 사람들이 나쁜 짓을 하여 숨길 뜻이 있어도 못하고 모두 두려워하였으나 집안에는 아무 탈이 없었다. 그 목소리가 굉장히 맑아서 늙은 꾀꼬리 혀와 같은데, 낮이면 공중에 떠 있고 밤이면 대들보 위에 깃들었다. 이웃에 대대로 명문인 한 집이 있었는데, 주부가 보물 비녀를 잃고 항상 계집종을 때렸다. 종이 그 괴로움을 이기지 못하여 귀신에게 와서 물으니, 귀신이, “있는 곳을 알고는 있으나 네게 말하기는 거북하니, 네 주인이 오면 말하겠다.” 하였다. 종이 가서 주부에게 알리니, 주부가 친히 좁쌀을 가지고 와서 문복하였다. 귀신이, “있는 곳을 알고는 있으나 차마 말하지 못하겠다. 내가 한 번 말하면 그대는 매우 무안하리다.” 하였다. 주부가 여러 번 물었으나 끝내 응하지 아니하자 주부가 노하여 꾸짖으니, 귀신이, “그렇다면 할 수 없다. 아무 날 저녁에 그대가 이웃 아무개와 같이 닥나무 밭으로 들어가지 않았느냐. 비녀는 그 나무 가지에 걸려 있다.” 하므로, 종이 가서 찾아오니 주부가 매우 부끄러워하였다. 또 집 종이 물건을 훔쳤는데, 귀신이, “아무개가 이를 훔쳐 아무 방에 감추었다.” 하니, 종이, “어디에 있던 요물이 남의 집에 와서 의지하느냐.”고 꾸짖었다가 땅에 자빠져 한참 있다가 소생하였다. 사람들이 왜 그러느냐고 물으니, 종이 “자색 수염이 난 장부가 내 머리털을 끌어당기니 황홀하여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하였다. 집안에서 점점 싫어하였는데, 상국(相國) 정구(鄭矩)와 부(符) 형제가 집에 오기만 하면 귀신이 두려워하여 달아나고 상국이 간 뒤에 귀신이 또 돌아오곤 하였다. 상국이 그 일을 알고 하루는 귀신을 불러 말하기를, “너는 숲으로 가라, 인가에 오래 머무는 것이 부당하다.” 하니, 귀신이, “내가 여기 온 뒤로 집안 복을 더하도록 힘썼으며 한번도 재앙을 일으킨 일이 없었고, 이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집을 잘 받들고자 하였는데, 대인의 가르침이 있으니 감히 순종치 않겠사오리까.” 하고, 마침내 통곡하며 떠났는데, 끝내 영향이 없었다 한다. 이 이야기는 내가 대부인에게서 들은 것이다.
유계량의 원혼
○ 우리 이웃에 기(奇) 재추(宰樞)가 있었는데, 당대의 명현이었다. 내가 어렸을 때에 기의 손자 유(裕)와 더불어 어려서부터 사귀어왔다. 재추가 죽고 내가 유와 함께 벼슬하다가 유는 집안일을 맡아 집에 있더니, 얼마 안 되어 주택이 흉하여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하고, 유도 또한 다른 곳으로 떠났다. 내가 그 이웃으로부터 그 얘기를 들으니, 어떤 아이 종이 문 밖에 서 있었는데, 문득 그 등에 무슨 물건이 붙어 무거워 견딜 수 없으므로, 어리둥절하여 들어가서 찾아 보았으나 물건은 볼 수가 없고 꽤 오래되어 풀어지매 온몸에 땀이 흘렀다고 한다. 이 뒤로도 괴상한 일이 많아서 사람이 밥을 짓고자 하면 솥 뚜껑은 그대로 있는데 똥이 그 속에 가득하며, 밥은 뜰에 흩어져 있고 혹 소반과 바리를 집어서 공중에 던지며, 혹은 큰 솥을 들어 공중에 돌리다가 이를 치면 소리가 큰 종소리 같고, 혹은 남새밭 채소를 모두 파서 거꾸로 심어 잠깐 사이에 말라버리게 하고, 혹은 옷장을 자물쇠로 잠갔으나 옷을 모두 꺼내어 대들보 위에 늘어놓고 폭폭이 모두 제자(題字)를 붙여 과두문자(科斗文字)의 전자(篆字)와 같이 하고, 혹은 사람 없는 아궁이에서 불빛이 갑자기 일어나고, 만약 끄는 사람이 있으면 불이 문간방에 옮겨 붙어 다 태워버리니, 이런 까닭으로 집을 버리고 거처하지 않은 지가 이미 여러 해 되었다. 유가 분연히 말하기를, “선조가 살던 집을 오랫동안 수리하지 못하니 어찌 사람된 자로써 선조를 받드는 뜻이겠느냐. 대장부가 어찌 귀신을 두려워할 이가 있겠느냐.” 하고, 곧 들어가 거처하였더니, 괴상한 일이 또 다시 일어나 밥바리를 옮기거나 똥으로 사람의 낯을 칠하기도 하였다. 유가 만약 꾸짖으면 공중에서 외치기를, “기도사가 어찌 이와 같이 하느냐.” 하니, 얼마 아니 되어 유도 병을 얻어 죽었다. 사람들이 모두, “유의 표제(表第) 유계량(柳繼亮)이 난리를 음모하다가 사형당하더니 그 귀신이 집에 의지하여 빌미[崇]를 일으킨다.” 하였다.
죽은지 10년이 지난 고모(叔姑)가 귀신이 되어 나타남
○ 또 사문(斯文) 이두(李杜)라는 사람이 호조 정랑이 되었는데, 집안에 문득 귀물이 들어와서 나쁜 짓을 하므로, 그 말소리를 들으니 죽은 지 이미 10년이나 된 고모[叔姑]의 소리였다. 생산하는 작업을 일일이 지휘하여 비록 아침저녁으로 밥을 바칠 뿐 아니라, 무릇 먹고 싶은 것이 있으면 모두 찾으며 조금이라도 뜻을 어기면 몹시 노하였다. 수저를 잡는 것과 밥을 드는 것은 볼 수 없으나 찬음(饌飮)은 자연히 없어졌다. 허리 위는 보이지 않으나 허리 아래는 종이로 치마를 삼았으며, 두 다리는 여위어 마치 칠(漆)과 같아 살은 없고 뼈뿐이었다. 사람들이 묻기를, “다리가 어찌 이와 같으뇨.” 하니, “죽은 지 오랜 지하 사람이 어찌 이와 같지 않겠느뇨.”라고 대답하였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물리치려고 빌었으나 되지 않더니 얼마 안 되어 사문이 병을 얻어 죽었다.
귀신에게 화를 입은 명통사 장님
○ 도성 안에 명통사(明通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장님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장님들은 초하루와 보름날에 한 번씩 모여 경(經)을 외며 축수(祝壽)하는 것을 일삼았다. 높은 사람은 불당에 들어가고 낮은 사람은 문을 지키는데 문을 겹겹이 잠그고 창을 들고 지키므로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였다. 그런데 한 서생(書生)이 몸을 솟구쳐 바로 들어가 대들보에 올라가 있다가 장님이 작은 종(鍾)을 치기에 서생이 종을 끌어 올려 버렸으므로 장님은 북채를 휘둘러 허공을 쳤다. 그런 뒤에 다시 종을 내려주자 장님이 손으로 만져보니 종은 여전히 있었다. 이와 같이 하기를 서너 번 하다가 장님은 말하기를, “불당 안의 작은 종이 무엇인가에 끌려 올라간다.” 하였다. 그러자 모든 장님들이 둘러 앉아 점을 쳤는데, 그 중 한 장님이, “이것은 틀림없이 벽 사이에 박쥐가 붙어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하니, 모두 일어나 벽을 만져보았으나 아무것도 없었다. 또, 어느 장님이, “이것은 틀림없이 저녁 닭이 들보 위에 앉아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하여, 서로 다투어 장대로 들보 위를 때렸으므로 서생이 고통을 못 견디어 땅에 떨어지니, 서생을 묶고 종아리를 쳤으므로 그는 엉금엉금 기어서 돌아왔다. 이튿날 그는 삼 노끈 두어 발을 얻어 가지고 절 변소에 숨어 있다가, 주인 장님이 변소에 와서 웅크리고 앉자 서생이 갑자기 노끈으로 그의 음경을 매어 당기니, 장님은 크게 소리치며 구원을 청하였다. 여러 장님들이 다투어 와서 주문을 외기를, “주인 장님이 변소 귀신에게 화를 입게 되었다.” 하며, 혹은 이웃을 불러 약을 구하고 혹은 북을 울려 명(命)을 비는 자도 있었다.
도깨비를 물리친 이야기
○ 내가 어렸을 때에 남강(南江)에서 손님을 전송하고 돌아오는 길에 전생서(典牲暑) 남쪽 고개에 이르렀을 때에, 마침 부슬비가 내리자 말이 거품만 뿜고 나아가지 못하는데, 문득 따뜻한 기운이 불과 같이 얼굴을 스치고 또 취한 기운이 있어 견딜 수가 없었다. 길가 동쪽 골짜기를 바라보니 어떤 사람이 삿갓을 썼는데, 키가 수십 척이요 낯이 소반 같고 눈이 횃불과 같아 괴이한 현상이 범상치 않았다. 내가 묵묵히 생각하기를, “내가 만약 마음을 놓치면 반드시 저놈의 계략에 떨어지겠다.” 하고, 드디어 말을 멈추어 나아가지 않고 한참을 눈여겨보니 그 사람이 문득 머리를 돌려 하늘을 향하고 점점 소멸하여 하늘로 올라가버렸다. 마음이 안정되면 허깨비가 들어오지 못한다더니, 참으로 그러한가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