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스-도원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컨셉 기본 정보==
 
==컨셉 기본 정보==
[[파일:도원경 앨범 커버.png]]
+
[[파일:도원경 앨범 커버.png|500px]]
 
   컨셉 소개 : 타이틀곡 도원경은 무릉도원에서 풍류를 즐기는 6명의 신비로운 신선(神仙)이라는 컨셉에 맞춰 동양적 분위기가 한껏 담겨져 있다. 노래뿐만 아니라 뮤직비디오, 의상, 춤까지
 
   컨셉 소개 : 타이틀곡 도원경은 무릉도원에서 풍류를 즐기는 6명의 신비로운 신선(神仙)이라는 컨셉에 맞춰 동양적 분위기가 한껏 담겨져 있다. 노래뿐만 아니라 뮤직비디오, 의상, 춤까지
 
   모든 부분을 컨셉에 알맞게 선보였다.  
 
   모든 부분을 컨셉에 알맞게 선보였다.  

2020년 5월 17일 (일) 23:14 판

네트워크 그래프

빅스.lst

이 문서 구성요소 설명
도원경 노래 가야금
도원경 뮤직비디오 십장생, 복숭아꽃
도원경 의상 저고리, 포

컨셉 기본 정보

도원경 앨범 커버.png

 컨셉 소개 : 타이틀곡 도원경은 무릉도원에서 풍류를 즐기는 6명의 신비로운 신선(神仙)이라는 컨셉에 맞춰 동양적 분위기가 한껏 담겨져 있다. 노래뿐만 아니라 뮤직비디오, 의상, 춤까지
 모든 부분을 컨셉에 알맞게 선보였다. 
 먼저 노래는 퓨전 R&B로서 가야금을 활용한 부분이 도입부와 노래 중간에 있어 몽환적이면서도 한국적인 느낌과 동시에 하이라이트는 세련된 느낌을 주는 곡이다.

가사

뮤직비디오

 뮤직비디오에는 먼저 도원경이라는 컨셉에 맞춰 복숭아 꽃이 만개해있는 세트가 등장한다. 또 뮤직비디오 배경에 십장생에 포함된 물,돌,소나무,사슴등의 상징물이 삽입되어있기도 하다.

의상

 수트 변형 - 저고리의 디자인을 차용해 기존의 수트가 단추를 사용하던것을 대신해서 고름(끈)으로 여미는 개량한복 의상을 선보였다. 자켓뿐만 아니라 셔츠에도 같은 형식을 이용했다.
 또한 일부 의상은 한복의 깃 형식을 활용했다.

남자저고리 명칭.gif

포 활용 - 보통 우리는 한복의 겉옷으로서 두루마기를 익히 알고 있는데, 아래 사진의 빅스 의상을 살펴보면 두루마기보다는 조선시대 소창의와 더 유사하다. 
 두루마기는 무가 있지만 소창의는 무가 없고 대신에 트임이 존재한다. 한편 앞쪽에는 두루마기나 소창의에 있는 섶과 고름이 없다.
 이는 삼국시대 겉옷인 포와 유사한 형태이다. 무대의상에 맞게 개량해서 활용한 형태인것 같다.
 소품 활용 - 노리개, 부채, 살풀이천

두루마기의상5.jpg 빅스 노리개.jpg 빅스부채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