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ㅊㄱ)
(ㅊㄱ)
16번째 줄: 16번째 줄:
 
  인간이 남긴 유형자료 : 인간의 주관성이 개입, 후대 전승과정에서의 오류<br>사학사적 검토 : 저자의 역사의식, 기술방식, 판본과 유통과정에 대한 치밀한 검토 필요
 
  인간이 남긴 유형자료 : 인간의 주관성이 개입, 후대 전승과정에서의 오류<br>사학사적 검토 : 저자의 역사의식, 기술방식, 판본과 유통과정에 대한 치밀한 검토 필요
 
*삼국사기
 
*삼국사기
*삼국유사
+
키워드 : 김부식, 인종, 묘청, 윤언이, 신채호<br>저자의 사고(김부식), 탄생과정(인종, 묘청, 윤언이), 후대의 평가(신채호) 등 다각도에서 바라봐야 함
 +
<br>1. 신채호 : 유교망국론<br>2. 묘청 : 서경천도 주장 for 왕권강화 (풍수지리, 금군정벌, 칭제건원)<br>3. 윤언이
 +
*사료의 확대

2020년 5월 1일 (금) 17:29 판

개요

강의개요

  • 강좌명 : 한국고대사
  • 담당교수 : 윤선태
  • 이수구분 : 전공
  • 강의시간 : 월수 4:30~6:00
  • 강의실 : 학림관J411
  • 수강생 : 39명

강의목표

  • 원시사회부터 나말여초 시기까지의 역사 문화적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 학술사적 쟁점을 통해 한국고대사 이해의 한계점까지도 인식한다.
  • 일국사적 민족주의적 역사 인식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적 시선에서 한국 고대사를 이해하는 힘을 기른다.

강의

1강 사료의 이해

  • 사료의 한계
인간이 남긴 유형자료 : 인간의 주관성이 개입, 후대 전승과정에서의 오류
사학사적 검토 : 저자의 역사의식, 기술방식, 판본과 유통과정에 대한 치밀한 검토 필요
  • 삼국사기
키워드 : 김부식, 인종, 묘청, 윤언이, 신채호
저자의 사고(김부식), 탄생과정(인종, 묘청, 윤언이), 후대의 평가(신채호) 등 다각도에서 바라봐야 함


1. 신채호 : 유교망국론
2. 묘청 : 서경천도 주장 for 왕권강화 (풍수지리, 금군정벌, 칭제건원)
3. 윤언이

  • 사료의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