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화장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네트워크 그래프 - [[조선시대화장품.lst]]
+
네트워크 그래프 - [[조선시대화장품.lst]]
 
==타겟==
 
==타겟==
 
===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

2020년 4월 24일 (금) 17:19 판

네트워크 그래프 - 조선시대화장품.lst

타겟

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png
아모레퍼시픽이 추구하는 대표적 가치 중 하나가 '헤리티지 원료(heritage ingredients)'. 역사적 가치가 있는 원료들을 추구하다 보니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었던 재료들에도 관심을 둘 것. 뿐만 아니라, 과거의 화장, 화장품 들에서 영감을 얻어 현재 화장품들의 이미지, 스토리, 성분에도 역이용 가능

대표적인 브랜드

이니스프리.JPG한율.JPG프리메라.JPG
설화수.JPG마몽드.JPG

브랜드 대표 원료
설화수 적송, 인삼
마몽드 무궁화, 동백, 장미
이니스프리 녹차, 벚꽃
프리메라 납작콩, 대두, 검은콩
한율 어린쑥, 붉은 쌀

조선시대

조선의 美

  • ‘삼홍’이라하여 볼과 입술, 손톱이 붉은 것을 미인으로 간주하였다.
  • 신체를 청결하게 가꾸고 단정한 용모를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여염집 부녀자들은 자연스러운 피부색과 옅은 화장을 추구하였다.
  • 기생들은 윤기있는 머릿결, 가느다란 눈썹, 붉은 눈썹과 뺨, 백옥같은 얼굴을 아름답게 여겼다.
  • 화장의 종류
담장 : 피부를 깨끗하게 가꾸고 뽀얗게 보이도록 하는 것
농장 : 농도를 더해 약간의 색조화장을 한 일상 메이크업
염장 : 요염하고 짙은 화장
응장 : 혼례를 치르거나, 의식에 참여할 때하는 행사용 화장


신윤복 쌍금대무.jpg신윤복 단오풍정.jpg신윤복 야금모행.jpg
주사거배 신윤복.jpg신윤복 월하밀회.jpg유운홍 기녀도.JPG

시대적 분위기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도덕관념에 따라 여성의 내면의 아름다움이 강조되어, 화장의 경향이 소박해졌다. 하지만 화장이 위축되지는 않았고, 화장개념이 여염집 여성의 생활화장(청결위주의 옅은화장 / 혼인, 연회, 외출시의 화장)과 기생, 궁녀 등 특수층 여성의 의식화장으로 세분화되었다. 숙종연간에 화장품 행상인 ‘매분구(賣粉嫗)’가 존재하였고, 궁중에서는 화장품 생산을 전담했던 관청인 보염서(補艷署)가 설치된 적이 있을만큼 화장품이 대량소비된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의 종류

  • 면약
-밀랍 + 유지 + 연백 + 활석이 기본
-여기에 자연재료(좁쌀 물의 웃물, 복숭아 꽃, 동아 씨(동과인) 등을 첨가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영양크림, 클렌징크림의 용도로 사용
-<규합총서>
‘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질 때는 달걀 세 개를 술에 담가, 김이 새지 않도록 두껍게 봉하여두었다가 얼굴에 바른다. 그러면 트지 않을뿐더러 옥같이 고와진다.
얼굴과 손이 터서 피가 나거든 돼지발기름에 괴화(회화나무의 꽃)을 섞어 붙이면 낫는다.’

청화백자연꽃넝쿨무늬합.jpg
면약 색상(예상).jpg - 면약 색상(예상)

  • 미안수
-수세미, 오이, 박 등의 줄기를 자르면 나오는 즙이나 수분을 사용해 만듦
-액체형태의 동과인과 고체형태의 익모초가 있음

동과인.jpg청화백자모란넝쿨무늬호.jpg

  • 연지분
-노른자 + 주사(朱砂) + 명반(明礬) + 사향(麝香)
-흰쌀가루 + 호분(연백) + 낙규자
-잇꽃 + 잿물 + 석류
-'삼홍’이라 하여 볼과 입술, 손톱이 붉은 것을 미인상으로 간주

낙규자.jpeg잇꽃.jpg
연지분 색상(예상).jpg - 연지분 색상(예상)

  • 백분
-쌀가루(미백) + 연백(미백보완, 피부 부착) + 활성(발림석) 을 수저나 종지그릇으로 소량씩 떠 그릇에 개어 사용
-백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납’을 가미하여 부착력 높아진 ‘연분’

색회등나무무늬합.jpg분.jpeg
백색분 색상(예상).jpg - 백분 색상(예상)

  • 미묵
-관솔 먹, 달개비꽃잎, 목화꽃을 태운 재 등을 기름에 개어 만듦
-16세기 초 – 가늘고 긴 눈썹이 유행
17세기 초 – 넓고 진한 눈썹(궁양)이 유행
화장품 종류 주재료
면약 밀랍, 유지, 연백, 활석
미안수 수세미, 오이, 박
연지분 노른자, 주사, 명반, 사향, 석류, 낙규자
백분 쌀가루, 연백, 활석
미묵 먹, 달개비꽃잎, 목화꽃, 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