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화장품.ls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8번째 줄: 48번째 줄:
 
기생 class 기생
 
기생 class 기생
 
궁녀 class 궁녀
 
궁녀 class 궁녀
여염집 여성 class 여염집 여성
+
여염집여성 class 여염집여성
  
 
#Relation
 
#Relation
97번째 줄: 97번째 줄:
 
세분화 기녀 to
 
세분화 기녀 to
 
세분화 궁녀 to
 
세분화 궁녀 to
세분화 여염집 여성 to
+
세분화 여염집여성 to
 
기녀 색조 do
 
기녀 색조 do
 
기녀 기초 do
 
기녀 기초 do
 
궁녀 색조 do
 
궁녀 색조 do
 
궁녀 기초 do  
 
궁녀 기초 do  
여염집 여성 기초 do
+
여염집여성 기초 do
  
 
#End
 
#End

2020년 4월 21일 (화) 11:10 판


#Project
조선시대화장품

#Class
subject red circle
company green circle
detail blue circle
kind yellow circle
material pink circle
purpose black circle
class gray circle

#Nodes
조선시대화장품 subject 조선시대화장품
아모레퍼시픽 company 아모레퍼시픽
종류 detail 종류
면약 kind 면약
미안수 kind 미안수
연지분 kind 연지분
백분 kind 백분
미묵 kind 미묵

밀랍 material 밀랍
유지 material 유지
연백 material 연백
활석 material 활석
수세미 material 수세미
오이 material 오이
박 material 박
노른자 material 노른자
주사 material 주사
명반 material 명반
사향 material 사향
석류 material 석류
낙규자 material 낙규자
쌀가루 material 쌀가루
먹 material 먹
달개비꽃잎 material 달개비꽃잎
목화꽃 material 목화꽃
기름 material 기름

기초 purpose 기초
색조 purpose 색조

세분화 detail 세분화
기생 class 기생
궁녀 class 궁녀
여염집여성 class 여염집여성

#Relation
targets
contents
composed
for
do
to

#Links
조선시대화장품 아모레퍼시픽 targets
조선시대화장품 종류 contents

종류 면약 contents
종류 미안수 contents
종류 연지분 contents
종류 백분 contents
종류 미묵 contents

면약 밀랍 composed
면약 유지 composed
면약 연백 composed
면약 활석 composed
미안수 수세미 composed
미안수 오이 composed
미안수 박 composed
연지분 노른자 composed
연지분 주사 composed
연지분 명반 composed
연지분 사향 composed
연지분 석류 composed
연지분 낙규자 composed
백분 쌀가루 composed
백분 연백 composed
백분 활석 composed
미묵 먹 composed
미묵 달개비꽃잎 composed
미묵 목화꽃 composed
미묵 기름 composed

면약 기초 for
미안수 기초 for
연지분 색조 for
백분 색조 for
미묵 색조 for

세분화 기녀 to
세분화 궁녀 to
세분화 여염집여성 to
기녀 색조 do
기녀 기초 do
궁녀 색조 do
궁녀 기초 do 
여염집여성 기초 do

#End

visu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