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골/참골/용수초/부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는 화문석은 왕골을 재료로 만든다는 것이다. 현재 강화도의 특산물은 왕골 화문석이고 전남 함평, 나주 등지의 돗자리 또한 왕골로 만들어지기에 우리는 역사적으로도 왕골로 화문석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오류를 범하곤 한다. <br/> |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는 화문석은 왕골을 재료로 만든다는 것이다. 현재 강화도의 특산물은 왕골 화문석이고 전남 함평, 나주 등지의 돗자리 또한 왕골로 만들어지기에 우리는 역사적으로도 왕골로 화문석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오류를 범하곤 한다. <br/> | ||
− | 화문석 자료를 찾으면서 가장 헛갈리고 자료가 엉켜있던 부분이 바로 화문석의 재료가 되는 왕골/골/조리풀/참골/용수초였다. 왜냐하면 역사서에서는 왕골보다는 왕골의 다른 이름인 완초( | + | 화문석 자료를 찾으면서 가장 헛갈리고 자료가 엉켜있던 부분이 바로 화문석의 재료가 되는 왕골/골/조리풀/참골/용수초였다. 왜냐하면 역사서에서는 왕골보다는 왕골의 다른 이름인 완초(莞席)와 용수초(龍鬚席, 龍鬚草地席 등)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어떤 백과사전은 <용수초지석이라는 이름은 왕골이 용의 수염처럼 생긴 데에서 왔다>고 기록되어 용수초와 왕골을 같이 보고 있는데, 이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이에 화문석의 재료가 되는 왕골/골/참골/조리풀/용수초에 대해 구분해서 기록하고자 한다. |
=='''해설'''== | =='''해설'''== | ||
− | 기록된 자료에서는 왕골, 골, 조리풀, 용수초은 별개이며, 강화도 교동에서 등메에 사용한 참골은 골을 특별히 1년 이상 인공(?)재배하여 길들인 것이고, 용수초는 용의 수염처럼 생긴 데에서 왔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골의 일종이며, 용수초와 참골로 제작한 화문석은 매우 부드럽고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고 한다. | + | 기록된 자료에서는 왕골, 골, 조리풀, 용수초은 별개이며, 강화도 교동에서 등메에 사용한 참골은 골을 특별히 1년 이상 인공(?)재배하여 길들인 것이고, 용수초는 용의 수염처럼 생긴 데에서 왔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골의 일종이며, 용수초와 참골로 제작한 화문석은 매우 부드럽고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고 한다. <br/> |
+ | |||
==='''왕골'''=== | ==='''왕골'''=== | ||
15번째 줄: | 16번째 줄: | ||
*안쪽 속(수피)부분에 무색의 세포인 유조직이 있다. <ref> 생명자원정보서비스 https://www.bris.go.kr/portal/resource/book/selectResourceBookDtlInfo.do?lfrcMnno=MANUIP3300300006&gubun=1&siteGb=&menuNo=200221</ref> <br/> | *안쪽 속(수피)부분에 무색의 세포인 유조직이 있다. <ref> 생명자원정보서비스 https://www.bris.go.kr/portal/resource/book/selectResourceBookDtlInfo.do?lfrcMnno=MANUIP3300300006&gubun=1&siteGb=&menuNo=200221</ref> <br/> | ||
(주:왕골에 대한 자료는 너무 많아 여기서 자세히 기록하지 않는다) | (주:왕골에 대한 자료는 너무 많아 여기서 자세히 기록하지 않는다) | ||
+ | |||
==='''골풀'''=== | ==='''골풀'''=== | ||
24번째 줄: | 26번째 줄: | ||
*생장식기는 4월 부터 11월 서리가 올 때까지 한다. <ref>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910&cid=40942&categoryId=32733</ref> <br/> | *생장식기는 4월 부터 11월 서리가 올 때까지 한다. <ref>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910&cid=40942&categoryId=32733</ref> <br/> | ||
마지막 교동 등메장인 이산룡씨에 의하면, 등메의 재료인 참골은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는 자연 생'골'을, 즉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꾸어 부들부들한 참골을 만든다고 한다. | 마지막 교동 등메장인 이산룡씨에 의하면, 등메의 재료인 참골은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는 자연 생'골'을, 즉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꾸어 부들부들한 참골을 만든다고 한다. | ||
− | 이때 골이 어떤 골인지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은데, 골풀류 중에 하나로 본다 | + | 이때 골이 어떤 골인지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은데, 골풀류 중에 하나로 본다. |
− | |||
− | |||
==='''참골'''=== | ==='''참골'''=== | ||
− | 골풀에 기술한 바와 같이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는 자연 생'골'을, 즉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 + | 참골은 일반적인 명칭의 식물은 아니고, 위의 골풀에 기술한 바와 같이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는 자연 생'골'을, 즉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꾸면서 다음해 한 해 공을 들이면 부들부들한 참골이 되어 쓸 만하게 된다고 한 것으로 보아 사람에 의한 개량된 식물로 봐야 할 것이다.<ref> 예용해전집1(인간문화재), 등메장, 대원사, 1997.06.07 http://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5018&tabNodeId=NODE04209736&nodeId=NODE04210444</ref> <br/> |
− | 또한 살구꽃 봉오리를 | + | 또한 살구꽃 봉오리를 가졌다고 한다. 이산룡씨와 인터뷰했던 예용해 기자는 이것을 조리풀이라고 하였으며, 골풀의 일종으로 보이는데 정확히는 대궁이가 똥글똥글한 골풀로 보는 것이 맞는 듯하다. |
− | |||
+ | ==='''조리풀'''=== | ||
+ | 조리풀에 대한 식물학적 정보는 나와 있지 않으나, 검색하다보니 원이름은 족도리풀인데 일제강점기에 조리풀로 변형된 이름으로 보이라고 주장하는 책이 있었다. <ref>창씨개명된 우리 풀꽃: 잘못된 이름으로 불리는 우리 풀꽃 속의 일제 잔재 https://books.google.co.kr/books?id=HW3UDQAAQBAJ&pg=PT230&lpg=PT230&dq=%EC%A1%B0%EB%A6%AC%ED%92%80&source=bl&ots=6VGKIxyTxA&sig=ACfU3U1SXNl-16BkOBsnQW_eHG8GPn1Syw&hl=ko&sa=X&ved=2ahUKEwiYoPGXmITjAhWZyYsBHYGdBi84ChDoATADegQICRAB#v=onepage&q=%EC%A1%B0%EB%A6%AC%ED%92%80&f=false</ref> <br/> | ||
+ | 그런데 족도리풀로 검색한 식물의 모양을 보니,이 식물은 아니다. <br/> | ||
+ | [[File:조리풀3.png|230px]] [[File:조리풀9.png|230px]] | ||
− | = | + | 어떤 블로그에서 조리풀을 골풀, 등심초, 골(속), 인초(藺草)이라고도 하며 수등심, 석룡추(石龍芻) 용수초(龍鬚草) 고을심(古乙心) 호수초(虎須草) 적수(赤須) 등초(燈草) 벽옥초(碧玉草) 철등심(鐵燈心) 등의 많은 이명이 있다고 소개한 기록을 읽었다. <br/> |
+ | 골풀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au /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벼목 >골풀과 >골풀속 Juncus <br/> | ||
+ | 줄기를 말려서 돗자리를 만든다고 하는데, 사진상으로 비슷한 부분이 많아 올려놓는다. <ref>골풀 common-rush, Effusus, Lamp rush, Softrush http://m.blog.daum.net/domountain/17952708?np_nil_b=1</ref> <br/> | ||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60px> | |
+ | File:조리풀4.png | ||
+ | File:조리풀5.png | ||
+ | File:조리풀6.png | ||
+ | File:조리풀7.png | ||
+ | File:조리풀8.png | ||
− | + | </gallery> | |
− | + | ||
− | + | ||
+ | ==='''용수초'''=== | ||
*용수초는 골풀.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 *용수초는 골풀.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 ||
+ | 용수석은 완초와 다른 골풀로 짠 자리를 가리킨다. 골풀은 습지에서 자생하는 가늘고 긴 풀로 용의 수염을 닮았다하여 용수초라고도 불렀으며 단면이 둥글고 속이 차 있어서 고급자리용으로 널리 쓰였다. | ||
+ | 오늘날 등메자리는 주로 이 골풀을 써서 자리틀에 걸어 은경밀직하고 부들을 덧댄 탄력적인 자리를 말한다. <ref>완초장 이상재의 완초공예기술 조사, 정리한 <문헌 및 관계기록.pdf. p.5> www.cultureline.kr/webgear/.../[%202%20]%20Ⅱ.%20문헌%20및%20관계기록.pdf</ref> | ||
− | + | ==='''부들'''=== | |
− | + | *외떡잎식물 부들목 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 |
+ | *연못 가장자리와 습지에서 자란다. | ||
+ | *높이 1∼1.5m이다. | ||
+ |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퍼지고 원주형이며 털이 없고 밋밋하다. | ||
+ | *잎은 나비 5∼10mm의 줄 모양으로 줄기의 밑부분을 완전히 둘러싼다. <ref>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699&cid=40942&categoryId=32822</ref> <br/> | ||
+ | 부들로 짠 자리는 청포(淸蒲)라고도 하는데, 침전(寢殿)에 까는 청록색 자리이다. 민물 습지에서 자라는 부들을 그늘에 말리면, 푸른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이는 용수초와 골풀, 참골 등으로 짠 화문석(花紋席)의 기직으로 사용되었다. | ||
+ | <ref>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75&cid=41826&categoryId=41826</ref> <br/>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61번째 줄: | 78번째 줄: | ||
==='''영상'''=== | ==='''영상'''=== | ||
− | * | + | * 청산별곡TV, 한국의 산약초 56.골풀 , 게시일: 2018년 7월 5일. |
<html>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qvcrnzGlmNg"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
2019년 6월 25일 (화) 17:33 판
개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는 화문석은 왕골을 재료로 만든다는 것이다. 현재 강화도의 특산물은 왕골 화문석이고 전남 함평, 나주 등지의 돗자리 또한 왕골로 만들어지기에 우리는 역사적으로도 왕골로 화문석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오류를 범하곤 한다.
화문석 자료를 찾으면서 가장 헛갈리고 자료가 엉켜있던 부분이 바로 화문석의 재료가 되는 왕골/골/조리풀/참골/용수초였다. 왜냐하면 역사서에서는 왕골보다는 왕골의 다른 이름인 완초(莞席)와 용수초(龍鬚席, 龍鬚草地席 등)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어떤 백과사전은 <용수초지석이라는 이름은 왕골이 용의 수염처럼 생긴 데에서 왔다>고 기록되어 용수초와 왕골을 같이 보고 있는데, 이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이에 화문석의 재료가 되는 왕골/골/참골/조리풀/용수초에 대해 구분해서 기록하고자 한다.
해설
기록된 자료에서는 왕골, 골, 조리풀, 용수초은 별개이며, 강화도 교동에서 등메에 사용한 참골은 골을 특별히 1년 이상 인공(?)재배하여 길들인 것이고, 용수초는 용의 수염처럼 생긴 데에서 왔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골의 일종이며, 용수초와 참골로 제작한 화문석은 매우 부드럽고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고 한다.
왕골
- 왕골은 방동산이과에 속하는 초본식물이다.
- 열대지방에서는 숙근성식물이지만 온대에서는 1년생이고 종자로 번식한다.
- 발아초기에는 6~8장의 잎이 발생하고, 줄기는 1.2~1.5m 정도까지 생장한다.
- 줄기는 각이 둔한 삼각기둥을 이룬다.
- 표피는 매끌럽고 광택이 난다.
- 성수하면 황갈색을 띠고, 표피 안쪽에 엽록소를 포함하고 있는 후막조직이 있다.
- 안쪽 속(수피)부분에 무색의 세포인 유조직이 있다. [1]
(주:왕골에 대한 자료는 너무 많아 여기서 자세히 기록하지 않는다)
골풀
- 골풀은 골풀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 여러해살이다.
- 줄기는 50~100cm 정도로 생장하게 된다.
- 줄기는 곧게 생장하면 모여서 나고 기둥꼴로(둥글게)서 속에 수피가 차있다.
- 잎은 줄기 밑 부분에 달리면 비늘조각으로 되어있고 보통 홍자색으로 윤기가 있다.
- 생장하는 곳은 들의 물가나 습지, 논과 같은 습지에서 한다.
- 생장식기는 4월 부터 11월 서리가 올 때까지 한다. [2]
마지막 교동 등메장인 이산룡씨에 의하면, 등메의 재료인 참골은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는 자연 생'골'을, 즉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꾸어 부들부들한 참골을 만든다고 한다. 이때 골이 어떤 골인지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은데, 골풀류 중에 하나로 본다.
참골
참골은 일반적인 명칭의 식물은 아니고, 위의 골풀에 기술한 바와 같이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는 자연 생'골'을, 즉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꾸면서 다음해 한 해 공을 들이면 부들부들한 참골이 되어 쓸 만하게 된다고 한 것으로 보아 사람에 의한 개량된 식물로 봐야 할 것이다.[3]
또한 살구꽃 봉오리를 가졌다고 한다. 이산룡씨와 인터뷰했던 예용해 기자는 이것을 조리풀이라고 하였으며, 골풀의 일종으로 보이는데 정확히는 대궁이가 똥글똥글한 골풀로 보는 것이 맞는 듯하다.
조리풀
조리풀에 대한 식물학적 정보는 나와 있지 않으나, 검색하다보니 원이름은 족도리풀인데 일제강점기에 조리풀로 변형된 이름으로 보이라고 주장하는 책이 있었다. [4]
그런데 족도리풀로 검색한 식물의 모양을 보니,이 식물은 아니다.
어떤 블로그에서 조리풀을 골풀, 등심초, 골(속), 인초(藺草)이라고도 하며 수등심, 석룡추(石龍芻) 용수초(龍鬚草) 고을심(古乙心) 호수초(虎須草) 적수(赤須) 등초(燈草) 벽옥초(碧玉草) 철등심(鐵燈心) 등의 많은 이명이 있다고 소개한 기록을 읽었다.
골풀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au /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벼목 >골풀과 >골풀속 Juncus
줄기를 말려서 돗자리를 만든다고 하는데, 사진상으로 비슷한 부분이 많아 올려놓는다. [5]
용수초
- 용수초는 골풀.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용수석은 완초와 다른 골풀로 짠 자리를 가리킨다. 골풀은 습지에서 자생하는 가늘고 긴 풀로 용의 수염을 닮았다하여 용수초라고도 불렀으며 단면이 둥글고 속이 차 있어서 고급자리용으로 널리 쓰였다. 오늘날 등메자리는 주로 이 골풀을 써서 자리틀에 걸어 은경밀직하고 부들을 덧댄 탄력적인 자리를 말한다. [6]
부들
- 외떡잎식물 부들목 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 연못 가장자리와 습지에서 자란다.
- 높이 1∼1.5m이다.
-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퍼지고 원주형이며 털이 없고 밋밋하다.
- 잎은 나비 5∼10mm의 줄 모양으로 줄기의 밑부분을 완전히 둘러싼다. [7]
부들로 짠 자리는 청포(淸蒲)라고도 하는데, 침전(寢殿)에 까는 청록색 자리이다. 민물 습지에서 자라는 부들을 그늘에 말리면, 푸른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이는 용수초와 골풀, 참골 등으로 짠 화문석(花紋席)의 기직으로 사용되었다.
[8]
시각자료
사진
박물관과 갑곶돈대 입구
박물관 건물
박물관 전경
영상
- 청산별곡TV, 한국의 산약초 56.골풀 , 게시일: 2018년 7월 5일.
출처
- ↑ 생명자원정보서비스 https://www.bris.go.kr/portal/resource/book/selectResourceBookDtlInfo.do?lfrcMnno=MANUIP3300300006&gubun=1&siteGb=&menuNo=200221
-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2910&cid=40942&categoryId=32733
- ↑ 예용해전집1(인간문화재), 등메장, 대원사, 1997.06.07 http://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5018&tabNodeId=NODE04209736&nodeId=NODE04210444
- ↑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 잘못된 이름으로 불리는 우리 풀꽃 속의 일제 잔재 https://books.google.co.kr/books?id=HW3UDQAAQBAJ&pg=PT230&lpg=PT230&dq=%EC%A1%B0%EB%A6%AC%ED%92%80&source=bl&ots=6VGKIxyTxA&sig=ACfU3U1SXNl-16BkOBsnQW_eHG8GPn1Syw&hl=ko&sa=X&ved=2ahUKEwiYoPGXmITjAhWZyYsBHYGdBi84ChDoATADegQICRAB#v=onepage&q=%EC%A1%B0%EB%A6%AC%ED%92%80&f=false
- ↑ 골풀 common-rush, Effusus, Lamp rush, Softrush http://m.blog.daum.net/domountain/17952708?np_nil_b=1
- ↑ 완초장 이상재의 완초공예기술 조사, 정리한 <문헌 및 관계기록.pdf. p.5> www.cultureline.kr/webgear/.../[%202%20]%20Ⅱ.%20문헌%20및%20관계기록.pdf
-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699&cid=40942&categoryId=32822
- ↑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75&cid=41826&categoryId=41826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