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고려 화문석자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같은 사용자에 의한 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해설'''==
 
==='''신라'''===
 
===='''삼국사기 거기조車騎條'''====
 
六頭品(육두품) : 6두품은, 
 
前後幰若隨眞骨已上貴人行則不設(전후헌약수진골이상귀인행칙부설) : 수레의 앞 뒤 휘장은, 진골 이상의 귀인을 수행할 때는 치지 않고,
 
但自行則用竹簾若莞席(단자행칙용죽렴약완석) : 혼자 다닐 때만 대발이나 왕골 자리를 사용한다.
 
五頭品(오두품) : 5두품은,
 
前後幰只用竹簾莞席(전후헌지용죽렴완석) : 수레의 앞 뒤 휘장은 대발과 왕골 자리만을 사용하되,
 
위의 내용을 보면, 수레를 휘장으로 치장할 때 6두품과 5두품은 왕골 자리를 사용한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 이것은 자료에 나오는 왕골에 대한 처음 언급이다. <ref> 三國史記 第 三十三卷(삼국사기 제 33권) 雜志 第 二(잡지 제 02) https://hwalove.tistory.com/entry/%E4%B8%89%E5%9C%8B%E5%8F%B2%E8%A8%98-%E7%AC%AC-%E4%B8%89%E5%8D%81%E4%B8%89%E5%8D%B7%EC%82%BC%EA%B5%AD%EC%82%AC%EA%B8%B0-%EC%A0%9C-33%EA%B6%8C122%EF%A4%82%E9%A8%8E%EA%B1%B0%EA%B8%B0 </ref> 
 
 
===='''삼국사기 직관조(職官條)'''====
 
석전(席典)이라는 부서가 경덕왕 때 봉좌국(奉坐局)으로 바뀌었으며, 뒤에 다시 석전으로 개칭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즉 직관조(職官條)에 나타나는 이들이 자리류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청의 이름에서 자리류의 생산을 국가기관에서 담당하여야 할 만큼 이에 대한 수요가 많았을 것임을 보여준다. <ref>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rp0702&index_id=rp07020151&content_id=rp070201510001&search_left_menu=3</ref>
 
신라 경덕왕은 신라의 제35대 왕(재위 742∼765)으로 이때 언급된 석(席)이 백색자리인지, 무늬가 있는 석(席)인 화문석이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치만, 자리의 생산을 담당하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자리가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고려'''===
 
===='''해동역사'''====
 
고려 초에 해동역사는 요사를 인용하여 ‘고려 목종 11년(1008)에 요나라에 용수초 31석을 보냈다’고 기록하였다. ‘요나라 통화 26년인 무신 5월에 사신을 보내어 문화무공 양 궁전에 용수초 31석을 전물하였다’라는 최초의 기록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이전으로 추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같은 책에 <원씨액정기>를 인용하여 ‘원나라 순제가 영영을 위하여 경화도에 채방관을 세우고 안에 당인 만화문석을 깔았다’고 하였다. 그것은 ‘성질이 부드러워 부러지지 않으며 광택이 있어 매우 좋다’고 하였다.
 
 
===='''고려사 권 제7'''====
 
고려 문종이 즉위하여 영을 내릴 인욕(茵褥 : 왕골로 짠 자리)는 금, 은선으로 짜서 계금을 사용하나
 
이는 마땅히 동철(銅鐵)과 능견(綾絹)으로 바꾸어야겠노라.
 
 
===='''고려사 권 제7'''====
 
고려에서는 사직신(社稷神)인 후토씨(后土氏)와 후직씨(后稷氏)의 신위에 왕골자리르 깔았으며 왕실에서는 문석(文席)채석(彩席)화문대석(花文大席)을 사용하였다.
 
 
===='''고려도경 제28권 공장(供張) 문석(文席)'''====
 
북송시대 송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 인종 때 고려의 문물을 둘러보고 기록한 <고려도경>에도 ‘검고 흰색이 서로 섞여서 무늬를 이루고 청자색 테가 둘렸다. 정교한 것은 핌상과 평상에 깔고 침상에 까는 자리는 매우 우수하며 부드러워접거나 굽혀도 구부러지지 않는다’라고 극찬하였다.
 
 
[고려도경 中 화문석에 대한 설명]
 
문석은 곱고 일정하지 않다. 정교한 것은 침상과 평상에 깔고 거친 것은 땅에 까는데,
 
매우 부드러워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
 
검고 흰색이 서로 섞여서 무늬를 이루고 청자색 테가 둘렸다.
 
더구나 침상에 까는 자리는 매우 우수하여 놀랍기만 하다.<br/>
 
 
 
 
=='''시각자료'''==
 
 
==='''사진'''===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60px>
 
 
File:신라화문석1.png | 삼국사지
 
 
</gallery>
 
 
=='''출처'''==
 
 
<references/>
 
 
=='''기여'''==
 
 
{|class="wikitable"
 
!일자 || 역할|| 이름 || 전공
 
|-
 
| 2019년 6월 || 정리 및 편집 || [[손형남]] || 인문정보학
 
|-
 
|}
 

2019년 6월 25일 (화) 14:17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