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고려 화문석자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Sharondesign (토론 | 기여)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但自行則用竹簾若莞席(단자행칙용죽렴약완석) : 혼자 다닐 때만 대발이나 왕골 자리를 사용한다. | 但自行則用竹簾若莞席(단자행칙용죽렴약완석) : 혼자 다닐 때만 대발이나 왕골 자리를 사용한다. | ||
五頭品(오두품) : 5두품은, | 五頭品(오두품) : 5두품은, | ||
− | 前後幰只用竹簾莞席(전후헌지용죽렴완석) : 수레의 앞 뒤 휘장은 대발과 왕골 자리만을 사용하되, | + | 前後幰只用竹簾莞席(전후헌지용죽렴완석) : 수레의 앞 뒤 휘장은 대발과 왕골 자리만을 사용하되,<ref> 三國史記 第 三十三卷(삼국사기 제 33권) 雜志 第 二(잡지 제 02) https://hwalove.tistory.com/entry/%E4%B8%89%E5%9C%8B%E5%8F%B2%E8%A8%98-%E7%AC%AC-%E4%B8%89%E5%8D%81%E4%B8%89%E5%8D%B7%EC%82%BC%EA%B5%AD%EC%82%AC%EA%B8%B0-%EC%A0%9C-33%EA%B6%8C122%EF%A4%82%E9%A8%8E%EA%B1%B0%EA%B8%B0 </ref> |
− | + | ||
+ | 위의 내용을 보면, 수레를 휘장으로 치장할 때 6두품과 5두품은 왕골 자리를 사용한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 이것은 자료에 나오는 왕골에 대한 처음 언급이다. | ||
===='''삼국사기 직관조職官條'''==== | ===='''삼국사기 직관조職官條'''==== | ||
석전(席典)이라는 부서가 경덕왕 때 봉좌국(奉坐局)으로 바뀌었으며, 뒤에 다시 석전으로 개칭되었다. | 석전(席典)이라는 부서가 경덕왕 때 봉좌국(奉坐局)으로 바뀌었으며, 뒤에 다시 석전으로 개칭되었다. | ||
직관조(職官條)는 자리류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청의 이름에서 자리류의 생산을 국가기관에서 담당하여야 할 만큼 이에 대한 수요가 많았을 것임을 보여준다. <ref>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rp0702&index_id=rp07020151&content_id=rp070201510001&search_left_menu=3</ref> <br/> | 직관조(職官條)는 자리류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청의 이름에서 자리류의 생산을 국가기관에서 담당하여야 할 만큼 이에 대한 수요가 많았을 것임을 보여준다. <ref>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rp0702&index_id=rp07020151&content_id=rp070201510001&search_left_menu=3</ref> <br/> | ||
신라 경덕왕은 신라의 제35대 왕(재위 742∼765)으로 이때 석전을 봉좌국으로 바꾸었다는 것은 석전이 이미 경덕왕 이전에 있던 관청이었고, 자리의 생산을 담당하던 관청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자리가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br/> | 신라 경덕왕은 신라의 제35대 왕(재위 742∼765)으로 이때 석전을 봉좌국으로 바꾸었다는 것은 석전이 이미 경덕왕 이전에 있던 관청이었고, 자리의 생산을 담당하던 관청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자리가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br/> | ||
− | 이때 언급된 석(席)이 백색자리인지, 무늬가 있는 석(席)인 | + | 이때 언급된 석(席)이 백색자리인지, 무늬가 있는 석(席)인 화문석(花紋席)이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
==='''고려'''=== | ==='''고려'''=== | ||
===='''해동역사'''==== | ===='''해동역사'''==== | ||
− | 고려 | + | 고려 목종 11년(1008)에 요나라에 용수초 31석을 보냈다 |
− | + | 요나라 통화 26년인 무신 5월에 사신을 보내어 문화무공 양 궁전에 용수초 31석을 전물하였다 | |
+ | 고려 초에 해동역사는 요사를 인용하여 위와 같이 기록하였다. <ref> 등메장 최헌열 http://www.oneclick.or.kr/bbs/boardView.do?id=83&bIdx=80930&page=1&menuId=143&bc=0</ref> <br/> <br/> | ||
+ | 용수초는 골풀류의 하나로 석(席) 혹은 화문석(花紋席)을 제작하는 식물이다. 현재 화문석을 제작하는 왕골과 혼동하여 사용되기도 하는데, 기록된 많은 자료에 의하면, 제작 후에 왕골 화문석보다 훨씬 부드러운 것으로 보여져 다른 식물로 보여진다. 마찬가지로 이때의 용수초석이 돗자리인 석(席)이지 무늬가 있는 화문석(花紋席)인지는 확실치 않다. | ||
===='''고려사 권 제7'''==== | ===='''고려사 권 제7'''==== | ||
− | 고려 문종이 즉위하여 영을 내릴 인욕(茵褥 : 왕골로 짠 자리)는 금, 은선으로 짜서 계금을 사용하나 | + | 고려 문종이 즉위하여 영을 내릴 인욕(茵褥 : 왕골로 짠 자리)는 금, 은선으로 짜서 계금을 사용하나 |
− | 이는 마땅히 동철(銅鐵)과 능견(綾絹)으로 바꾸어야겠노라. | + | 이는 마땅히 동철(銅鐵)과 능견(綾絹)으로 바꾸어야겠노라. <ref> 강화화문석문화관 http://www.ghss.or.kr/src/article.php?menu_cd=0804010100</ref> |
+ | 고려 문종은 제11대 왕(재위 1046∼1083)으로 이때에도 사용된 왕골자리가 돗자리인 석(席)이지 무늬가 있는 화문석(花紋席)인지는 확실치 않다. | ||
+ | ===='''고려도경 제28권 공장(供張) 문석(文席)'''==== | ||
+ | 문석은 곱고 일정하지 않다. 정교한 것은 침상과 평상에 깔고 거친 것은 땅에 까는데, 매우 부드러워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 | ||
+ | 검고 흰색이 서로 섞여서 무늬를 이루고 청자색 테가 둘렸다. 더구나 침상에 까는 자리는 매우 우수하여 놀랍기만 하다. <ref>해동역사 제26권 물산지物産志 초류草類 https://citrain64.blog.me/100119606744</ref> | ||
+ | 고려도경은 1123년(인종 1) 고려 중기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지은 책이다. | ||
+ | |||
+ | ===='''고려사 권제29, 2장 뒤쪽, 세가 29 충렬왕 5.3'''==== | ||
+ | 甲寅 遣郎將殷洪淳 如元 獻花文大席 갑인일에 낭장 은홍순을 원나라에 보내어 화문대석을 바쳤다. | ||
+ | 고려 충렬왕은 제25대(재위:1274~1308) 왕으로 대략 110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화문석이 언급됨을 알 수 있다. | ||
+ | |||
+ | ===='''해동역사 원씨액정기'''==== | ||
+ | 원나라 순제가 영영英英을 위하여 채방관采방관을 경화도 안에다 짓고는 당인의 만화석을 깔았다. | ||
+ | 당인은 고려에 있는 섬 이름으로 만화초가 나는데, 성질이 부드러워서 꺽어도 손상되지 않으며 광택이 있어 아주 아름답다. | ||
+ | 이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짜서 방석으로 만든다. <ref>해동역사 제26권 물산지物産志 초류草類 https://citrain64.blog.me/100119606744</ref> | ||
+ | 원(元)나라 순제는 15대 황제(재위 : 1333(37)~1367(70))으로 고려에서 공물 받은 만화석으로 궁궐을 장식하였다. <br/> | ||
+ | 만화석은 화문석의 또 다른 이름이다. 고려에 만화초가 나는 섬인 당인은 강화도로 보여지며, 석(席)은 물론 방석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에는 막연히 등장하던 화문석에 이제 구체적인 지명까지 등장하여, | ||
+ | |||
+ | |||
+ | |||
+ | |||
===='''고려사 권 제7'''==== | ===='''고려사 권 제7'''==== | ||
− | 고려에서는 사직신(社稷神)인 후토씨(后土氏)와 후직씨(后稷氏)의 신위에 | + | 고려에서는 사직신(社稷神)인 후토씨(后土氏)와 후직씨(后稷氏)의 신위에 왕골자리를 깔았으며 왕실에서는 문석(文席)채석(彩席)화문대석(花文大席)을 사용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2019년 6월 25일 (화) 11:33 판
목차
개요
해설
신라
삼국사기 거기조車騎條
六頭品(육두품) : 6두품은, 前後幰若隨眞骨已上貴人行則不設(전후헌약수진골이상귀인행칙부설) : 수레의 앞 뒤 휘장은, 진골 이상의 귀인을 수행할 때는 치지 않고, 但自行則用竹簾若莞席(단자행칙용죽렴약완석) : 혼자 다닐 때만 대발이나 왕골 자리를 사용한다. 五頭品(오두품) : 5두품은, 前後幰只用竹簾莞席(전후헌지용죽렴완석) : 수레의 앞 뒤 휘장은 대발과 왕골 자리만을 사용하되,[1]
위의 내용을 보면, 수레를 휘장으로 치장할 때 6두품과 5두품은 왕골 자리를 사용한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 이것은 자료에 나오는 왕골에 대한 처음 언급이다.
삼국사기 직관조職官條
석전(席典)이라는 부서가 경덕왕 때 봉좌국(奉坐局)으로 바뀌었으며, 뒤에 다시 석전으로 개칭되었다.
직관조(職官條)는 자리류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관청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청의 이름에서 자리류의 생산을 국가기관에서 담당하여야 할 만큼 이에 대한 수요가 많았을 것임을 보여준다. [2]
신라 경덕왕은 신라의 제35대 왕(재위 742∼765)으로 이때 석전을 봉좌국으로 바꾸었다는 것은 석전이 이미 경덕왕 이전에 있던 관청이었고, 자리의 생산을 담당하던 관청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자리가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언급된 석(席)이 백색자리인지, 무늬가 있는 석(席)인 화문석(花紋席)이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고려
해동역사
고려 목종 11년(1008)에 요나라에 용수초 31석을 보냈다 요나라 통화 26년인 무신 5월에 사신을 보내어 문화무공 양 궁전에 용수초 31석을 전물하였다
고려 초에 해동역사는 요사를 인용하여 위와 같이 기록하였다. [3]
용수초는 골풀류의 하나로 석(席) 혹은 화문석(花紋席)을 제작하는 식물이다. 현재 화문석을 제작하는 왕골과 혼동하여 사용되기도 하는데, 기록된 많은 자료에 의하면, 제작 후에 왕골 화문석보다 훨씬 부드러운 것으로 보여져 다른 식물로 보여진다. 마찬가지로 이때의 용수초석이 돗자리인 석(席)이지 무늬가 있는 화문석(花紋席)인지는 확실치 않다.
고려사 권 제7
고려 문종이 즉위하여 영을 내릴 인욕(茵褥 : 왕골로 짠 자리)는 금, 은선으로 짜서 계금을 사용하나 이는 마땅히 동철(銅鐵)과 능견(綾絹)으로 바꾸어야겠노라. [4]
고려 문종은 제11대 왕(재위 1046∼1083)으로 이때에도 사용된 왕골자리가 돗자리인 석(席)이지 무늬가 있는 화문석(花紋席)인지는 확실치 않다.
고려도경 제28권 공장(供張) 문석(文席)
문석은 곱고 일정하지 않다. 정교한 것은 침상과 평상에 깔고 거친 것은 땅에 까는데, 매우 부드러워 접거나 굽혀도 상하지 않는다. 검고 흰색이 서로 섞여서 무늬를 이루고 청자색 테가 둘렸다. 더구나 침상에 까는 자리는 매우 우수하여 놀랍기만 하다. [5]
고려도경은 1123년(인종 1) 고려 중기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지은 책이다.
고려사 권제29, 2장 뒤쪽, 세가 29 충렬왕 5.3
甲寅 遣郎將殷洪淳 如元 獻花文大席 갑인일에 낭장 은홍순을 원나라에 보내어 화문대석을 바쳤다.
고려 충렬왕은 제25대(재위:1274~1308) 왕으로 대략 110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화문석이 언급됨을 알 수 있다.
해동역사 원씨액정기
원나라 순제가 영영英英을 위하여 채방관采방관을 경화도 안에다 짓고는 당인의 만화석을 깔았다. 당인은 고려에 있는 섬 이름으로 만화초가 나는데, 성질이 부드러워서 꺽어도 손상되지 않으며 광택이 있어 아주 아름답다. 이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짜서 방석으로 만든다. [6]
원(元)나라 순제는 15대 황제(재위 : 1333(37)~1367(70))으로 고려에서 공물 받은 만화석으로 궁궐을 장식하였다.
만화석은 화문석의 또 다른 이름이다. 고려에 만화초가 나는 섬인 당인은 강화도로 보여지며, 석(席)은 물론 방석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에는 막연히 등장하던 화문석에 이제 구체적인 지명까지 등장하여,
고려사 권 제7
고려에서는 사직신(社稷神)인 후토씨(后土氏)와 후직씨(后稷氏)의 신위에 왕골자리를 깔았으며 왕실에서는 문석(文席)채석(彩席)화문대석(花文大席)을 사용하였다.
시각자료
사진
삼국사지
출처
- ↑ 三國史記 第 三十三卷(삼국사기 제 33권) 雜志 第 二(잡지 제 02) https://hwalove.tistory.com/entry/%E4%B8%89%E5%9C%8B%E5%8F%B2%E8%A8%98-%E7%AC%AC-%E4%B8%89%E5%8D%81%E4%B8%89%E5%8D%B7%EC%82%BC%EA%B5%AD%EC%82%AC%EA%B8%B0-%EC%A0%9C-33%EA%B6%8C122%EF%A4%82%E9%A8%8E%EA%B1%B0%EA%B8%B0
- ↑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rp0702&index_id=rp07020151&content_id=rp070201510001&search_left_menu=3
- ↑ 등메장 최헌열 http://www.oneclick.or.kr/bbs/boardView.do?id=83&bIdx=80930&page=1&menuId=143&bc=0
- ↑ 강화화문석문화관 http://www.ghss.or.kr/src/article.php?menu_cd=0804010100
- ↑ 해동역사 제26권 물산지物産志 초류草類 https://citrain64.blog.me/100119606744
- ↑ 해동역사 제26권 물산지物産志 초류草類 https://citrain64.blog.me/100119606744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