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彝)
메타데이터
- Project: 종묘
- Label: 물품
- 유형: 제기
- 한자: 彝
- Writer: 서소리
내용
이(彝)는 신께 올리는 각종의 술을 담아두는 제기로 준소상에 진설된다. 이(彝)에는 계이(鷄彝), 조이(鳥彝), 가이(斝彛), 황이(黃彛)가 있다.
- 계이(鷄彝)와 조이(鳥彝)
『예서』 계이와 조이(鳥彝)는 새겨서 그려 닭과 봉황의 모양을 만든 것을 말한다. 봄의 사(祠) 제사와 여름의 약(禴) 제사의 강신에 계이와 조이를 사용한다. 닭은 동방을 상징하는 조물로 인(仁)에 해당되고, 새는 남방을 상징하는 조물로 예(禮)에 해당된다. 이것이 선왕(先王)이 계이와 조이를 봄의 사 제사와 여름의 약 제사에 사용하는 까닭이다. 봄의 사 제사에는 계이에 명수(明水)를 담고 조이에 울창주를 담으며, 여름의 약 제사에는 조이에 명수를 담고 계이에 울창주를 담는다. 가이와 황이가 상대적으로 사용되는 것도 이와 같다.
- 가이(斝彛)와 황이(黃彛)
『예서』 가(斝)는 가(稼)로 읽는다. 가이(斝彝)는 벼 이삭을 그린 것이다. 황이(黃彝)는 황목준(黃目尊)이다. 황목이란 황금(黃金)으로 눈 모양을 만든 것이니, 울창주를 담는 최상급의 준(尊)이다. 황은 가운데를 상징하고, 눈은 기(氣) 가운데 청명(淸明)한 것이니, 그 안에 술을 따랐을 때 밖으로 맑고 투명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 것이다. 가을의 상(嘗) 제사와 겨울의 증(烝) 제사의 강신에 가이와 황이를 사용한다. 상(商)나라에서는 가이를 사용했고, 주(周)나라에서는 황목을 사용했으니, 주나라의 이(彝)가 황색이면 상나라의 이는 백색이다. 백색은 음(陰)의 본질을 상징하는 것으로 의(義)에 해당되고, 황색은 음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것으로 신(信)에 해당되니, 이것이 선왕이 가을의 상 제사와 겨울의 증 제사에 가이와 황이를 사용했던 까닭이다.
관련항목
- 음식
웹자원
조선왕조실록사전, "계이(鷄彝)",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46
조선왕조실록사전, "조이(鳥彝)",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47
조선왕조실록사전, "가이(斝彛)",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45
조선왕조실록사전, "황이(黃彛)",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3449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계이(鷄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88&cid=49381&categoryId=49381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조이(鳥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89&cid=49381&categoryId=49381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가이(斝彛)",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90&cid=49381&categoryId=49381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왕실 관혼상제), "황이(黃彛)",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52191&cid=49381&categoryId=49381
종묘제례, "계이(鷄彝)", "조이(鳥彝)", "가이(斝彛)", "황이(黃彛)", http://www.jongmyo.net/sub/clothes/clo_jegi05.asp
출처
- ↑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 ↑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 ↑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 ↑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 ↑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
- ↑ 『종묘의궤』(1706) Retrieved from 한국고전종합DB, 종묘의궤 제1책, 종묘의 제기(祭器) 도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