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메타데이터

  • Project: 종묘
  • Label: 참여자
  • 항목명: 이강덕
  • 한자: 李康德
  • Writer: 이한나

내용

  • 생몰: 1928년 11월 24일 - 2007년 6월 6일
  • 1964년 12월 7일, 종묘제례악이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될 당시
  • 피리 연주가·작곡가·지휘자. 중요무형문화재(重要無形文化財) 예능보유자.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악장(樂章). 서울 출생.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의 아악수(雅樂手). 전공은 피리. 아악부원양성소(雅樂部員養成所) 제6기 졸업생.

Kangdeok.jpg

1944년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를 졸업하여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의 아악수를 거쳐 1950년부터 국립국악원 국악사(國樂士 1950~1967)로 재직했고, 1959년부터 1961년까지 국악사양성소(國樂士養成所)의 무용 강사를 역임했다. 1962년 "새하늘"로 5·16 1주기기념 신국악작곡공모에 당선되었다. 1964년 12월 7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편경(編磬)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65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창단 이후 초연된 그의 창작곡으로 "죽의 환상"·"아쟁을 위한 합주곡"·"송춘곡"·"염불 주제에 의한 환상곡"·"해조"·"귀향" 등이 있다. 1968년 국립국악원에서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악장으로 옮긴 후 가야금협주곡(1~9번)·피리협주곡(1~4번)·해금협주곡(1~7번) 및 "염불 환상곡"·"송춘곡"(頌春曲) 등 100여 곡을 작곡했다. 1960년대 불모지인 국악계에 새 창작품을 작곡했고, 1970년대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정기연주회 프로그램에서 그의 이름이 빠지지 않았으므로, 많은 신인연주자들이 그의 협주곡을 통해 무대에 데뷔하였다. 양악(洋樂)의 협주곡처럼 카덴자의 개념을 도입한 최초의 작곡가이다. 한범수류(韓範洙流) 해금산조를 합주곡으로 창작한 작품이 그의 해금협주곡 제 1번이다. 이 협주곡의 장단구성은 진양·중모리·세산조시·굿거리로 됐으며, 산조의 장단구조에서 흔히 볼 수 없는 4/4박자의 세산조시 10장단을 독주와 현악기군이 연주하는 점은 이 협주곡의 특징이다. "가야금협주곡 제7번"은 박상근류 산조에 뿌리를 둔 성금연류(成錦鳶流) 가야금산조를 협주곡으로 창작한 작품이다. 1978년에 작곡한 "환상합주곡"은 세 악장으로 구성됐고, 각 악장이 특별한 형식에 의한 것은 아니다. 가야금의 독주 선율이 간간히 돋보이고, 굿거리장단의 다양한 리듬변화에 의한 선율이 흥취를 돋운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 "송춘곡"은 작품의 제목처럼 봄날의 기쁨을 노래한 표제음악의 일종으로서 봄의 소리를 묘사한 작품이다.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국악기를 통해서 묘사하려고 노력했으며 낭만주의적 색채가 짙은 작곡가이다. 1962년 "다시 찾은 빛"·"가야금과 소금의 병주"·"가야금3중주" 작곡. 5·16 1주년 기념 신국악 공모의 당선작 "새하늘"이 있고, 1968년 관현악 "죽(竹)의 환상(幻想)"·관현악 "아쟁을 위한 합주곡" 작곡했으며, 1969년 가야금독주곡 "해조"(海潮)·관현악 "원종성"(遠鍾聲)·세악(細樂) "현악4중주 제1번"·관현악 "염불 주제에 의한 환상곡" 작곡하였다. 1970년 관현악 "합주곡 제27번"·관현악 "귀향"(歸鄕)·관현악 "피리 독주와 관현악"·"가야금 독주와 관현악" 작곡했고, 1971년 관현악 "소광호"(韶光好)·"소금을 위한 합주곡"·관현악 "합주곡 제28번" 작곡했으며, 1972년 관현악 "합주곡 제29번"·관현악 "산조 환상곡 1번"·"가야금과 관현악"·관현악 "서운추"(瑞雲秋)·관현악 "해금산조를 위한 합주곡" 작곡하였다. 1973년 관현악 "산조 환상곡 제2번"·관현악 "새 당악" 작곡했고, 1974년 관현악 "송주곡"(頌奏曲)·"가야금을 위한 합주곡"·피리독주곡 "황토(黃土)재"·관현악 "묘정세우"(廟庭細雨)·무용곡 "사(死)의 승무(僧舞)" 작곡했으며, 1975년 "가야금협주곡 제2번" 작곡하였다. 1976년 3월 29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제50회 정기연주회 때 "가야금협주곡 제1번"을, 그리고 10월 21일 제54회 정기연주회 때 "가야금협주곡 3번"을 출품하였다. 1977년 3월 16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제56회 정기연주회 때 "피리협주곡"을, 5월 2일 제57회 정기연주회 때 "소금 협주곡"을, 6월 9일 청소년국악연주회 때 "가야금협주곡 제1번" 및 "가야금협주곡 제4번"을, 9월 20일 제59회 정기연주회 때 "세악 2번"을, 10월 19일 제59회 정기연주회 때 "가야금협주곡 제2번"을, 11월 10일 청소년국악연주회 때 "가야금협주곡 제1번"을, 그리고 12월 22일 제10회 한국음악창작발표회 때 "염불(念佛) 주제에 의한 환상곡(幻想曲)"을 발표했고, 1978년에 간행된 창작곡집 『대악』(大樂 1978)에 그의 "가야금 협주곡 5번"이 실렸다. 1978년 3월 22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제62회 정기연주회 때 "송춘곡"을, 5월 30일 제12회 한국음악창작발표회 때 "가야금협주곡 제5번"을, 6월 21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제63회 정기연주회 때 "산조와 무악(巫樂)을 주제로 한 합주곡"을, 그리고 9월 4일 제3회 대한민국음악제 때 작품 "가야금협주곡 제1번"을 발표했다. 1979년 10월 15일 제10회 중요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 발표공연 때 출연하였다.

1980년 12월 3일 국립국악원의 한국음악창작발표회 때 "환상합주곡"을 발표했다. 1981년 "대금독주와 관현악을 위한 합주곡 Ⅱ"로 제5회 대한민국작곡상 국악부문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1982년 6월 9일 대한민국 국악제 창작곡의 밤 때 "가야금협주곡 4번"을, 11월 12일 해경악회 제3회 정기연주회 때 "현악4중주 제1번"을, 그리고 12월 16일 한국음악창작발표회 때 "가야금협주곡 7번"을 발표했다.

1987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정기연주회 및 87서울국악제 때 "가야금협주곡 1번"(1970년 작곡)을 발표했고, 1988년 국립국악원 신축청사 개관 기념공연 때 출품했다. 1989년 대한민국 국악제의 청주(淸州) 공연 때 출연했고, 1990년 11월 3일 KBS국악관현악단 제38회 정기연주회 때 관현악 "이씨네 변주곡"을, 11월 8일 송정희의 해금독주회 때 중주곡 "서운"을, 그리고 11월 15일 제33회 한국음악창작발표회 때 "피리협주곡 4번"을 발표했다. 1991년 3월 5일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제29회 정기연주회 때 "송춘곡"을, 3월 22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특별연주회 때 "가야금협주곡 1번"을, 5월 21일 대구시립국악단 특별연주회 때 "소금협주곡"을, 5월 29일 충남국악관현악단 제2회 정기연주회 때 "대불"을, 6월 14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의 공연 때 "대금협주곡"을, 6월 4일 청주시립국악단 국악연주회 때 "가야금독주와 관현악"을, 그리고 9월 20일 제7회 서울예전대 국악과 정기연주회 때 "염불 주제에 의한 환상곡"을 발표하였다. 1992년 창단된 세종국악관현악단의 연주회를 통해 초연된 창작품으로 "고향춘"이 있다. 1992년 5월 8일 이기설의 해금독주회 때, 5월 25일 충남국악관현악단 제6회 정기연주회 때, 9월 2일 한양대 국악과 창설20주년 기념음악회 때, 10월 6일 단국대 국악과 제9회 정기연주회 때, 10월 8일 대전시립국악단 제34회 정기연주회 때, 10월 13일 추계예술학교 제15회 정기연주회 때, 10월 15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제178회 정기연주회 때, 10월 17일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제179회 정기연주회 때, 11월 19일 KBS국악관현악단 제54회 정기연주회 때, 그리고 11월 20일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창작국악의 밤 때 출품했으며, 5월 12일 이창신·이경희의 2인음악회 때 "행운유월"을, 9월 17일 KBS국악관현악단 제52회 정기연주회 때 협주곡을, 그리고 11월 14일 대구시립국악단 제39회 정기연주회 때 "피리협주곡"을 발표하였다. 1994년 4월 26일 세종청성국악관현악단 창단연주회 때 관현악곡 "고향춘"을, 그리고 12월 9일 제40회 한국음악창작발표회 때 관현악곡 "새벽"을 발표했고, 1995년 11월 23일 제42회 한국음악창작발표회 때 출품하였다. 1997년 10월 17일 97피리역사축제 때 기악곡 "환상적 조우"를, 11월 11일 단국대 개교50주년 기념 제14회 연주회 때 "합창과 관현악 단대송가"를 발표했고, 1999년 12월 5일 한소리국악원 제18회 정기연주회 때 출연하였다. 1981년 대한민국 작곡상과 1984년 KBS국악대상 작곡상을 수상했고, 1988년 청주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와 1991년 충주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로 활동했다. 작품으로 "송춘곡"(1965)·"조곡 태평성대"(1979)·"새벽"(1994) 등이 있고, 음반으로 『한국의 전통음악: 이강덕 작품집』(1974)이 있다. 대표적인 협주곡으로 "대금협주곡 제1번," "가야금협주곡 제1번," "메나리조 주제에 의한 피리협주곡" 등이 있다.

웹자원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