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E00138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gy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세설명)
17번째 줄: 17번째 줄:
 
}}
 
}}
 
==상세설명==
 
==상세설명==
[[http://cms.ewha.ac.kr/user/boardList.action?command=view&boardId=1921373&boardSeq=1960283 번천리]]는 1452년에 간행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868 『세종실록』 지리지]]에 분원가마가 설치되기 이전 이미 [[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4001 상품자기소가 있었다고 기록된 곳]]으로 현재 분청사기가마터를 비롯한 백자가마터 22개소가 분포되어 있다.<ref>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 2014 경기도자박물관 발굴유물특별전 >, 광주: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4</ref></br>
+
  [[http://cms.ewha.ac.kr/user/boardList.action?command=view&boardId=1921373&boardSeq=1960283 번천리]]는 1452년에 간행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868 『세종실록』 지리지]]에 분원가마가 설치되기 이전 이미 [[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4001 상품자기소가 있었다고 기록된 곳]]으로 현재 분청사기가마터를 비롯한 백자가마터 22개소가 분포되어 있다.<ref>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 2014 경기도자박물관 발굴유물특별전 >, 광주: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4</ref></br>
굽 안의 음각으로 새겨진 '地'는 '천•지•현•황'의 '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관요 출토 백자 굽 안에는 '천•지•현•황'에서 한 글자씩  음각으로 새겨진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34 경복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42 근정전]]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45 사정전]] 부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2577 내탕고 천자고(天字庫), 지자고(地字庫), 현자고(玄字庫), 황자고(黃字庫)]]의 명칭에서 따온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왕실용 백자를 제작하면서 사용처 또는 보관처와 관련한 글자를 도자기에 새긴 것으로 추측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45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f>
+
  굽 안의 음각으로 새겨진 '地'는 '천•지•현•황'의 '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관요 출토 백자 굽 안에는 '천•지•현•황'에서 한 글자씩  음각으로 새겨진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34 경복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42 근정전]]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45 사정전]] 부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2577 내탕고 천자고(天字庫), 지자고(地字庫), 현자고(玄字庫), 황자고(黃字庫)]]의 명칭에서 따온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왕실용 백자를 제작하면서 사용처 또는 보관처와 관련한 글자를 도자기에 새긴 것으로 추측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2445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f>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2021년 12월 15일 (수) 16:14 판


백자음각 地명 접시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클래스 Object
아이디 GCE001381
웹사이트 [e-museum]
대표명칭 백자음각 地명 접시
한글명칭 백자음각 地명 접시
소장품등록번호 1381
높이 4.9
너비 8.1
명문
제작시기 15세기



상세설명

 [번천리]는 1452년에 간행된 [『세종실록』 지리지]에 분원가마가 설치되기 이전 이미 [상품자기소가 있었다고 기록된 곳]으로 현재 분청사기가마터를 비롯한 백자가마터 22개소가 분포되어 있다.[1]
굽 안의 음각으로 새겨진 '地'는 '천•지•현•황'의 '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관요 출토 백자 굽 안에는 '천•지•현•황'에서 한 글자씩 음각으로 새겨진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연구자들은 [경복궁] [근정전]과 [사정전] 부근 [내탕고 천자고(天字庫), 지자고(地字庫), 현자고(玄字庫), 황자고(黃字庫)]의 명칭에서 따온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왕실용 백자를 제작하면서 사용처 또는 보관처와 관련한 글자를 도자기에 새긴 것으로 추측된다.[2]

네트워크 그래프


주석

  1.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 2014 경기도자박물관 발굴유물특별전 >, 광주: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4
  2.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