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D20045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gy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소장품정보 |사진=GCD200451.png |사진출처=이상기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대표명칭=상림리출토_백자음각_甲戌(1634)左명_접시 |고유번호=GCD2004...)
 
15번째 줄: 15번째 줄:
  
 
==상세설명==
 
==상세설명==
음식을 담기 위한 오목한 백자접시로 기축선은 동체 하단부에서 사선으로 올라가 구연을 이룬다. 내저면에는 굽지름보다 큰 원각이 있으며 가마에서 떨어진 잡물이 붙어있다. 굽은 수직굽으로 접지면에는 가는모래를 받쳐 번조하였다. 굽 안바닥에는 '甲戌(1634)左'명이 유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
현재 16개소의 가마터가 분포된 상림리에는 세 개의 요지군이 있는데 사기소, 승방골, 시어골 요지이다.사기소와 시어골 요지의 경우 17세기, 승방골 요지는 19세기에 운영된 가마터이다. 그동안 발견된 상림리 요지의 간지는 '신미(1631)', '계유(1633)', '을해(1635)', '유?(1636)', '을(1629 또는 1639)' '십구경(1640)'이 보고된 바 있다. 김영훈 선생 자료에서 '술진(1628)'이 있어 1629-1640년으로 추정되던 상림리 요지의 운영시기가 앞당겨지게 되었다.<ref>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 제 13책 김영훈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광주 :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6</ref></br>
 
+
음식을 담기 위한 오목한 백자접시로 기축선은 동체 하단부에서 사선으로 올라가 구연을 이룬다. 내저면에는 굽지름보다 큰 원각이 있으며 가마에서 떨어진 잡물이 붙어있다. 굽은 수직굽으로 접지면에는 가는모래를 받쳐 번조하였다. 굽 안바닥에는 '甲戌(1634)左'명이 유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ref>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 제21책 이상기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광주 :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21</ref></br>
==지식요소==
+
</br>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html>
 
<html>
<iframe width="96%"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451"></iframe>
+
<iframe width="65%"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451"></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451'">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451'">  
 
</html>
 
</html>
 +
 +
=='''주석'''==
 +
<references/>

2021년 10월 2일 (토) 14:43 판

상림리출토_백자음각_甲戌(1634)左명_접시
이상기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대표명칭 상림리출토_백자음각_甲戌(1634)左명_접시
제작시기 조선



상세설명

현재 16개소의 가마터가 분포된 상림리에는 세 개의 요지군이 있는데 사기소, 승방골, 시어골 요지이다.사기소와 시어골 요지의 경우 17세기, 승방골 요지는 19세기에 운영된 가마터이다. 그동안 발견된 상림리 요지의 간지는 '신미(1631)', '계유(1633)', '을해(1635)', '유?(1636)', '을(1629 또는 1639)' '십구경(1640)'이 보고된 바 있다. 김영훈 선생 자료에서 '술진(1628)'이 있어 1629-1640년으로 추정되던 상림리 요지의 운영시기가 앞당겨지게 되었다.[1]
음식을 담기 위한 오목한 백자접시로 기축선은 동체 하단부에서 사선으로 올라가 구연을 이룬다. 내저면에는 굽지름보다 큰 원각이 있으며 가마에서 떨어진 잡물이 붙어있다. 굽은 수직굽으로 접지면에는 가는모래를 받쳐 번조하였다. 굽 안바닥에는 '甲戌(1634)左'명이 유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2]

네트워크 그래프


주석

  1.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 제 13책 김영훈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광주 :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6
  2.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 제21책 이상기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광주 :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