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E00138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gy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3번째 줄: 23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65%"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jsp&key=GCE001381"></iframe>
+
<iframe width="65%" height="5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jsp&key=GCE001381"></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jsp&key=GCE001381'">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jsp&key=GCE001381'">  
 
</html>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24년 4월 19일 (금) 08:26 기준 최신판


백자음각 地명 접시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클래스 Object
아이디 GCE001381
웹사이트 [e-museum]
대표명칭 백자음각 地명 접시
한글명칭 백자음각 地명 접시
소장품등록번호 발굴1381
높이 4.9
너비 8.1
명문
제작시기 15세기



상세설명

[번천리]는 1452년에 간행된 [『세종실록』 지리지]에 분원가마가 설치되기 이전 이미 [상품자기소가 있었다고 기록된 곳]으로 현재 분청사기가마터를 비롯한 백자가마터 22개소가 분포되어 있다.[1]
굽 안의 음각으로 새겨진 '地'는 '천•지•현•황'의 '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관요 출토 백자 굽 안에는 '천•지•현•황'에서 한 글자씩 음각으로 새겨진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그래프


주석

  1.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 2014 경기도자박물관 발굴유물특별전 >, 광주: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