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가계 중심의 족보

sonamu5
Sonamu5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20일 (목) 14:42 판 (새 문서: ==== 가계 중심의 족보 ==== ① 大同譜<br/> 대동보는 본관과 성을 같이하는 시조 이하 모든 파들을 계통별로 수록한 족보이다.<br/> ② 派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계 중심의 족보

① 大同譜
대동보는 본관과 성을 같이하는 시조 이하 모든 파들을 계통별로 수록한 족보이다.

② 派譜
파보는 분파한 파계만을 수록한 족보이다. 파보가 대동보와 다른 점은 대동보는 지면의 제약으로 내용이 소략한 반면 파보는 顯祖에 대한 행적 등을 상세히 기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③ 世譜
세보는 각 파의 계보로 파보와 같으나 상계를 밝히고 분파 경로 및 각 파간의 계통, 각 파조의 내력 등을 넣는 것이 다르다. 여러 파가 모여 공동의 상계를 만들기 때문에 모두 모으면 대동보가 되고, 각파는 자신의 파보만 소장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1]

④ 萬姓譜
만성보는 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국내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 줄기를 추려내어 모아놓은 책이다. 모든 족보의 사전 구실을 하는 것으로 『萬姓譜』[2], 『靑邱氏譜』[3], 『東國萬姓簪纓譜』[4], 『萬姓大同譜』[5], 『朝鮮氏族統譜』[6], 『百氏通譜』[7], 『氏族源流』[8], 『萬家譜』[9], 『東國世譜』[10], 『朝鮮科宦譜』[11], 『韓國系行譜』[12] 등이 있다.[13]


  1. 정승모, 『한국의 족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62쪽.
  2. 『萬姓譜』(장서각[K2-1740])는 편자 미상으로 19세기에 편찬되었고, 不分卷 15책이다.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30.2×19cm, 烏絲欄, 半葉 12段, 37.3×23.5cm이다.
  3. 『靑邱氏譜』(장서각[B10B-411])는 宋啓承 纂輯, 宋鎭燮 增補로 1925년 영인된 全20卷20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7.5×18.8cm, 12行 30字, 上下黑魚尾, 32.5×22.5㎝이다. 내용은 完山 李明翔 序, 豊山 金世洛 序, 韓山 李庭珪 跋, 密城 朴海徹 跋, 凡例, 目錄, 系譜 등으로 되어 있다. 수록된 성관은 1,188개로 종합보 가운데서도 가장 많은 성관을 수록하고 있다.
  4. 『東國萬姓簪纓譜』(장서각[B10B-290])는 金廷述 等編으로 1916년 영인되었고, 全5卷5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7.9×18.4cm, 11行 27字, 上下二葉花紋魚尾, 32.8×21.1cm이다.
  5. 『萬姓大同譜』(장서각[B10B-54B])는 尹稙求 編으로 1931년에 간행되었다. 全2卷2冊으로 형태사항은 26×18.5cm이다.
  6. 『朝鮮氏族統譜』(장서각[B10B-106])는 尹昌鉉 纂으로 1924년에 영인되었다. 不分卷1冊으로 형태사항은 26.1×17.3cm이다.
  7. 『百氏通譜』(장서각[K2-1751])는 편자미상으로 不分卷 46冊으로 형태사항은 上下單邊, 半郭 29.5×20cm, 無絲欄, 半葉 12段(族譜), 無魚尾 35.2×22.1cm이다.
  8. 『氏族源流』(서울: 保景文化社, 1992.)는 豊壤趙氏 趙從耘 編으로 106개 성씨에 약540개 본관의 원류를 밝혀 놓은 족도 형식의 종합보이다.
  9. 『萬家譜』(광명: 民昌文化社, 1992.)는 편자미상 全5卷으로 270여 가문의 계보를 각 성씨별로 분류하고, 각 성씨 내에서는 본관으로 분류하여 기록한 일종의 종합보이다. 『만가보』는 해남윤씨 가문의 종택인 녹우당에 소장되어 있는 유일본이다.
  10. 『東國世譜』(장서각[K2-1735])는 편자미상으로 不分卷 3冊이고,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4.2×14.1cm, 無絲欄, 半葉行字數不定, 11段(族譜), 無魚尾 26.7×16.6cm이다.
  11. 『朝鮮科宦譜』(장서각[B9D-24])는 南廷燮 等編으로 全7卷7冊 목활자본이다.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5.3×16.9㎝, 10行 24字, 上下黑‧三葉花紋魚尾, 32.4×20.2㎝이다.
  12. 『韓國系行譜』(寶庫社, 1992.)는 天‧地‧人 3책으로 되어있다.
  13. 이재옥, 앞의 논문(2011), 9~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