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족보의 종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amu5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6번째 줄: 6번째 줄:
 
족보는 개인 중심으로 작성된 것과 가계 중심으로 기록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br/>  
 
족보는 개인 중심으로 작성된 것과 가계 중심으로 기록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br/>  
  
==== [[SEDB:개인 중심의 가계 기록 | 개인 중심의 가계 기록]] ====
+
==== 개인 중심의 가계 기록 ====
  
==== [[SEDB:가계 중심의 족보 | 가계 중심의 족보]] ====
+
① 家乘<br/>
 +
家乘은 작성한 사람이 자기의 家系를 直系에 한정하여 밝힌 계보이다. 비슷한 명칭으로 家牒, 家系, 世系가 있다. 茶山 丁若鏞(1762~1836)이 작성한 『押海丁氏家乘』이 유명하다. 다산의 가승은 내편과 외편으로 나누어 있다.<ref>宋俊浩, 앞의 책(1987), 19쪽.</ref> 일반적으로는 작성자 자신이 속하는 씨족의 시조 또는 중시조를 기점으로 하여, 그로부터 자신에 이르기까지의 일직선상에 나타나는 역대 조상을 세대순으로 기록하였다.<br/>
 +
이와 동시에 각 조상에 관하여 여러 가지 인적사항, 즉 자(字), 생년 및 졸년, 학행이나 과거 또는 관력의 영역에 업적이 있을 경우에는 그에 관한 중요사항, 자녀의 수, 묘의 소재지, 그리고 끝으로 배우자에 관한 사실 등을 밝히는 형식을 취하였다.<br/>
 +
이 경우 배우자에 관하여는 무엇보다도 그가 어떤 가문의 출신인가를 밝히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물론 그에 관하여도 그의 생몰년과 묘의 소재지 등은 반드시 포함되는 기록사항이다.<ref>家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15&cid=46635&categoryId=46635, 2017.2.1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고.)</ref><br/>
  
==== [[SEDB:왕실 족보 | 왕실 족보]] ====
+
② 內外譜<br/>
 +
내외보는 姻亞譜라고도 하는데, 內譜와 外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보는 작성자가 父系의 직계 조상을 밝히는 것으로 앞에 언급한 가승과 동일하다. 외보는 내보에 나타나는 配偶者를 대상으로 배우자의 직계 조상을 내보와 동일한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배우자의 입장에서 보면 내보가 된다. 작성자가 직계 조상들의 배우자의 내보를 만들어 하나로 묶은 것이 외보이다.<ref>宋俊浩, 앞의 책(1987), 21쪽.</ref><br/>
  
==== [[SEDB:특수 족보 | 특수 족보]] ====
+
③ 八高祖圖<br/>
 +
팔고조도는 본인으로부터 위로 高祖까지 기록하는 世系圖이다. 위로 올라가 보면 父의 代에서는 2명(부‧모), 祖의 대에서는 4명, 曾祖의 대에서는 8명, 고조의 대에서는 16명이 되며, 10대조에서는 1,024명이 된다.<br/>
 +
위의 각 숫자의 반은 언제나 여자이다. 고조의 대에 나타나는 조상 16명 중 8명은 高祖이고, 나머지 8명은 高祖母이다. 물론 여기에서 16명 중 부계의 고조부 1명을 제외한 15명은 전부가 넓은 의미에서 外家에 해당한다.<ref>宋俊浩, 앞의 책(1987), 21쪽.</ref> 남자인 高祖만을 지칭해서 8고조도라고 한다.<br/>
 +
 
 +
④ 十六祖圖<br/>
 +
십육조도는 팔고조도를 위로 한 代(5代祖) 더 확대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위로 한 대 더 확대한다면 여섯 칸으로 되어야 하는데 십육조도는 팔고조도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5칸으로 되어 있다.<br/>
 +
십육조도는 작성자가 자신의 부의 팔고조도와 모의 팔고조도를 하나로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 여기에는 조부와 조모, 또는 증조부와 증조모 각각의 팔고조도도 포함된다.<ref>宋俊浩, 앞의 책(1987), 23쪽.</ref><br/>
 +
 
 +
⑤ 十世譜<br/>
 +
십세보는 팔고조도의 양식으로 10代祖까지 확대하여 512명의 조상을 밝힌 것이다. 십세보는 64개의 도표(팔고조도)로 되어 있다. 현재 십세보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星湖全集』 「十世譜序」, 『海左集』 「沈氏十世譜序」, 『修山集』 「儀之兄十世譜跋」 등으로 십세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br/><br/>
 +
 
 +
::족보가 이 세상에서 나와 뿌리를 같이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에서 그 한 뿌리에서 뻗어 나온 모든 가지를 찾을 목적으로 만든 기록이라면 팔고조도는 나의 뿌리가 결코 하나가 아니라 수없이 많으며 그 수없이 많은 뿌리에서 나라고 하는 하나의 인간이 결실하게 된 것이라는 생각에서 그 많은 뿌리를 찾을 목적으로 만든 기록이다. 팔고조도는 부계와 모계를 동일한 자격으로 놓고 동일한 비중으로 다루었던 기록이며 그러한 의미에서 나의 뿌리를 부계 중심으로 밝히고 있는 족보와는 그 성격이 크게 다르다.<ref>宋俊浩, 앞의 책(1987), 26쪽.</ref><br/>
 +
 
 +
==== 가계 중심의 족보 ====
 +
 
 +
① 大同譜<br/>
 +
대동보는 본관과 성을 같이하는 시조 이하 모든 파들을 계통별로 수록한 족보이다.<br/>
 +
 
 +
② 派譜<br/>
 +
파보는 분파한 파계만을 수록한 족보이다. 파보가 대동보와 다른 점은 대동보는 지면의 제약으로 내용이 소략한 반면 파보는 顯祖에 대한 행적 등을 상세히 기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r/>
 +
 
 +
③ 世譜<br/>
 +
세보는 각 파의 계보로 파보와 같으나 상계를 밝히고 분파 경로 및 각 파간의 계통, 각 파조의 내력 등을 넣는 것이 다르다. 여러 파가 모여 공동의 상계를 만들기 때문에 모두 모으면 대동보가 되고, 각파는 자신의 파보만 소장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ref>정승모, 『한국의 족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62쪽.</ref><br/>
 +
 
 +
④ 萬姓譜<br/>
 +
만성보는 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국내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 줄기를 추려내어 모아놓은 책이다. 모든 족보의 사전 구실을 하는 것으로 『萬姓譜』<ref>『萬姓譜』(장서각[K2-1740])는 편자 미상으로 19세기에 편찬되었고, 不分卷 15책이다.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30.2×19cm, 烏絲欄, 半葉 12段, 37.3×23.5cm이다.</ref>, 『靑邱氏譜』<ref>『靑邱氏譜』(장서각[B10B-411])는 宋啓承 纂輯, 宋鎭燮 增補로 1925년 영인된 全20卷20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7.5×18.8cm, 12行 30字, 上下黑魚尾, 32.5×22.5㎝이다. 내용은 完山 李明翔 序, 豊山 金世洛 序, 韓山 李庭珪 跋, 密城 朴海徹 跋, 凡例, 目錄, 系譜 등으로 되어 있다. 수록된 성관은 1,188개로 종합보 가운데서도 가장 많은 성관을 수록하고 있다.</ref>, 『東國萬姓簪纓譜』<ref>『東國萬姓簪纓譜』(장서각[B10B-290])는 金廷述 等編으로 1916년 영인되었고, 全5卷5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7.9×18.4cm, 11行 27字, 上下二葉花紋魚尾, 32.8×21.1cm이다.</ref>, 『萬姓大同譜』<ref>『萬姓大同譜』(장서각[B10B-54B])는 尹稙求 編으로 1931년에 간행되었다. 全2卷2冊으로 형태사항은 26×18.5cm이다.</ref>, 『朝鮮氏族統譜』<ref>『朝鮮氏族統譜』(장서각[B10B-106])는 尹昌鉉 纂으로 1924년에 영인되었다. 不分卷1冊으로 형태사항은 26.1×17.3cm이다.</ref>, 『百氏通譜』<ref>『百氏通譜』(장서각[K2-1751])는 편자미상으로 不分卷 46冊으로 형태사항은 上下單邊, 半郭 29.5×20cm, 無絲欄, 半葉 12段(族譜), 無魚尾 35.2×22.1cm이다.</ref>, 『氏族源流』<ref>『氏族源流』(서울: 保景文化社, 1992.)는 豊壤趙氏 趙從耘 編으로 106개 성씨에 약540개 본관의 원류를 밝혀 놓은 족도 형식의 종합보이다.</ref>, 『萬家譜』<ref>『萬家譜』(광명: 民昌文化社, 1992.)는 편자미상 全5卷으로 270여 가문의 계보를 각 성씨별로 분류하고, 각 성씨 내에서는 본관으로 분류하여 기록한 일종의 종합보이다. 『만가보』는 해남윤씨 가문의 종택인 녹우당에 소장되어 있는 유일본이다.</ref>, 『東國世譜』<ref>『東國世譜』(장서각[K2-1735])는 편자미상으로 不分卷 3冊이고,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4.2×14.1cm, 無絲欄, 半葉行字數不定, 11段(族譜), 無魚尾 26.7×16.6cm이다.</ref>, 『朝鮮科宦譜』<ref>『朝鮮科宦譜』(장서각[B9D-24])는 南廷燮 等編으로 全7卷7冊 목활자본이다.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5.3×16.9㎝, 10行 24字, 上下黑‧三葉花紋魚尾, 32.4×20.2㎝이다.</ref>, 『韓國系行譜』<ref>『韓國系行譜』(寶庫社, 1992.)는 天‧地‧人 3책으로 되어있다.</ref> 등이 있다.<ref>이재옥, 앞의 논문(2011), 9~10쪽.</ref><br/>
 +
 
 +
==== 왕실 족보 ====
 +
 
 +
왕실족보는 사가족보와 다른 특징이 있다. 사가족보가 모든 자손을 수록한 世譜인데 반하여 왕실족보는 왕과 왕비의 일정한 범위 내의 인척만을 수록하는 王親譜이다. 또 사가족보는 서얼을 구별하지만 하나의 족보에 기록하는데, 왕실족보는 “祖系를 서술한 것은 『璿源錄』이라 하고, 宗子를 서술한 것은 『宗親錄』이라 하고, 宗女와 庶孽을 서술한 것은 『類附錄』이라 하여”<ref>『태종실록』 24권, 태종 12년(1412) 10월 26일 무인.</ref> 각각의 별보로 작성하였다.<br/>
 +
왕실족보에 수록된 인물들의 전기 사항은 사가족보에 비하여 대단히 소략하다. 또 왕실족보에는 사가족보에서 보이지 않는 여성의 이름과 출생년이 기록되어 있다. 妾女인 경우는 모의 신분과 성명이 적혀 있다. 초취와 후취가 있는 경우는 자녀의 모친을 기록하였다.<ref>성봉현, 「장서각소장 왕실보첩류의 종류와 현황」, 『한국학논집』 제44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1. 9, 147~148쪽.</ref><br/>
 +
 
 +
 
 +
① 『璿源錄』<br/>
 +
1412년(태종 12)에 왕실의 계통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璿源錄』을 만들었다. 1428년(세종 10)에 『선원록』은 10년에 한 번 개수하고, 3년마다 종실보첩을 등사하게 하였다.<ref>『세종실록』 42권, 세종 10년(1428) 10월 24일 임인.</ref><br/>
 +
 +
{|class="wikitable"
 +
|+선원록(璿源錄) 권수 정보
 +
!||서명||소장처||권수||자손록||쪽수||면조
 +
|-||||||||||||
 +
|1||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太祖大王宗親錄||1a~84a||鎭安大君
 +
|-||||||||||||
 +
|2||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太祖大王宗親錄||1a~81a||懷安大君
 +
|-||||||||||||
 +
|3||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太祖大王宗親錄||1a~72b||宜安大君
 +
|-||||||||||||
 +
|4||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定宗大王宗親錄||1a~62a||義平君
 +
|-||||||||||||
 +
|5||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5||定宗大王宗親錄||1a~83a||宣城君
 +
|-||||||||||||
 +
|6||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6||定宗大王宗親錄||1a~88a||從義正
 +
|-||||||||||||
 +
|7||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7||定宗大王宗親錄||1a~58b||林堰正
 +
|-||||||||||||
 +
|8||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8||定宗大王宗親錄||1a~103b||德泉君
 +
|-||||||||||||
 +
|9||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9||定宗大王宗親錄||1a~92b||雲水副正
 +
|-||||||||||||
 +
|10||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0||定宗大王宗親錄||1a~60a||任城正
 +
|-||||||||||||
 +
|11||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1||定宗大王宗親錄||1a~67b||貞石都正
 +
|-||||||||||||
 +
|12||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2||定宗大王宗親錄||1a~77a||咸陽郡主
 +
|-||||||||||||
 +
|13||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3||太宗大王宗親錄||1a~83b||讓寧大君
 +
|-||||||||||||
 +
|14||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4||太宗大王宗親錄||1a~86a||永平縣主
 +
|-||||||||||||
 +
|15||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5||太宗大王宗親錄||1a~83a||孝寧大君
 +
|-||||||||||||
 +
|16||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6||太宗大王宗親錄||1a~57b||瑞原君
 +
|-||||||||||||
 +
|17||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7||太宗大王宗親錄||1a~66b||寶城君
 +
|-||||||||||||
 +
|18||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8||太宗大王宗親錄||1a~60b||樂安君
 +
|-||||||||||||
 +
|19||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19||太宗大王宗親錄||1a~44a||誠寧大君
 +
|-||||||||||||
 +
|20||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0||太宗大王宗親錄||1a~71b||慶貞公主
 +
|-||||||||||||
 +
|21||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1||太宗大王宗親錄||1a~103a||敬寧君
 +
|-||||||||||||
 +
|22||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2||太宗大王宗親錄||1a~51a||諴寧君
 +
|-||||||||||||
 +
|23||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3||太宗大王宗親錄||1a~81b||謹寧君
 +
|-||||||||||||
 +
|24||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4||太宗大王宗親錄||1a~56a||惠寧君
 +
|-||||||||||||
 +
|25||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5||太宗大王宗親錄||1a~70b||益寧君
 +
|-||||||||||||
 +
|26||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6||太宗大王宗親錄||1a~75b||淑寧翁主
 +
|-||||||||||||
 +
|27||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7||世宗大王宗親錄||1a~81a||李瑢
 +
|-||||||||||||
 +
|28||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8||世宗大王宗親錄||1a~86b||英陽副正
 +
|-||||||||||||
 +
|29||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29||世宗大王宗親錄||1a~91b||廣平大君
 +
|-||||||||||||
 +
|30||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0||世宗大王宗親錄||1a~90b||和義君
 +
|-||||||||||||
 +
|31||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1||世宗大王宗親錄||1a~76b||漢南君
 +
|-||||||||||||
 +
|32||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2||世宗大王宗親錄||1a~61a||翼峴君
 +
|-||||||||||||
 +
|33||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3||世宗大王宗親錄||1a~65a||潭陽君
 +
|-||||||||||||
 +
|33||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3||文宗大王類附錄||66a~70a||端宗大王
 +
|-||||||||||||
 +
|34||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4||世祖大王宗親錄||1a~80b||懿淑公主
 +
|-||||||||||||
 +
|35||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5||世祖大王宗親錄||1a~69a||東山守
 +
|-||||||||||||
 +
|36||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6||德宗大王宗親錄||1a~12b||月山大君
 +
|-||||||||||||
 +
|37||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6||睿宗大王宗親錄||13a||仁城大君
 +
|-||||||||||||
 +
|38||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7||成宗大王宗親錄||1a~91a||燕山君
 +
|-||||||||||||
 +
|39||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8||成宗大王宗親錄||1a~92a||甄城君
 +
|-||||||||||||
 +
|40||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39||成宗大王宗親錄||1a~82b||利城君
 +
|-||||||||||||
 +
|41||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0||成宗大王宗親錄||1a~48b||茂山君
 +
|-||||||||||||
 +
|42||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1||成宗大王宗親錄||1a~47b||寧山君
 +
|-||||||||||||
 +
|43||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2||成宗大王宗親錄||1a~47b||雲川君
 +
|-||||||||||||
 +
|44||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3||成宗大王宗親錄||1a~49b||楊原君
 +
|-||||||||||||
 +
|45||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4||成宗大王宗親錄||1a~68a||惠淑翁主
 +
|-||||||||||||
 +
|46||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5||中宗大王宗親錄||1a~54a||孝惠公主
 +
|-||||||||||||
 +
|47||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6||中宗大王宗親錄||1a~89a||海安君
 +
|-||||||||||||
 +
|48||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7||中宗大王宗親錄||1a~57a||德陽君
 +
|-||||||||||||
 +
|49||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8||中宗大王宗親錄||1a~64b||德興君
 +
|-||||||||||||
 +
|49||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9||中宗大王類附錄||1a~71a||惠順翁主
 +
|-||||||||||||
 +
|50||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49||明宗大王宗親錄||72a||順懷世子
 +
|-||||||||||||
 +
|51||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50||宣祖大王宗親錄||1a~70b||永昌大君
 +
|-||||||||||||
 +
|52||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50||元宗大王宗親錄||71a~73a||仁祖大王
 +
|-||||||||||||
 +
|53||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50||仁祖大王宗親錄||74a~75b||昭顯世子
 +
|-||||||||||||
 +
|54||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50||孝宗大王類附錄||76a~76b||顯宗大王
 +
|-||||||||||||
 +
|55||선원록(璿源錄)||장서각[K2-1047]||권50||顯宗大王類附錄||77a||明善公主
 +
|}
 +
 
 +
임진왜란으로 소실이 되어서 1604년(선조 37) 선조의 명으로 龜川君 李睟 등에 의해서 다시 편찬되었다. 1681년(숙종 7)에 『선원록』 51권이 완성되었다.<ref>『숙종실록』 12권, 숙종 7년(1681) 8월 3일 계미.</ref> 宗姓은 9대손까지, 外孫은 6대손까지 수록하였다. 『선원록』<ref>『璿源錄』(장서각[K2-1047])은 本集 50卷, 目錄 1卷, 合51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49×33.7cm, 朱絲欄, 半葉 13行 25字, 7段(族譜), 無魚尾 61.7×41.3cm이다.</ref>은 더 이상 중수를 하지 않아서, 1681년 본이 최종본이 되었다.<br/>
 +
권36 睿宗, 권49 明宗, 권50 顯宗은 1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종은 仁城大君(早卒), 齊安大君(無後), 顯肅公主(任光載, 무후) 3명, 명종은 順懷世子 1명, 현종은 明善公主(早卒), 明惠公主(早卒), 明安公主(吳泰周) 3명만 기록되어 있다.<br/>
 +
 
 +
② 『宗親錄』<br/>
 +
『종친록』은 1412년에 처음으로 작성되었다. 종친은 宗子, 즉 왕의 男系 자손을 수록하였으며 嫡庶 모두를 기록하였다. 장서각에는 9종 9책이 소장되어 있다.<br/>
 +
 
 +
③ 『類附錄』<br/>
 +
『유부록』은 1412년에 시작되었고, 宗女(왕의 딸)와 庶孽의 자손을 5대손까지 수록하였다. 장서각에는 11종 26책이 소장되어 있다.
 +
이밖에 종친록과 유부록을 한데 묶은 『宗親錄類附錄合本』이 있으며, 장서각에는 10종 10책이 소장되어 있다. 또 재위 국왕의 자녀들의 변화를 式年(3년)마다 수록한 보첩인 『當代璿源錄』이 있다. 장서각에는 21종이 있다.<br/>
 +
 
 +
④ 『加現錄』<br/>
 +
『가현록』은 선원록에 누락된 왕의 친족을 추가로 기재하기 위해서 만든 보첩이다. 『가현록』에는 『璿源加現錄』, 『宗親加現錄』, 『類附加現錄』, 『宗親錄類附加現錄合本』, 『璿源加現十代錄』 등이 있다. 장서각에는 약 180종이 소장되어 있다.<br/>
 +
 
 +
⑤ 『璿源系譜記略』<br/>
 +
『선원계보기략』은 1679년(숙종 5)에 朗原君 李偘이 편찬한 『璿源譜略』을 숙종의 명으로 수정을 가하여 간행한 보첩이다.<ref>『숙종실록』 8권, 숙종 5년(1679) 2월 15일 경진.</ref> 이후 『선원계보기략』은 1679년부터 1908(순종 2)까지 약 120회에 걸쳐 개정 되었고, 책 수도 2권 1책에서 26권 8책으로 증보되었다.<br/>
 +
 
 +
{|class="wikitable"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권수 정보
 +
!||서명||소장처||권수||자손록||쪽수||면조
 +
|-||||||||||||
 +
|1||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穆祖大王內外子孫錄||1a~4b||翼祖
 +
|-||||||||||||
 +
|2||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翼祖大王內外子孫錄||1a~3a||度祖
 +
|-||||||||||||
 +
|3||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3||度祖大王內外子孫錄||1a~6b||桓祖
 +
|-||||||||||||
 +
|4||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4||桓祖大王內外子孫錄||1a~15b||太祖高皇帝
 +
|-||||||||||||
 +
|5||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太祖高皇帝內外子孫錄||1a~20b||定宗
 +
|-||||||||||||
 +
|6||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定宗大王內外子孫錄||1a~95b||義平君
 +
|-||||||||||||
 +
|7||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3||太宗大王內外子孫錄||1a~110a||世宗
 +
|-||||||||||||
 +
|8||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4||世宗大王內外子孫錄||1a~78a||文宗
 +
|-||||||||||||
 +
|9||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5||文宗大王內外子孫錄||1a||端宗
 +
|-||||||||||||
 +
|10||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6||世祖大王內外子孫錄||1a~29a||德宗
 +
|-||||||||||||
 +
|11||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7||德宗大王內外子孫錄||1a~2b||成宗
 +
|-||||||||||||
 +
|12||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8||睿宗大王內外子孫錄||1a~1b||成宗
 +
|-||||||||||||
 +
|13||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9||成宗大王內外子孫錄||1a~93b||中宗
 +
|-||||||||||||
 +
|14||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0||中宗大王內外子孫錄||1a~68b||仁宗
 +
|-||||||||||||
 +
|15||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1||明宗大王內外子孫錄||1a||宣祖
 +
|-||||||||||||
 +
|16||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2||宣祖大王內外子孫錄||1a~97b||元宗
 +
|-||||||||||||
 +
|17||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3||元宗大王內外子孫錄||1a~6b||仁祖
 +
|-||||||||||||
 +
|18||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4||仁祖大王內外子孫錄||1a~11b||孝宗
 +
|-||||||||||||
 +
|19||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5||孝宗大王內外子孫錄||1a~4a||顯宗
 +
|-||||||||||||
 +
|20||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6||顯宗大王內外子孫錄||1a~2a||肅宗
 +
|-||||||||||||
 +
|21||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7||肅宗大王內外子孫錄||1a~4b||景宗
 +
|-||||||||||||
 +
|22||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8||英祖大王內外子孫錄||1a~5a||眞宗昭皇帝
 +
|-||||||||||||
 +
|23||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19||眞宗昭皇帝子孫錄||1a||正祖宣皇帝
 +
|-||||||||||||
 +
|24||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0||莊祖懿皇帝內外子孫錄||1a~5a||正祖宣皇帝
 +
|-||||||||||||
 +
|25||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1||正祖宣皇帝內外子孫錄||1a~1b||純祖肅皇帝
 +
|-||||||||||||
 +
|26||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2||純祖肅皇帝內外子孫錄||1a~1b||文祖翼皇帝
 +
|-||||||||||||
 +
|27||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3||文祖翼皇帝子孫錄||1a||憲宗成皇帝
 +
|-||||||||||||
 +
|28||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4||憲宗成皇帝子孫錄||1a||×
 +
|-||||||||||||
 +
|29||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5||哲宗章皇帝內外子孫錄||1a~2a||元子
 +
|-||||||||||||
 +
|30||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장서각[K2-1036]||권26||太皇帝陛下內外子孫錄||1a~5a||純宗皇帝
 +
|}
 +
 
 +
『선원계보기략』은 先男後女의 자녀 수록과 公主를 서자 王子君 앞에 기록하였다. 자손을 내손은 4대, 외손은 3대까지만 기록하였다. 장서각에는 약 126종이 있는데, 완질본은 47종이 있다. 그리고 『선원계보기략』은 다른 왕실보첩이 필사본인데 반하여 목판본으로 영인하였다.<br/>
 +
권5 文宗‧권11 明宗‧권19 眞宗‧권23 文祖‧권24 憲宗은 후손이 없어서 1쪽만 있고, 권21 正祖‧권22 純祖는 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皇帝라는 표현을 사용했기 때문에 간행년(1908)을 대한제국 시기라고 추측할 수 있다.<br/>
 +
 
 +
⑥ 『敦寧譜牒』<br/>
 +
『돈녕보첩』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서 1649년(효종 즉위)에 새로 작성되었다. 수록대상은 왕친, 왕후, 세자빈의 친족이다. 왕친은 대왕 편에 수록하고, 왕후‧세자빈의 친족은 왕후편에 수록하였다. 1681년부터는 수록 범위가 宗姓은 9대손, 異姓은 6대손까지 수록하였다. 장서각에 약 46종이 남아있다.<br/>
 +
 
 +
⑦ 『御牒』<br/>
 +
『어첩』은 장서각에 『國朝譜牒』 9종, 『譜牒』 2종, 『御牒』 2종, 『朝鮮譜牒』 1종 등 14종을 소장하고 있다. 『어첩』은 각 왕대의 왕‧왕비‧자녀만을 수록한 것으로 왕실의 가첩이라 할 수 있다.<br/>
 +
 
 +
⑧ 『列聖王妃世譜』<br/>
 +
『열성왕비세보』는 왕비의 선대를 직계 중심으로만 수록한 족보이다. 1681년(숙종 7)에 8권 3책으로 종부시에서 처음 작성되었다. 장서각에 약 14종이 있다.<br/>
 +
 
 +
⑨ 『列聖八高祖圖』<br/>
 +
『열성팔고조도』는 역대 왕의 팔고조도와 왕비의 팔고조도를 합한 것이다. 장서각에는 약 31종을 소장하고 있다.<br/>
 +
 
 +
⑩ 『璿源續譜』<br/>
 +
『선원속보』는 각 왕의 왕자를 派祖로 하여 작성한 파보를 모아 놓은 것으로 사가족보의 대동보와 같은 것이다. 1867년(고종 4)에 태조 이하의 왕자 81파와 추존된 4왕의 자손 20파의 파보를 합하여 간행하였다. 1900년(광무 4)에 110파로 증보되었다. 장서각에는 약 93종 434책을 소장하고 있다.<ref>왕실족보에서 장서각 소장 여부는 “성봉현, 앞의 논문(2011. 9), 121~170쪽”을 참조하였다.</ref><br/>
 +
 
 +
==== 특수 족보 ====
 +
 
 +
『文譜』, 『武譜』, 『蔭譜』, 『三班十世譜』, 『縉紳八世譜』, 『號譜』와 같이 현달한 조상의 세계를 명백히 하려고 편찬한 것들이 있다. 또 역관 李昌鉉이 중인 집안의 족보를 종합하여 편찬한 『姓源錄』, 화가들의 계보를 기록한 『畵寫兩家譜略』, 환관[내시]의 가계를 기록하고 있는 『養世系譜』 등이 있다.  『三班世譜』는 집안의 관직 성향을 보여 주는 일종의 종합보이다. 『南譜』, 『午譜』, 『北譜』 등은 당파를 기록한 黨色譜이다.<ref>이재옥, 앞의 논문(2011), 9쪽.</ref><br/>
 
<br/>
 
<br/>
 
:'''▷ 1. [[SEDB:족보의 종류 | 족보의 종류]]'''
 
:'''▷ 1. [[SEDB:족보의 종류 | 족보의 종류]]'''

2017년 7월 20일 (목) 11:47 판

. 족보의 종류

族譜는 家系記錄 그 자체를 말하기도 하고, 가계가 기록된 책을 이르기도 한다. 족보는 개인이 속한 氏族 집단의 공동의 계보이며 역사이다. 씨족이란 祖上(부계조상)을 같이하는, 또는 조상이 같다고 믿고 있는, 사람들의 집단인데 한국의 경우 그것은 姓이 같고 本貫이 같은 사람들의 집단이다.[1]
족보는 세로로 쓰여 진 縱譜보다는 가로로 배치된 橫譜가 대부분이다. 족보의 구성은 序, 記(=誌), 先塋圖, 世系圖, 凡例[2], 本譜(=世系), 跋로 되어 있다.
족보는 本譜의 旁註로 기록이 풍성해진다. 이름 옆에 쓰는 방주에는 字, 號, 生父(출계에 해당), 생졸년월일, 과거와 관직 이력, 증직, 증시, 묘소의 위치와 좌향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어서 배우자에 대한 사항이 소개된다. 생졸년, 소속 본관성씨, 부‧조부‧증조부의 이름과 직위, 외조부의 성명과 본관 및 직위 등을 밝히고, 女壻의 경우는 성명과 본관, 부명, 子, 壻 등이 적혀 있다.
족보는 개인 중심으로 작성된 것과 가계 중심으로 기록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인 중심의 가계 기록

① 家乘
家乘은 작성한 사람이 자기의 家系를 直系에 한정하여 밝힌 계보이다. 비슷한 명칭으로 家牒, 家系, 世系가 있다. 茶山 丁若鏞(1762~1836)이 작성한 『押海丁氏家乘』이 유명하다. 다산의 가승은 내편과 외편으로 나누어 있다.[3] 일반적으로는 작성자 자신이 속하는 씨족의 시조 또는 중시조를 기점으로 하여, 그로부터 자신에 이르기까지의 일직선상에 나타나는 역대 조상을 세대순으로 기록하였다.
이와 동시에 각 조상에 관하여 여러 가지 인적사항, 즉 자(字), 생년 및 졸년, 학행이나 과거 또는 관력의 영역에 업적이 있을 경우에는 그에 관한 중요사항, 자녀의 수, 묘의 소재지, 그리고 끝으로 배우자에 관한 사실 등을 밝히는 형식을 취하였다.
이 경우 배우자에 관하여는 무엇보다도 그가 어떤 가문의 출신인가를 밝히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물론 그에 관하여도 그의 생몰년과 묘의 소재지 등은 반드시 포함되는 기록사항이다.[4]

② 內外譜
내외보는 姻亞譜라고도 하는데, 內譜와 外譜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보는 작성자가 父系의 직계 조상을 밝히는 것으로 앞에 언급한 가승과 동일하다. 외보는 내보에 나타나는 配偶者를 대상으로 배우자의 직계 조상을 내보와 동일한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배우자의 입장에서 보면 내보가 된다. 작성자가 직계 조상들의 배우자의 내보를 만들어 하나로 묶은 것이 외보이다.[5]

③ 八高祖圖
팔고조도는 본인으로부터 위로 高祖까지 기록하는 世系圖이다. 위로 올라가 보면 父의 代에서는 2명(부‧모), 祖의 대에서는 4명, 曾祖의 대에서는 8명, 고조의 대에서는 16명이 되며, 10대조에서는 1,024명이 된다.
위의 각 숫자의 반은 언제나 여자이다. 고조의 대에 나타나는 조상 16명 중 8명은 高祖이고, 나머지 8명은 高祖母이다. 물론 여기에서 16명 중 부계의 고조부 1명을 제외한 15명은 전부가 넓은 의미에서 外家에 해당한다.[6] 남자인 高祖만을 지칭해서 8고조도라고 한다.

④ 十六祖圖
십육조도는 팔고조도를 위로 한 代(5代祖) 더 확대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위로 한 대 더 확대한다면 여섯 칸으로 되어야 하는데 십육조도는 팔고조도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5칸으로 되어 있다.
십육조도는 작성자가 자신의 부의 팔고조도와 모의 팔고조도를 하나로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 여기에는 조부와 조모, 또는 증조부와 증조모 각각의 팔고조도도 포함된다.[7]

⑤ 十世譜
십세보는 팔고조도의 양식으로 10代祖까지 확대하여 512명의 조상을 밝힌 것이다. 십세보는 64개의 도표(팔고조도)로 되어 있다. 현재 십세보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星湖全集』 「十世譜序」, 『海左集』 「沈氏十世譜序」, 『修山集』 「儀之兄十世譜跋」 등으로 십세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족보가 이 세상에서 나와 뿌리를 같이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에서 그 한 뿌리에서 뻗어 나온 모든 가지를 찾을 목적으로 만든 기록이라면 팔고조도는 나의 뿌리가 결코 하나가 아니라 수없이 많으며 그 수없이 많은 뿌리에서 나라고 하는 하나의 인간이 결실하게 된 것이라는 생각에서 그 많은 뿌리를 찾을 목적으로 만든 기록이다. 팔고조도는 부계와 모계를 동일한 자격으로 놓고 동일한 비중으로 다루었던 기록이며 그러한 의미에서 나의 뿌리를 부계 중심으로 밝히고 있는 족보와는 그 성격이 크게 다르다.[8]

가계 중심의 족보

① 大同譜
대동보는 본관과 성을 같이하는 시조 이하 모든 파들을 계통별로 수록한 족보이다.

② 派譜
파보는 분파한 파계만을 수록한 족보이다. 파보가 대동보와 다른 점은 대동보는 지면의 제약으로 내용이 소략한 반면 파보는 顯祖에 대한 행적 등을 상세히 기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③ 世譜
세보는 각 파의 계보로 파보와 같으나 상계를 밝히고 분파 경로 및 각 파간의 계통, 각 파조의 내력 등을 넣는 것이 다르다. 여러 파가 모여 공동의 상계를 만들기 때문에 모두 모으면 대동보가 되고, 각파는 자신의 파보만 소장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9]

④ 萬姓譜
만성보는 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국내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 줄기를 추려내어 모아놓은 책이다. 모든 족보의 사전 구실을 하는 것으로 『萬姓譜』[10], 『靑邱氏譜』[11], 『東國萬姓簪纓譜』[12], 『萬姓大同譜』[13], 『朝鮮氏族統譜』[14], 『百氏通譜』[15], 『氏族源流』[16], 『萬家譜』[17], 『東國世譜』[18], 『朝鮮科宦譜』[19], 『韓國系行譜』[20] 등이 있다.[21]

왕실 족보

왕실족보는 사가족보와 다른 특징이 있다. 사가족보가 모든 자손을 수록한 世譜인데 반하여 왕실족보는 왕과 왕비의 일정한 범위 내의 인척만을 수록하는 王親譜이다. 또 사가족보는 서얼을 구별하지만 하나의 족보에 기록하는데, 왕실족보는 “祖系를 서술한 것은 『璿源錄』이라 하고, 宗子를 서술한 것은 『宗親錄』이라 하고, 宗女와 庶孽을 서술한 것은 『類附錄』이라 하여”[22] 각각의 별보로 작성하였다.
왕실족보에 수록된 인물들의 전기 사항은 사가족보에 비하여 대단히 소략하다. 또 왕실족보에는 사가족보에서 보이지 않는 여성의 이름과 출생년이 기록되어 있다. 妾女인 경우는 모의 신분과 성명이 적혀 있다. 초취와 후취가 있는 경우는 자녀의 모친을 기록하였다.[23]


① 『璿源錄』
1412년(태종 12)에 왕실의 계통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璿源錄』을 만들었다. 1428년(세종 10)에 『선원록』은 10년에 한 번 개수하고, 3년마다 종실보첩을 등사하게 하였다.[24]

선원록(璿源錄) 권수 정보
서명 소장처 권수 자손록 쪽수 면조
1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 太祖大王宗親錄 1a~84a 鎭安大君
2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 太祖大王宗親錄 1a~81a 懷安大君
3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 太祖大王宗親錄 1a~72b 宜安大君
4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 定宗大王宗親錄 1a~62a 義平君
5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5 定宗大王宗親錄 1a~83a 宣城君
6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6 定宗大王宗親錄 1a~88a 從義正
7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7 定宗大王宗親錄 1a~58b 林堰正
8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8 定宗大王宗親錄 1a~103b 德泉君
9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9 定宗大王宗親錄 1a~92b 雲水副正
10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0 定宗大王宗親錄 1a~60a 任城正
11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1 定宗大王宗親錄 1a~67b 貞石都正
12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2 定宗大王宗親錄 1a~77a 咸陽郡主
13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3 太宗大王宗親錄 1a~83b 讓寧大君
14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4 太宗大王宗親錄 1a~86a 永平縣主
15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5 太宗大王宗親錄 1a~83a 孝寧大君
16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6 太宗大王宗親錄 1a~57b 瑞原君
17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7 太宗大王宗親錄 1a~66b 寶城君
18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8 太宗大王宗親錄 1a~60b 樂安君
19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19 太宗大王宗親錄 1a~44a 誠寧大君
20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0 太宗大王宗親錄 1a~71b 慶貞公主
21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1 太宗大王宗親錄 1a~103a 敬寧君
22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2 太宗大王宗親錄 1a~51a 諴寧君
23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3 太宗大王宗親錄 1a~81b 謹寧君
24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4 太宗大王宗親錄 1a~56a 惠寧君
25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5 太宗大王宗親錄 1a~70b 益寧君
26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6 太宗大王宗親錄 1a~75b 淑寧翁主
27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7 世宗大王宗親錄 1a~81a 李瑢
28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8 世宗大王宗親錄 1a~86b 英陽副正
29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29 世宗大王宗親錄 1a~91b 廣平大君
30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0 世宗大王宗親錄 1a~90b 和義君
31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1 世宗大王宗親錄 1a~76b 漢南君
32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2 世宗大王宗親錄 1a~61a 翼峴君
33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3 世宗大王宗親錄 1a~65a 潭陽君
33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3 文宗大王類附錄 66a~70a 端宗大王
34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4 世祖大王宗親錄 1a~80b 懿淑公主
35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5 世祖大王宗親錄 1a~69a 東山守
36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6 德宗大王宗親錄 1a~12b 月山大君
37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6 睿宗大王宗親錄 13a 仁城大君
38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7 成宗大王宗親錄 1a~91a 燕山君
39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8 成宗大王宗親錄 1a~92a 甄城君
40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39 成宗大王宗親錄 1a~82b 利城君
41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0 成宗大王宗親錄 1a~48b 茂山君
42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1 成宗大王宗親錄 1a~47b 寧山君
43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2 成宗大王宗親錄 1a~47b 雲川君
44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3 成宗大王宗親錄 1a~49b 楊原君
45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4 成宗大王宗親錄 1a~68a 惠淑翁主
46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5 中宗大王宗親錄 1a~54a 孝惠公主
47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6 中宗大王宗親錄 1a~89a 海安君
48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7 中宗大王宗親錄 1a~57a 德陽君
49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8 中宗大王宗親錄 1a~64b 德興君
49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9 中宗大王類附錄 1a~71a 惠順翁主
50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49 明宗大王宗親錄 72a 順懷世子
51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50 宣祖大王宗親錄 1a~70b 永昌大君
52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50 元宗大王宗親錄 71a~73a 仁祖大王
53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50 仁祖大王宗親錄 74a~75b 昭顯世子
54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50 孝宗大王類附錄 76a~76b 顯宗大王
55 선원록(璿源錄) 장서각[K2-1047] 권50 顯宗大王類附錄 77a 明善公主

임진왜란으로 소실이 되어서 1604년(선조 37) 선조의 명으로 龜川君 李睟 등에 의해서 다시 편찬되었다. 1681년(숙종 7)에 『선원록』 51권이 완성되었다.[25] 宗姓은 9대손까지, 外孫은 6대손까지 수록하였다. 『선원록』[26]은 더 이상 중수를 하지 않아서, 1681년 본이 최종본이 되었다.
권36 睿宗, 권49 明宗, 권50 顯宗은 1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종은 仁城大君(早卒), 齊安大君(無後), 顯肅公主(任光載, 무후) 3명, 명종은 順懷世子 1명, 현종은 明善公主(早卒), 明惠公主(早卒), 明安公主(吳泰周) 3명만 기록되어 있다.

② 『宗親錄』
『종친록』은 1412년에 처음으로 작성되었다. 종친은 宗子, 즉 왕의 男系 자손을 수록하였으며 嫡庶 모두를 기록하였다. 장서각에는 9종 9책이 소장되어 있다.

③ 『類附錄』
『유부록』은 1412년에 시작되었고, 宗女(왕의 딸)와 庶孽의 자손을 5대손까지 수록하였다. 장서각에는 11종 26책이 소장되어 있다. 이밖에 종친록과 유부록을 한데 묶은 『宗親錄類附錄合本』이 있으며, 장서각에는 10종 10책이 소장되어 있다. 또 재위 국왕의 자녀들의 변화를 式年(3년)마다 수록한 보첩인 『當代璿源錄』이 있다. 장서각에는 21종이 있다.

④ 『加現錄』
『가현록』은 선원록에 누락된 왕의 친족을 추가로 기재하기 위해서 만든 보첩이다. 『가현록』에는 『璿源加現錄』, 『宗親加現錄』, 『類附加現錄』, 『宗親錄類附加現錄合本』, 『璿源加現十代錄』 등이 있다. 장서각에는 약 180종이 소장되어 있다.

⑤ 『璿源系譜記略』
『선원계보기략』은 1679년(숙종 5)에 朗原君 李偘이 편찬한 『璿源譜略』을 숙종의 명으로 수정을 가하여 간행한 보첩이다.[27] 이후 『선원계보기략』은 1679년부터 1908(순종 2)까지 약 120회에 걸쳐 개정 되었고, 책 수도 2권 1책에서 26권 8책으로 증보되었다.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권수 정보
서명 소장처 권수 자손록 쪽수 면조
1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 穆祖大王內外子孫錄 1a~4b 翼祖
2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 翼祖大王內外子孫錄 1a~3a 度祖
3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3 度祖大王內外子孫錄 1a~6b 桓祖
4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4 桓祖大王內外子孫錄 1a~15b 太祖高皇帝
5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 太祖高皇帝內外子孫錄 1a~20b 定宗
6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 定宗大王內外子孫錄 1a~95b 義平君
7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3 太宗大王內外子孫錄 1a~110a 世宗
8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4 世宗大王內外子孫錄 1a~78a 文宗
9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5 文宗大王內外子孫錄 1a 端宗
10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6 世祖大王內外子孫錄 1a~29a 德宗
11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7 德宗大王內外子孫錄 1a~2b 成宗
12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8 睿宗大王內外子孫錄 1a~1b 成宗
13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9 成宗大王內外子孫錄 1a~93b 中宗
14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0 中宗大王內外子孫錄 1a~68b 仁宗
15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1 明宗大王內外子孫錄 1a 宣祖
16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2 宣祖大王內外子孫錄 1a~97b 元宗
17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3 元宗大王內外子孫錄 1a~6b 仁祖
18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4 仁祖大王內外子孫錄 1a~11b 孝宗
19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5 孝宗大王內外子孫錄 1a~4a 顯宗
20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6 顯宗大王內外子孫錄 1a~2a 肅宗
21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7 肅宗大王內外子孫錄 1a~4b 景宗
22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8 英祖大王內外子孫錄 1a~5a 眞宗昭皇帝
23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19 眞宗昭皇帝子孫錄 1a 正祖宣皇帝
24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0 莊祖懿皇帝內外子孫錄 1a~5a 正祖宣皇帝
25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1 正祖宣皇帝內外子孫錄 1a~1b 純祖肅皇帝
26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2 純祖肅皇帝內外子孫錄 1a~1b 文祖翼皇帝
27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3 文祖翼皇帝子孫錄 1a 憲宗成皇帝
28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4 憲宗成皇帝子孫錄 1a ×
29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5 哲宗章皇帝內外子孫錄 1a~2a 元子
30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장서각[K2-1036] 권26 太皇帝陛下內外子孫錄 1a~5a 純宗皇帝

『선원계보기략』은 先男後女의 자녀 수록과 公主를 서자 王子君 앞에 기록하였다. 자손을 내손은 4대, 외손은 3대까지만 기록하였다. 장서각에는 약 126종이 있는데, 완질본은 47종이 있다. 그리고 『선원계보기략』은 다른 왕실보첩이 필사본인데 반하여 목판본으로 영인하였다.
권5 文宗‧권11 明宗‧권19 眞宗‧권23 文祖‧권24 憲宗은 후손이 없어서 1쪽만 있고, 권21 正祖‧권22 純祖는 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皇帝라는 표현을 사용했기 때문에 간행년(1908)을 대한제국 시기라고 추측할 수 있다.

⑥ 『敦寧譜牒』
『돈녕보첩』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서 1649년(효종 즉위)에 새로 작성되었다. 수록대상은 왕친, 왕후, 세자빈의 친족이다. 왕친은 대왕 편에 수록하고, 왕후‧세자빈의 친족은 왕후편에 수록하였다. 1681년부터는 수록 범위가 宗姓은 9대손, 異姓은 6대손까지 수록하였다. 장서각에 약 46종이 남아있다.

⑦ 『御牒』
『어첩』은 장서각에 『國朝譜牒』 9종, 『譜牒』 2종, 『御牒』 2종, 『朝鮮譜牒』 1종 등 14종을 소장하고 있다. 『어첩』은 각 왕대의 왕‧왕비‧자녀만을 수록한 것으로 왕실의 가첩이라 할 수 있다.

⑧ 『列聖王妃世譜』
『열성왕비세보』는 왕비의 선대를 직계 중심으로만 수록한 족보이다. 1681년(숙종 7)에 8권 3책으로 종부시에서 처음 작성되었다. 장서각에 약 14종이 있다.

⑨ 『列聖八高祖圖』
『열성팔고조도』는 역대 왕의 팔고조도와 왕비의 팔고조도를 합한 것이다. 장서각에는 약 31종을 소장하고 있다.

⑩ 『璿源續譜』
『선원속보』는 각 왕의 왕자를 派祖로 하여 작성한 파보를 모아 놓은 것으로 사가족보의 대동보와 같은 것이다. 1867년(고종 4)에 태조 이하의 왕자 81파와 추존된 4왕의 자손 20파의 파보를 합하여 간행하였다. 1900년(광무 4)에 110파로 증보되었다. 장서각에는 약 93종 434책을 소장하고 있다.[28]

특수 족보

『文譜』, 『武譜』, 『蔭譜』, 『三班十世譜』, 『縉紳八世譜』, 『號譜』와 같이 현달한 조상의 세계를 명백히 하려고 편찬한 것들이 있다. 또 역관 李昌鉉이 중인 집안의 족보를 종합하여 편찬한 『姓源錄』, 화가들의 계보를 기록한 『畵寫兩家譜略』, 환관[내시]의 가계를 기록하고 있는 『養世系譜』 등이 있다. 『三班世譜』는 집안의 관직 성향을 보여 주는 일종의 종합보이다. 『南譜』, 『午譜』, 『北譜』 등은 당파를 기록한 黨色譜이다.[29]

▷ 1. 족보의 종류
▷ 2. 족보의 편찬

  1. 宋俊浩, 「韓國에 있어서의 家系記錄의 歷史와 그 解釋」, 『朝鮮社會史硏究』, 일조각, 1987, 28쪽.
  2. 족보의 범례에는 다양한 내용이 들어있다. 자녀의 次序, 즉 기재 순서를 알려준다. 그리고 외손 기재 범위도 적는다. 또 딸과 女壻의 표시 범위, 嫡庶 구분도 언급을 한다. 적서의 구별로 부인의 표시를 配와 室로 구분하기도 하고, 또 서자는 娶를 쓰고, 적자는 配를 사용하기도 한다. 단순히 부인을 生室死配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런 내용을 범례에 기록한다.
  3. 宋俊浩, 앞의 책(1987), 19쪽.
  4. 家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15&cid=46635&categoryId=46635, 2017.2.1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고.)
  5. 宋俊浩, 앞의 책(1987), 21쪽.
  6. 宋俊浩, 앞의 책(1987), 21쪽.
  7. 宋俊浩, 앞의 책(1987), 23쪽.
  8. 宋俊浩, 앞의 책(1987), 26쪽.
  9. 정승모, 『한국의 족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62쪽.
  10. 『萬姓譜』(장서각[K2-1740])는 편자 미상으로 19세기에 편찬되었고, 不分卷 15책이다.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30.2×19cm, 烏絲欄, 半葉 12段, 37.3×23.5cm이다.
  11. 『靑邱氏譜』(장서각[B10B-411])는 宋啓承 纂輯, 宋鎭燮 增補로 1925년 영인된 全20卷20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7.5×18.8cm, 12行 30字, 上下黑魚尾, 32.5×22.5㎝이다. 내용은 完山 李明翔 序, 豊山 金世洛 序, 韓山 李庭珪 跋, 密城 朴海徹 跋, 凡例, 目錄, 系譜 등으로 되어 있다. 수록된 성관은 1,188개로 종합보 가운데서도 가장 많은 성관을 수록하고 있다.
  12. 『東國萬姓簪纓譜』(장서각[B10B-290])는 金廷述 等編으로 1916년 영인되었고, 全5卷5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7.9×18.4cm, 11行 27字, 上下二葉花紋魚尾, 32.8×21.1cm이다.
  13. 『萬姓大同譜』(장서각[B10B-54B])는 尹稙求 編으로 1931년에 간행되었다. 全2卷2冊으로 형태사항은 26×18.5cm이다.
  14. 『朝鮮氏族統譜』(장서각[B10B-106])는 尹昌鉉 纂으로 1924년에 영인되었다. 不分卷1冊으로 형태사항은 26.1×17.3cm이다.
  15. 『百氏通譜』(장서각[K2-1751])는 편자미상으로 不分卷 46冊으로 형태사항은 上下單邊, 半郭 29.5×20cm, 無絲欄, 半葉 12段(族譜), 無魚尾 35.2×22.1cm이다.
  16. 『氏族源流』(서울: 保景文化社, 1992.)는 豊壤趙氏 趙從耘 編으로 106개 성씨에 약540개 본관의 원류를 밝혀 놓은 족도 형식의 종합보이다.
  17. 『萬家譜』(광명: 民昌文化社, 1992.)는 편자미상 全5卷으로 270여 가문의 계보를 각 성씨별로 분류하고, 각 성씨 내에서는 본관으로 분류하여 기록한 일종의 종합보이다. 『만가보』는 해남윤씨 가문의 종택인 녹우당에 소장되어 있는 유일본이다.
  18. 『東國世譜』(장서각[K2-1735])는 편자미상으로 不分卷 3冊이고,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4.2×14.1cm, 無絲欄, 半葉行字數不定, 11段(族譜), 無魚尾 26.7×16.6cm이다.
  19. 『朝鮮科宦譜』(장서각[B9D-24])는 南廷燮 等編으로 全7卷7冊 목활자본이다.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25.3×16.9㎝, 10行 24字, 上下黑‧三葉花紋魚尾, 32.4×20.2㎝이다.
  20. 『韓國系行譜』(寶庫社, 1992.)는 天‧地‧人 3책으로 되어있다.
  21. 이재옥, 앞의 논문(2011), 9~10쪽.
  22. 『태종실록』 24권, 태종 12년(1412) 10월 26일 무인.
  23. 성봉현, 「장서각소장 왕실보첩류의 종류와 현황」, 『한국학논집』 제44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1. 9, 147~148쪽.
  24. 『세종실록』 42권, 세종 10년(1428) 10월 24일 임인.
  25. 『숙종실록』 12권, 숙종 7년(1681) 8월 3일 계미.
  26. 『璿源錄』(장서각[K2-1047])은 本集 50卷, 目錄 1卷, 合51冊으로 형태사항은 四周單邊, 半郭 49×33.7cm, 朱絲欄, 半葉 13行 25字, 7段(族譜), 無魚尾 61.7×41.3cm이다.
  27. 『숙종실록』 8권, 숙종 5년(1679) 2월 15일 경진.
  28. 왕실족보에서 장서각 소장 여부는 “성봉현, 앞의 논문(2011. 9), 121~170쪽”을 참조하였다.
  29. 이재옥, 앞의 논문(2011), 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