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고려문과 급제자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고려문과 급제자수) |
잔글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급제자 수||1,534 | |급제자 수||1,534 | ||
|} | |} | ||
− | + | <br/> | |
한국역대인물에서 시험별 급제자수를 보면 製述科로 1,489명, 明經科는 11명, 重試에 해당하는 文臣親試는 10명, 恩賜 8명, 親試 8명, 侍學親試 7명, 別頭科 3명으로 급제자가 분포하고 있다.<br/> | 한국역대인물에서 시험별 급제자수를 보면 製述科로 1,489명, 明經科는 11명, 重試에 해당하는 文臣親試는 10명, 恩賜 8명, 親試 8명, 侍學親試 7명, 別頭科 3명으로 급제자가 분포하고 있다.<br/>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계|| ||1,534 | |계|| ||1,534 | ||
|} | |} | ||
− | + | <br/> | |
고려조와 조선조의 과거는 이어져있다. 왕조가 바뀌었지만 과거만은 고려와 조선의 과거를 구분하고 있지 않다. 국조방목을 보면 조선시대부터 편찬하고 있는 방목도 있지만, 앞부분에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를 실고 있는 방목도 많다. 또 고려 문과 급제자가 조선시대의 重試에 응시해서 급제를 하고 있다.<br/> | 고려조와 조선조의 과거는 이어져있다. 왕조가 바뀌었지만 과거만은 고려와 조선의 과거를 구분하고 있지 않다. 국조방목을 보면 조선시대부터 편찬하고 있는 방목도 있지만, 앞부분에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를 실고 있는 방목도 많다. 또 고려 문과 급제자가 조선시대의 重試에 응시해서 급제를 하고 있다.<br/> | ||
78번째 줄: | 78번째 줄: | ||
|||1407||[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407_000203 태종 7년(1407) 정해 중시(重試) 문과 병과 2위] | |||1407||[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407_000203 태종 7년(1407) 정해 중시(重試) 문과 병과 2위] | ||
|} | |} | ||
+ | <br/> | ||
+ | :▷ 1. '''[[SEDB:고려문과 종합방목 및 단회방목 | 고려문과 종합방목 및 단회방목]]''' | ||
+ | |||
+ | :▷ 2. '''[[SEDB:고려문과 설행회수 | 고려문과 설행회수]]''' | ||
<br/> | <br/> |
2017년 7월 20일 (목) 08:16 판
고려문과 급제자수
박용운은 「科試 設行과 製述科 及第者」(1990)에서 선장조에 나오는 장원 급제자와 『高麗史』 世家·列傳, 『高麗史節要』, 『東國李相國集』 등 각종 문집·金石文·地理書, 초기의 『朝鮮王朝實錄』, 古文書 그리고 조선조의 종합방목에 실려 있는 「高麗朝科擧事蹟」·「高麗列朝榜」 등을 참고하여 250회 총 1,445명 급제자를 정리하였다.[1] 허흥식은 「고려 예부시 동년록」(2005)에서 255회 총 1,148명 급제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2](이하 한국역대인물)에서는 선장조의 기록과 선장조에 없는 고려문과의 기록까지 추가해서 262회의 시험과 총 1,534명의 급제자를 수록하고 있다. 급제자들의 출전은 저본으로 한 『登科錄前編』이 950명으로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박용운이 정리한 자료에서 466명, 허흥식의 자료는 앞 선 두 자료에서 중복 인물을 제외해서 21명을 추가하였다. 그 외에는 고려문과 단회방목 3개에서 각각 33명, 28명, 25명을 수록하였고, 기타는 『國朝文科榜目』과 『增補文獻備考』, 문집 등에서 13명을 추가하였다.
출전 | 급제자 |
---|---|
『登科錄前編』(규장각[古 4650-10]) | 950 |
『高麗時代 蔭敍制와 科擧制 硏究』(朴龍雲, 一志社, 1990.) | 464 |
「洪武二十三年[恭讓王二年]庚午文科榜目」(『敬齋先生實紀』 권2, 국립중앙도서관[古2511-93-11]) | 33 |
「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榜]」(『古文書集成』 23책(거창 초계정씨篇) | 28 |
「大明洪武十五年壬戌年五月日及第同年牓[榜]目」(『古文書集成』 23책(거창 초계정씨篇) | 25 |
『고려의 과거제도』(허흥식, 일조각, 2005.) | 20 |
『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 106]) | 4 |
『增補文獻備考』(국립중앙도서관[古031-18]) 권185, 「選擧考二」, [高麗登科總目] | 3 |
문집류 | 7 |
급제자 수 | 1,534 |
한국역대인물에서 시험별 급제자수를 보면 製述科로 1,489명, 明經科는 11명, 重試에 해당하는 文臣親試는 10명, 恩賜 8명, 親試 8명, 侍學親試 7명, 別頭科 3명으로 급제자가 분포하고 있다.
시험명 | 급제자 | |
---|---|---|
1 | 제술과(製述科) | 1,489 |
2 | 명경과(明經科) | 9 |
3 | 문신친시(文臣親試) | 10 |
4 | 은사(恩賜) | 8 |
5 | 친시(親試) | 8 |
6 | 시학친시(侍學親試) | 7 |
7 | 별두과(別頭科) | 3 |
계 | 1,534 |
고려조와 조선조의 과거는 이어져있다. 왕조가 바뀌었지만 과거만은 고려와 조선의 과거를 구분하고 있지 않다. 국조방목을 보면 조선시대부터 편찬하고 있는 방목도 있지만, 앞부분에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를 실고 있는 방목도 많다. 또 고려 문과 급제자가 조선시대의 重試에 응시해서 급제를 하고 있다.
문과 급제자 | 시험년 | 합격 시험명 |
---|---|---|
尹會宗(尹孝宗) | 1377 | 우왕 3년(1377) 정사 정사방(丁巳榜) 동진사 17위 |
1407 | 태종 7년(1407) 정해 중시(重試) 문과 병과 6위 | |
李之剛 | 1382 | 우왕 8년(1382) 임술 임술방(壬戌榜) 병과 5위 |
1407 | 태종 7년(1407) 정해 중시(重試) 문과 병과 7위 | |
卞季良 | 1382 | 우왕 8년(1382) 임술 진사시(進士試) 진사 |
1383 | 우왕 9년(1383) 계해 생원시(生員試) 생원 | |
1385 | 우왕 11년(1385) 을축 을축방(乙丑榜) 동진사 4위 | |
1407 | 태종 7년(1407) 정해 중시(重試) 문과 을과 1위[壯元] | |
朴溪(朴濟·朴灣) | 1388 | 창왕 즉위년(1388) 무진 무진방(戊辰榜) 동진사 12위 |
1407 | 태종 7년(1407) 정해 중시(重試) 문과 병과 2위 |
- ▷ 1. 고려문과 종합방목 및 단회방목
- ▷ 2. 고려문과 설행회수
- ↑ 朴龍雲, 앞의 책(1990), 325쪽.
-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은 2005년 12월에 처음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고려문과는 2008년, 고려사마는 2011년부터 서비스를 개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