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고려문과방목 ==
| + | __TOC__ |
− | === 고려문과 종합방목 및 단회방목 === | + | ===. [[SEDB:고려문과 종합방목 및 단회방목 | 고려문과 종합방목 및 단회방목]] === |
| | | |
− | 고려시대 과거는 『高麗史』<ref> 『고려사(高麗史)』 「선거지(選擧志)」의 구성과 내용.<br/>
| + | ===. [[SEDB:고려문과 설행회수 | 고려문과 설행회수]] === |
− | {|class="wikitable"
| |
− | !高麗史||志||編目||項目
| |
− | |-
| |
− | |卷73||卷第27||選擧1||序文, 科目1
| |
− | |-
| |
− | |卷74||卷第28||選擧2||科目2, 學校
| |
− | |-
| |
− | |卷75||卷第29||選擧3||銓注
| |
− | |}</ref> 권73, 志 권제27 「選擧一」, 科目一을 보면 그 단초를 알 수 있다. 또 『增補文獻備考』<ref> 『增補文獻備考』(국립중앙도서관[古031-18]) 184권(選擧考一)부터 201권(選擧考十八)까지가 「選擧考」이다. 총 18編目으로 1~2편목이 고려시대의 과거이다.</ref> 권185, 「選擧考二」, 科制二에 「高麗登科總目」이 있다. 科目一의 選場條와 「高麗登科總目」에 고려시대 문과 설행에 대한 기록이 나와 있다. 科目은 科擧와 같은 의미이다.<ref> 朴龍雲, 『『高麗史』 選擧志 譯註』, 경인문화사, 2012, 35쪽.</ref> 두 기록을 보면 광종부터 공양왕까지 문과 설행 연월과 고시관인 知貢擧·同知貢擧, 문과 장원, 製述科와 明經科·雜科의 선발인원 등을 알 수 있다.<br/>
| |
− | 고려시대 방목은 종합방목과 단회방목이 있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고려문과 종합방목은 여러 종류가 있다. 대표적인 종합방목으로 7개를 소개하려고 한다. 종합방목은 『登科錄前編』<ref> 『登科錄前編』(규장각[古 4650-10])은 1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수록 연대는 958년(광종 9)부터 1392년(공양왕 4)까지 고려시대 문과 전체를 기록하고 있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27×20cm이다.</ref>, 『高麗文科榜目』<ref> 『高麗文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61])은 1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수록 연대는 958년(광종 9)부터 1390년(공양왕 2)까지이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24.7×15.4cm이다. 표제는 麗朝文科榜目으로 원본은 日本 天理大學 今西龍文庫(2821-925)에 소장되어 있다.</ref>, 『國朝榜目』<ref> 규장각 소장 『國朝榜目』(규장각[奎 5202])은 10책으로 編者 未詳이다. 수록 연대는 958년(광종 9)부터 1877년(고종 14)까지로 조선시대 급제자 전체를 실고 있지는 않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30.2×20cm이다.<br/>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6])은 7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수록 연대는 1290년(충렬왕 16)부터 1794년(정조 18)까지이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22×19cm이다.<br/>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國朝榜目』(장서각[K2-3538])은 8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수록 연대는 958년(광종 9)부터 1796년(정조 20)까지이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32×20.4cm이다.<br/>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國朝榜目』(서울대학교[일사 351.306 B224])은 10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수록 연대는 958년(광종 9)부터 1894년(고종 31)까지이다. 판본은 필사본으로 책의 크기는 24×14.7cm이다.</ref>(앞부분에 고려방목이 등재), 『海東龍榜』<ref> 『海東龍榜』(국립중앙도서관[古6024-157])은 10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1책이 고려문과방목으로 수록 연대는 958년(광종 9)부터 1392년(공양왕 4)이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24.3×14.6cm이다. 원본은 일본 東京大學 阿川文庫[G23-176]에 소장되어 있다. 1책은 新羅高麗文科榜, 2책은 朝鮮朝文科榜目으로 大祖~端宗, 3책은 世祖~燕山, 4책은 明宗~中宗. 5책은 宣祖~光海. 6책은 仁祖~顯宗. 7책은 肅宗~景宗. 8책은 英祖, 9책은 正祖~純祖, 10책은 고려조선의 重試와 고려조선의 生進 壯元을 실고 있다.</ref>, 『龍榜會錄』<ref> 『龍榜會錄』(장서각[B13LB-8])은 1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수록 연대는 1290년(충렬왕 16)부터 1544년(중종 39)까지이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22.6×16.8㎝이다.</ref> 등이 현전하고 있다.<br/>
| |
| | | |
− | {|class="wikitable"
| + | ===. [[SEDB:고려문과 급제자수 | 고려문과 급제자수]] === |
− | |+대표적인 고려문과 종합방목
| |
− | ! ||표제||권수제||소장처||청구기호||수록 연대||비고
| |
− | |-
| |
− | |1||[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ntype=sj^cn=GR32982_00 登科錄]||登科錄前編||규장각||古 4650-10||958~1392||1책
| |
− | |-
| |
− | |2||[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ntype=sj^cn=GK05202_00 國朝榜目]||前朝科擧事蹟||규장각||奎 5202||958~1877||10책 중 1책(~1390)
| |
− | |-
| |
− | |3||[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104717 國朝榜目]||前朝科擧事蹟||장서각||K2-3538||958~1796||8책 중 1책(~1390)
| |
− | |-
| |
− | |4||[http://yoksa.aks.ac.kr/jsp/aa/ImageView.jsp?aa10up=kh2_je_a_vsu_B13LB^8_000&aa10no=kh2_je_a_vsu_B13LB^8_001 龍榜會錄]||前朝高麗文科榜||장서각||B13LB-8||1290~1390||1책
| |
− | |-
| |
− | |5||[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1161180&colltype=DAN_OLD&place_code_info=002&place_name_info=%EA%B3%A0%EB%AC%B8%ED%97%8C%EC%8B%A4%28%EB%B3%B4%EC%A1%B4%29&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dan&srchFlag=Y&h_kwd=%E9%BA%97%E6%9C%9D%E6%96%87%E7%A7%91%E6%A6%9C%E7%9B%AE&lic_yn=N&mat_code=RB 麗朝文科榜目]||高麗文科榜目||국중도||古6024-161||958~1392||1책(日本 天理大學 今西龍文庫)
| |
− | |-
| |
− | |6||[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1161851&colltype=DAN_OLD&place_code_info=172&place_name_info=%EA%B3%A0%EB%AC%B8%ED%97%8C%EC%8B%A4%286%EC%B8%B5%29&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srchFlag=Y&h_kwd=%ED%95%B4%EB%8F%99%EC%9A%A9%EB%B0%A9&lic_yn=N&mat_code=RB&topF1=title&kwd=%ED%95%B4%EB%8F%99%EC%9A%A9%EB%B0%A9&dan=&yon=&disabled=&media=&web=&map=&music=&etc=&archive=&cip=&kolisNet=&korcis= 海東龍榜]||麗朝文科榜||국중도||古6024-157||958~1834||10책 중 1책(日本 東京大學 阿川文庫)
| |
− | |-
| |
− | |7||[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1146789&colltype=DAN_OLD&place_code_info=002&place_name_info=%EB%94%94%EC%A7%80%ED%84%B8%EC%97%B4%EB%9E%8C%EC%8B%A4&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dan&srchFlag=Y&h_kwd=%E5%9C%8B%E6%9C%9D%E6%A6%9C%E7%9B%AE&lic_yn=N&mat_code=RB&topF1=title&kwd=%E5%9C%8B%E6%9C%9D%E6%A6%9C%E7%9B%AE&dan=&yon=&disabled=&media=&web=&map=&music=&etc=&archive=&cip=&kolisNet=&korcis= 國朝榜目]||高麗以後各年文科榜目||국중도||古6024-6||1290~1794||7책 중 1책(~1390)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2번과 3번은 서체는 달라도 내용은 동일함.
| |
− | |}
| |
− | | |
− | [[파일:그림11_등과록전편(고려문과).jpg|200픽셀|『登科錄前編』 표지]]
| |
− | | |
− | 고려문과 종합방목은 모두 조선시대에 작성된 것이다. 『登科錄前編』이라는 방목의 제목만 보아도 알 수가 있다. 조선시대에 작성한 『登科錄』<ref> 『登科錄』(규장각[古 4650-11])은 7책으로 편자 미상이다. 수록 연대는 1393년(태조 2)부터 영조조까지이다. 판본은 筆寫本으로 책의 크기는 27×20cm이다.</ref>의 앞부분으로 작성된 것이다. 『登科錄』이라는 이름의 종합방목이 다수 있는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하 규장각)에 소장된 것과 일본 東洋文庫(Toyo Bunko)에 있는 것이다.<br/> | |
− | 고려문과 종합방목은 選場條를 참고하였기 때문에 각 시험의 壯元과 장원 이외의 급제자 일부를 실고 있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오면 조선조의 문과 종합방목처럼 한 회 합격자 전원을 수록하고 있는 시험들이 있다. 총 15회의 시험에서 합격자 전원을 소개하고 있다. 1371년(공민왕 20) 시험은 同進士를 시작하는 제목 아래에 ‘二人無’라는 주가 있다. 그래서 동진사가 23명이 아닌 21명만 실려 있다. 1388년(창왕 즉위) 시험은 동진사 제목에 ‘一人無’라고 적고, 22명만 등재되어 있다. 1389년(창왕 1) 시험은 “동진사 20위” 魯舒<ref>『江華魯氏世譜』를 참고하여 시험년을 “기사(己巳)”(1389)에서 “을사(乙巳)”(1365)로 이동하였다. 노서는 1386년에 사망하기 때문에 1389년 문과를 응시할 수 없다. 그리고 손자 노인복(魯仁復)은 139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ref>를 1365년 과거로 이동을 해서 1명이 부족하다.<br/>
| |
− | | |
− | {|class="wikitable"
| |
− | |+고려문과 종합방목에 선발인원 전원이 등재된 시험
| |
− | ! ||시험년||왕대년||시험명||장원||선발||비고
| |
− | |-
| |
− | |1||1290||충렬왕 16||경인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290_000715 崔咸一]||31||乙3·丙7·同進士21
| |
− | |-
| |
− | |2||1362||공민왕 11||임인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62_001031 朴實]||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3||1368||공민왕 17||행구재친시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68_001070 李詹]||7||등급이 없음
| |
− | |-
| |
− | |4||1369||공민왕 18||기유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69_001077 柳伯濡]||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5||1371||공민왕 20||신해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71_001111 金潛]||31||同進士二十三人 밑에 二人無
| |
− | |-
| |
− | |6||1374||공민왕 23||갑인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74_001142 金子粹]||35||乙3·丙7·同進士25
| |
− | |-
| |
− | |7||1376||우왕 2||병진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76_001192 鄭摠]||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8||1377||우왕 3||정사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77_001225 成石珚]||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9||1380||우왕 6||경신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80_001258 李文和]||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10||1382||우왕 8||임술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82_001291 柳亮]||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11||1383||우왕 9||계해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83_001349 金漢老]||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12||1385||우왕 11||을축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85_001382 禹洪命]||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 |13||1388||창왕 즉위||무진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88_001422 李致]||32||同進士二十三人 밑에 一人無
| |
− | |-
| |
− | |14||1389||창왕 1||기사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89_001454 金汝知]||32||魯舒를 1365년 시험으로 이동
| |
− | |-
| |
− | |15||1390||공양왕 2||경오방||[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90_001487 李慥]||33||乙3·丙7·同進士23
| |
− | |}
| |
| <br/> | | <br/> |
− | 고려문과 단회방목도 국내에 현전하고 있다. 단회방목은 4번처럼 온전히 책으로 존재하지만, 2·5번처럼 거창 초계정씨 문중의 고문서로 현전하고 있거나 『尙賢錄』<ref>『尙賢錄』(국립중앙도서관[古2107-235])은 1책으로 된 禹倬의 문집이다. 판본은 影印 및 鉛活字本이다. 판본 사항은 四周雙邊으로 半郭은 19.0×16.5cm이고, 界線이 있고 10行 19字로 註는 雙行이다. 內向二葉花紋魚尾이고, 책의 크기는 29.1×21.4cm이다.</ref>, 『石灘先生文集』<ref>『石灘先生文集』(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고서(I) 811.98 이신의 석-판])은 2책으로 된 李存吾의 문집이다. 판본은 木板本으로 1726년(영조 2)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판본 사항은 四周雙邊으로 半郭은 22.1×16.2cm이고, 界線이 있고 10行 20字로 註는 雙行이다.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고, 책의 크기는 30.3×20.4cm이다.</ref>, 『敬齋先生實紀』<ref>『敬齋先生實紀』(국립중앙도서관[古2511-93-11])은 1책으로 된 洪魯의 문집이다. 판본은 木板本으로 1826년(순조 26)에 간행되었다. 판본 사항은 四周雙邊으로 半郭은 21.2×17.0cm이고, 界線이 있고 10行 18字로 註는 雙行이다. 內向二葉花紋魚尾이고, 책의 크기는 32.5×21.3cm이다.</ref> 등 문집에 실려 있다. 저자가 각각 禹倬(병과 7위), 李存吾(동진사 8위), 洪魯(동진사 11위)로 본인이 급제한 과거의 방목을 자신의 문집에 수록하고 있다.
| + | :'''▷ 1. [[SEDB:문헌 자료 아카이브의 구현 목적 | 문헌 자료 아카이브의 구현 목적]]''' |
| | | |
− | {|class="wikitable"
| + | :'''▷ 2. [[SEDB:과거의 由來 | 과거의 由來]]''' |
− | |+고려문과 단회방목
| |
− | ! ||시험년||왕대년||방목명||소장처||청구기호||장원||선발
| |
− | |-
| |
− | |1||1290||忠烈王 16||[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1149434&colltype=DAN_OLD&place_code_info=002&place_name_info=%EB%94%94%EC%A7%80%ED%84%B8%EC%97%B4%EB%9E%8C%EC%8B%A4&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dan&srchFlag=Y&h_kwd=%E5%B0%99%E8%B3%A2%E9%8C%84&lic_yn=N&mat_code=RB&topF1=title&kwd=%E5%B0%99%E8%B3%A2%E9%8C%84&dan=&yon=&disabled=&media=&web=&map=&music=&etc=&archive=&cip=&kolisNet=&korcis= 榜目]||『尙賢錄』 권2, 국중도||한古朝57-가346||[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290_000715 崔咸一]||31
| |
− | |-
| |
− | |2||1355||恭愍王 4||[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258350 大元至正十五年乙未及第枋(榜)]||『古文書集成』 23책(거창 초계정씨篇)||911.0091 자29고 23||[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55_000957 安乙起]||33
| |
− | |-
| |
− | |3||1360||恭愍王 9||[http://library.yonsei.ac.kr/search/detail/CAT000000132309 榜目]||『石灘先生文集』, 연세대학교||고서(I) 811.98 이신의 석-판||[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60_001001 鄭夢周]||33
| |
− | |-
| |
− | |4||1360||恭愍王 9||[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9438613&colltype=DAN_OLD&place_code_info=002&place_name_info=%EB%94%94%EC%A7%80%ED%84%B8%EC%97%B4%EB%9E%8C%EC%8B%A4&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srchFlag=Y&h_kwd=%E5%8F%A46024-202&lic_yn=N&mat_code=RB&topF1=cheonggu&kwd=%E5%8F%A46024-202&dan=&yon=&disabled=&media=&web=&map=&music=&etc=&archive=&cip=&kolisNet=&korcis= 至正二十年庚子十月二十五日恭愍王九年新京東堂及第榜目]||국중도||古6024-202||[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60_001001 鄭夢周]||33
| |
− | |-
| |
− | |5||1382||禑王 8||[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258350 大明洪武十五年壬戌年五月日及第同年牓(榜)目]||『古文書集成』 23책(거창 초계정씨篇)||911.0091 자29고 23||[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82_001291 柳亮]||33
| |
− | |-
| |
− | |6||1390||恭讓王 2||[http://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category_code=ct&service=KOLIS&vdkvgwkey=1131817&colltype=DAN_OLD&place_code_info=002&place_name_info=%EB%94%94%EC%A7%80%ED%84%B8%EC%97%B4%EB%9E%8C%EC%8B%A4&manage_code=MA&shape_code=B&refLoc=null&category=dan&srchFlag=Y&h_kwd=%E6%95%AC%E9%BD%8B%E5%85%88%E7%94%9F%E5%AF%A6%E7%B4%80&lic_yn=N&mat_code=RB&topF1=title&kwd=%E6%95%AC%E9%BD%8B%E5%85%88%E7%94%9F%E5%AF%A6%E7%B4%80&dan=&yon=&disabled=&media=&web=&map=&music=&etc=&archive=&cip=&kolisNet=&korcis= 洪武二十三年(恭讓王二年)庚午文科榜目]||『敬齋先生實紀』 권3, 국중도||古2511-93-11||[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90_001487 李慥]||33
| |
− | |}
| |
| | | |
− | 居昌 草溪鄭氏 가문은 桐溪 鄭蘊(1569~1641)의 후손 집안이다. 이 집안 古文書에서 고려사마<ref>고려시대 사마시는 國子監試와 升補試가 있었다. 국자감시는 監試, 進士試라고 하였고, 1032년(덕종 1)에 처음 실시되었다. 승보시는 1147년(의종 1)에 처음 생겼고, 1367년(공민왕 16)에 生員試로 바뀌었다.(崔珍玉, 『朝鮮時代 生員進士 硏究』, 집문당, 1998, 31쪽.)</ref> 단회방목 1점(1377년 진사시)과 고려문과 단회방목 2점(1355·1382년 문과)이 발견되었다. 고려사마방목인 ‘宣光七年丁巳三月日門生進[士試榜目]’은 현재 유일본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1995에 영인되어서 『古文書集成』 23책(거창 초계정씨篇)에 실려 있다. 사마방목에는 101명의 진사가 수록되어 있으며, 進士 57명(1등4·2등15·3등38), 十韻詩 42명(1등4·2등10·3등28), 明經 2명이다.<br/>
| + | :'''▷ 3. [[SEDB:고려문과방목 조사 분석 | 고려문과방목 조사 분석]]''' |
| | | |
− | {|class="wikitable"
| + | :'''▷ 4. [[SEDB:문과방목 조사 분석 | 문과방목 조사 분석]]''' |
− | |+고려사마 단회방목
| |
− | ! ||시험년||왕대년||방목명||소장처||청구기호||장원||선발
| |
− | |-
| |
− | |1||1377||禑王 3||[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258350 宣光七年丁巳三月日門生進(士試榜目)]||『古文書集成』 23책(거창 초계정씨篇)||911.0091 자29고 23||[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S_5COc_1377_240227 鄭悛]<br/>[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S_5COc_1377_240284 權德生]||101
| |
− | |}
| |
| | | |
− | === 고려문과 설행회수 ===
| + | :'''▷ 5. [[SEDB:무과방목 조사 분석 | 무과방목 조사 분석]]''' |
| | | |
− | 선장조에는 총 250회의 시험이 실려 있다. 고려시대 문과를 기록하고 있는 종합방목들은 대체로 선장조와 일치하거나 선장조에 없는 과거가 기록되어 있다. 박용운(1990)은 選場條를 참고하여 고려시대 문과 설행을 250회로 보고 있고,<ref>朴龍雲, 「科試 設行과 製述科 及第者」, 『高麗時代 蔭敍制와 科擧制 硏究』, 일지사, 1990, 325쪽. 1065년(문종 19) 6월 을사방 은사 급제, 1152년(의종 6) 5월 임신방, 1280년(충렬왕 6) 5월 경진 문신친시방, 1302년(충렬왕 28) 5월 임인 문신친시방 등 4회를 제외하였다. 반면에 選場條에 누락된 1296년(충렬왕 22) 병신방, 1297년(충렬왕 23) 정유방, 1324년(충숙왕 11) 갑자방 등 3회를 추가하였다.</ref> 허흥식(2005)은 255회가 실시되었다고 정리하고 있다.<ref>허흥식, 『고려의 과거제도』, 일조각, 2005, 306·308·325쪽. 1082년(문종 36) 파방된 시험은 회수에서 제외하였다. 그래서 253회 실시되었지만, 252회로 정리하였다; 허흥식, 앞의 책(2005), 479~545쪽. 「고려 예부시 동년록」에서는 255회로 정리하고 있다. 選場條에 없는 추가한 시험은 4회로 1065년(문종 19) 은사 급제, 1296년(충렬왕 22)와 1297년(충렬왕 23) 시험, 1324년(충숙왕 11) 시험이다. 추가하지 않은 시험은 1122년(예종 17) 문신친시방, 1309년(충선왕 1) 시험, 그리고 5회의 시학친시방으로 총 7회이다.</ref>
| + | :'''▷ 6. [[SEDB:사마방목 조사 분석 | 사마방목 조사 분석]]''' |
| | | |
− | {|class="wikitable"
| + | :'''▷ 7. [[SEDB:잡과방목 조사 분석 | 잡과방목 조사 분석]]''' |
− | |+『高麗史』 「選擧志」 選場條에 기록되지 않은 문과
| + | <br/> |
− | !||시험년||왕년||登科錄前編||高麗登科總目||麗朝文科榜||前朝科擧事蹟
| |
− | |-
| |
− | |1||1065||문종 19||○<ref>朴龍雲, 『『高麗史』 選擧志 譯註』, 경인문화사, 2012, 239쪽. 文宗十九年六月參知政事金義珍知貢擧取進士 王覆試以盧旦奏事忤旨怒不設科 惟取十上不第者 賜李元長等五人恩賜出身 又賜明經二人及第(『高麗史』 권74, 志 권제28 「選擧二」, 科目二, 恩例條).</ref>(恩賜)||·||○||○
| |
− | |-
| |
− | |2||1116||예종 11||○||·||○||·
| |
− | |-
| |
− | |3||1122||예종 17||·||○(文臣親試)||·||·
| |
− | |-
| |
− | |4||1181||명종 11||·||○(侍學親試)||·||·
| |
− | |-
| |
− | |5||1227||고종 14||○(侍學選壯)||○(侍學親試)||·||·
| |
− | |-
| |
− | |6||1245||고종 32||·||○(侍學親試)||·||·
| |
− | |-
| |
− | |7||1276||충렬왕 2||○(侍學選榜)||○(侍學親試)||·||·
| |
− | |-
| |
− | |8||1296||충렬왕 22||○<ref>此榜未知壯元之誰 某而金公譜(商山金氏族譜)書登科年條(『登科錄前編』).</ref>||·||○||·
| |
− | |-
| |
− | |9||1297||충렬왕 23||○<ref>此榜未知壯元之誰 某而章榮公譜書以忠烈丁酉秋場製述科(『登科錄前編』).</ref>||·||○||·
| |
− | |-
| |
− | |10||1309||충선왕 1||○(史無)||○<ref>忠宣王[補]二年取金成固等(高麗登科總目). 고려등과총목에는 충선왕 2년(1310), 등과록전편에는 충선왕 1년(1309)으로 나온다.</ref>||○||·
| |
− | |-
| |
− | |11||1314||충숙왕 1||○(侍學選榜)||·||·||·
| |
− | |-
| |
− | |12||1324||충숙왕 11||○(史無)||·||○||·
| |
− | |-
| |
− | |계|| || ||9||6||6||1
| |
− | |}
| |
− | | |
− | 『登科錄前編』은 「選擧志」 선장조보다 8회가 많고, 「高麗登科總目」은 6회가 더 많다. 그래서 전자의 시험 회수는 258회이고, 후자는 256회<ref>1082년(문종 36) 3월에 시행된 과거는 崔淵 등 19인을 선발하였는데, 파방되었기 때문에 회수에서 제외하였다.</ref>이다. 둘 다 3번의 別頭<ref>別頭: 고려조 과거에서 中國人으로서 科擧의 을과에 급제한 사람이다. 『登科錄前編』에는 ‘同年別頭’로, 「高麗登科總目」에는 ‘同年別頭科’로 나온다. 고려시대에 총 3번의 시험이 있었다. ① 1102년(숙종 7) 章忱, ② 1114년(예종 9) 林完, ③ 1184년(명종 14) 王逢辰. ‘別頭乙科·別賜乙科’라고 칭하는 것으로 보아 恩賜의 의미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ref> 급제는 시험 회수에서 제외하였다. 『高麗史』 「選擧志」 선장조와 『登科錄前編』, 『增補文獻備考』 「高麗登科總目」에서 설행 회수의 차이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侍學親試(侍學選榜·侍學選試)<ref>문신을 대상으로 하는 親試를 ‘文臣親試榜’, 태자가 侍學을 선발하는 親試는 ‘侍學選榜’이라 『登科錄前編』에서 적고 있다. 『增補文獻備考』 「高麗登科總目」에는 전자를 ‘親試文臣’, 후자를 ‘太子親試侍學’ 또는 ‘世子府侍學’이라 한다. 둘을 절충하여 “文臣親試”와 “侍學親試”라고 이름을 정리하였다.</ref>의 유무이다.<br/>
| |
− | 시학친시는 조선시대에는 없던 시험으로 태자를 모실 시학을 태자가 직접 선발하는 시험이다. 이 시험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高麗史』 「選擧志」 選場條에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고, 『登科錄前編』에는 3곳 즉, 1227년(고종 14)과 1276년(충렬왕 2), 1314년(충숙왕 1)에 기록이 보이고 있다. 그런데 ‘侍學選榜’이라 적으면서 시험명의 위치를 생원·진사시의 장원 다음에 기록하고 있다. 반면에 『增補文獻備考』 「高麗登科總目」에서는 문과 시험과 동등한 자격을 부여해서 4회의 太子親試侍學(또는 世子府侍學)을 적고 있다. 두 책에서 시학친시는 2회가 일치하는 데, 두 책을 합하면 총 5회의 시학친시가 설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 | | |
− | {|class="wikitable"
| |
− | |+고려시대 왕대별 문과 설행 회수
| |
− | ! ||왕명||설행회수|||| ||왕명||설행회수
| |
− | |-
| |
− | |1||광종(光宗)||8||||17||희종(熙宗)||6
| |
− | |-
| |
− | |2||경종(景宗)||2||||18||강종(康宗)||2
| |
− | |-
| |
− | |3||성종(成宗)||14||||19||고종(高宗)||29
| |
− | |-
| |
− | |4||목종(穆宗)||7||||20||원종(元宗)||9
| |
− | |-
| |
− | |5||현종(顯宗)||14||||21||충렬왕(忠烈王)||23
| |
− | |-
| |
− | |6||덕종(德宗)||2||||22||충선왕(忠宣王)***||1
| |
− | |-
| |
− | |7||정종(靖宗)||6||||23||충숙왕(忠肅王)****||7
| |
− | |-
| |
− | |8||문종(文宗)||20||||24||충혜왕(忠惠王)||2
| |
− | |-
| |
− | |9||선종(宣宗)||7||||23||충숙왕(忠肅王) 복위||1
| |
− | |-
| |
− | |10||헌종(獻宗)||1||||24||충혜왕(忠惠王) 복위||4
| |
− | |-
| |
− | |11||숙종(肅宗)||6||||25||충목왕(忠穆王)||1
| |
− | |-
| |
− | |12||예종(睿宗)*||12||||26||공민왕(恭愍王)||10
| |
− | |-
| |
− | |13||인종(仁宗)||18||||27||우왕(禑王)||7
| |
− | |-
| |
− | |14||의종(毅宗)||16||||28||창왕(昌王)||2
| |
− | |-
| |
− | |15||명종(明宗)||18||||29||공양왕(恭讓王)||2
| |
− | |-
| |
− | |16||신종(神宗)**||5||||계||||262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예종 17년 8월 임인방은 4월에 예종이 죽었기 때문에 인종 즉위년으로 함.<br/>** 신종 7년 10월 갑자방은 신종이 9월에 폐위가 되어서 희종 즉위년으로 함.<br/>*** 충선왕 5년 8월 계축방은 3월에 선위를 해서 충숙왕 즉위년으로 함.<br/>**** 충숙왕 17년 10월 경오방은 충혜왕 즉위년으로 함.
| |
− | |}
| |
− | | |
− | 李德懋가 지은 『靑莊館全書』(1795)에서 李萬運이 지은 『高麗榜眼』을 소개하면서, 방안에 실린 序文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全榜 17회 544인, 散榜 210회 465인, 補榜 151인, 應擧試 10회 32인, 文臣重試 3회 10인, 侍學選試 5회 7인, 進士壯元 135인, 十韻詩壯元 65인, 生員壯元 37인, 총 1,446인으로 중첩되는 79인을 제외하면 실제로 1,367인이다.”<ref>허흥식, 앞의 책(2005), 305쪽. 全榜十七共五百四十四人 散榜二百十共四百六十五人 補榜共一百五十一年[人] 應擧試十榜共三十二人 文臣重試三榜共十人 侍學選試五榜共七人 進士魁一百三十五人 十韻魁六十五人 生員魁三十七人 都合一千四百四十六人內 疊人凡七十九人 以計實則一千三百六十七人.(『靑莊館全書』 권70, 高麗榜眼)</ref>
| |
− | 이만운은 정조의 명을 받아 『增補文獻備考』의 전신인 『東國文獻備考』를 증보한 사람이다. 『增補文獻備考』의 「高麗登科總目」에 많은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시학친시의 5회와 장원 7인<ref>① 1181년(명종 11) 河巨源, ② 1227년(고종 14) 六韻詩壯 兪恂, ③ 四韻詩壯 丁偉, ④ 絶句壯 李紹, ⑤ 1245년(고종 32) 高季稜, ⑥ 1276년(충렬왕 2) 六韻詩壯 李益邦, ⑦ 1314년(충숙왕 1) 周永 이상 7인이다.</ref>은 『高麗榜眼』의 내용과 일치한다. 그리고 문신중시를 3회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1122년(예종 17)에 文臣親試(=重試)<ref>『登科錄前編』에는 나오지 않고, 「高麗登科總目」에만 나온다.</ref>가 설행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학친시의 比重은 생원·진사시와 문과의 중간이라고 보여 진다.<br/>
| |
− | 그래서 본 필자는 현재 고려문과 설행 회수를 선장조의 250회와 누락된 12회<ref>선장조에 누락된 시험은 1065년(문종 19) 6월 을사방, 1116년(예종 11) 병신방2, 1122년(예종 17) 문신친시방, 1181년(명종 11) 시학친시방, 1227년(고종 14) 시학친시방, 1245년(고종 32) 시학친시방, 1276년(충렬왕 2) 시학친시방, 1296년(충렬왕 22) 병신방, 1297년(충렬왕 23) 정유방, 1309년(충선왕 1) 기유방, 1314년(충숙왕 1) 시학친시방, 1324년(충숙왕 11) 갑자방 등 총 11회이다. 1065년 을사방은 科目二 恩例條와 『登科錄前編』과 「麗朝文科榜」에 나온다.<br/>
| |
− | {|class="wikitable"
| |
− | !||시험년||왕년||내용||출전
| |
− | |-
| |
− | |1||1065||문종 19||恩賜||恩例條·登科錄前編·麗朝文科榜
| |
− | |-
| |
− | |2||1116||예종 11||○||登科錄前編·麗朝文科榜
| |
− | |-
| |
− | |3||1122||예종 17||文臣親試||高麗登科總目
| |
− | |-
| |
− | |4||1181||명종 11||侍學親試||高麗登科總目
| |
− | |-
| |
− | |5||1227||고종 14||侍學親試||登科錄前編·高麗登科總目
| |
− | |-
| |
− | |6||1245||고종 32||侍學親試||高麗登科總目
| |
− | |-
| |
− | |7||1276||충렬왕 2||侍學親試||登科錄前編·高麗登科總目
| |
− | |-
| |
− | |8||1296||충렬왕 22||○||登科錄前編·麗朝文科榜
| |
− | |-
| |
− | |9||1297||충렬왕 23||○||登科錄前編·麗朝文科榜
| |
− | |-
| |
− | |10||1309||충선왕 1||史無||登科錄前編·高麗登科總目·麗朝文科榜
| |
− | |-
| |
− | |11||1314||충숙왕 1||侍學選榜||登科錄前編
| |
− | |-
| |
− | |12||1324||충숙왕 11||史無||登科錄前編·麗朝文科榜
| |
− | |}
| |
− | </ref>의 시험을 『登科錄前編』과 「高麗登科總目」에서 참고하여 총 262회로 결론지었다.<br/>
| |
− | 박용운이 「科試 設行과 製述科 及第者」(1990)에서 제외한 4회의 시험을 정규 설행으로 처리하였다. 1065년(문종 19) 6월 을사방은 恩賜 급제자(李元長)가 나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1152년(의종 6) 5월 임신방은 같은 해 4월에 金儀 등을 뽑고, 5월에 親試하여 劉羲 등을 선발하였다. 선장조에 나오는 최초의 친시방이다.<ref>『增補文獻備考』 권185, 「選擧考二」, 科制二, 「高麗登科總目」에는 1122년(예종 17)에 文臣을 대상으로 親試를 거행하여 詹事府注簿 安寶麟 등을 선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선장조의 (문신)친시 1152년 보다 더 이른 시기이다.</ref> 1280년(충렬왕 6) 5월 경진 문신친시방은 4월에 李白琪 등을 급제시켰고, 5월에 文臣을 대상으로 친시하여 趙簡 등을 선발하였다. 선장조에 나오는 최초의 문신친시방이다(조선시대 重試에 해당한다). 1302년(충렬왕 28) 5월 임인 문신친시방은 4월에 崔凝 등을 뽑고, 5월에 문신 친시하여 曺匡漢 등을 선발하였다. 모두 정규 과거에서 제외할 이유가 없다.<br/>
| |
− | 고려시대 문과에서 같은 해에 2번 설행된 경우는 여섯 차례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1152년, 1280년, 1302년의 (문신)친시, 1276년 시학친시, 그리고 983년(성종 2)과 1116년(예종 11) 시험이 있다. 983년 5월 계미방에서 崔行言 등 5인을 선발하였고, 12월 시험에서는 姜殷川(姜邯贊)이 장원 급제하였다. 1116년 5월 병신방에 裵祐 등 38인을 뽑았고, 11월에 林許允 등을 선발하였다.<br/>
| |
− | | |
− | {|class="wikitable"
| |
− | |+고려시대 문과에서 1년에 2번 실시된 시험
| |
− | ! ||왕명||왕년||干支||試驗年||月||시험명||壯元||선발
| |
− | |-
| |
− | |1||成宗||2||癸未||983||5월||癸未榜||[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a_0983_000017 崔行言]||5
| |
− | |-
| |
− | |||||||||||12월||癸未榜2-覆試||[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a_0983_000018 姜邯贊]||3
| |
− | |-
| |
− | |2||睿宗||11||丙申||1116||5월||丙申榜||[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b_1116_000241 裵祐]||38
| |
− | |-
| |
− | |||||||||||11월||丙申榜2||[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b_1116_000242 林許允]||?
| |
− | |-
| |
− | |3||毅宗||6||壬寅||1152||4월||壬寅榜||[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b_1152_000344 金儀]||27
| |
− | |-
| |
− | |||||||||||5월||親試||[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b_1152_000346 劉羲]||35
| |
− | |-
| |
− | |4||忠烈王||2||丙子||1276||8월||侍學親試||[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276_000681 李益邦]||?
| |
− | |-
| |
− | |||||||||||10월||丙子榜||[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276_000682 李益邦]||33
| |
− | |-
| |
− | |5||忠烈王||6||庚辰||1280||4월||庚辰榜||[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280_000693 李白琪]||33
| |
− | |-
| |
− | |||||||||||5월||文臣親試||[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280_000695 趙簡]||9
| |
− | |-
| |
− | |6||忠烈王||28||壬寅||1302||4월||壬寅榜||[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02_000767 崔凝]||33
| |
− | |-
| |
− | |||||||||||5월||文臣親試||[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exmId=EXM_CM_5COc_1302_000769 曺匡漢]||7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