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교통로 복원과 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경기도 광주부를 중심으로」

seonae's wiki
Jhun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월 9일 (수) 23:40 판 (연구방법론)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논문 목차

1. 서론

   문제제기
   선행연구
   연구시기 및 지역

2. 교통로 복원의 자료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
  근대지도

3. 광주부 교통로 복원과 분석

  행정구역과 고지형 복원
  자료 별 교통 정보 분석
  교통로의 복원

4. 교통로 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기존 교통로 모델 분석
  조선시대 교통로 DB설계

5. 결론

서론

연구자의 주제선정 이유 및 방법론

  • 주제선정 목적: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부를 통해 교통로를 복원하고, 이를 기초로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이용한 전근대교통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목적
  • 주제선정 이유: 교통로의 복원은 역사지리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연구 동향: 최근 들어 대부분의 공간정보는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통해 수집, 관리, 분석되고 있다. 이 중에서 역사지리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DB구축 및 방법론 등은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으로 불린다. 역사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의 시간성에 초점을 맞추어, 행정, 자연, 인문 지리정보의 시각적인 변화를 GIS기법을 통해 기록, 분석 및 시각화하는 방법론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결과가 본격적으로 나오지는 못했다. 교통로의 경로를 비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로의 특성상 과거의 계속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현재 남아있는 흔적으로 과거 경로를 비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인는 답사를 통해 보완하는 방법 밖에 없는데 이를 하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다른 점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보다 교통로의 복원은 상대적으로 늦어지는 실정이다.

기존 연구의 문제점

  • 일부지방의 지방의 고지도를 이용한 옛길 복원과 역원로를 중심으로 한 간선도로 복원에 치우쳐 있다.
  • 교통로 복원에 근거가 되는 고지도와 지리지, 정리고 계열의 자료를 통합 분석하지 못하고 특정 자료에 한정되어 있다.
  • 교통로 복원에 역사지리정보시스템 방법론을 적용하지 못해 경유지와 경로에 대한 시공간적 DB 설계 및 DB구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방법론

  • 고지도 자료를 분석하고 교통로 복원 방향성 설립
  • HGIS를 활용한 복원방법 수립
  • 설계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기반

교통로 복원 7단계

  •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의 지명DB구축 및 위치비정
  • 고지도 상의 교차점에 대한 별도의 DB구축 및 복원
  • 근대지형도 도로망 추출
  • 구한말 도로망 복원
  • 조선시대 간선도로 복원
  • 전국지도에서 군현 간 연결망 복원

본론

교통로 복원의 자료

=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6fac60cb40bd2cff5d24d0c7169aff1c.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