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궤 복식 정보의 전자적 활용방안 연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na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차 저장)
 
(2차 저장)
50번째 줄: 50번째 줄: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04 고려복식]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04 고려복식]
 
**고려시대 다양한 신분계층의 복식을 3D 그래픽으로 재현, 실제 의복 제작에 필요한 치수 등을 제공
 
**고려시대 다양한 신분계층의 복식을 3D 그래픽으로 재현, 실제 의복 제작에 필요한 치수 등을 제공
 +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로 복식 콘텐츠를 제작하였지만 각 콘텐츠 별로 다른 사업체에서 제작하였기에 이 역시 오류가 발견되어 복식전문가의 검수가 필요한 상황
 +
 +
====복식 유물 소장 박물관 웹사이트====
 +
*[http://www.nfm.go.kr/ 국립민속박물관]
 +
*[http://www.gogung.go.kr/ 국립고궁박물관]
 +
*[http://museum.dankook.ac.kr/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
*유물이미지, 명칭, 시대, 용도, 재질, 착장자 정보, 설명 등을 위주로 데이터 제공
 +
**이미지뷰 형식을 보여주고 있어 시각적 인식효과를 높였으나 소장한 복식 유물 중 대표적인 것만 제공하고 주로 정면 이미지만 웹상에 보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음.
 +
 +
====전통복식문양====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Main.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322 문화콘텐츠닷컴 · 궁중문양]
 +
*[http://www.culture.go.kr/tradition/designPatternList.do 문화포털 · 전통디자인]
 +
*한국전통이미지DB
 +
**URL 만료로 열람불가
 +
*문양은 이미지자료 및 응용패턴 등으로 제공되고 있음, 즉 2차 활용을 목적으로 하기에 원본이미지 혹은 가공이미지로 제공되는 문양의 출처 확인이 불가함.
 +
 +
====복식용어사전====
 +
*[http://gate.dbmedia.co.kr/dressing/index.htm 김영숙교수 한국복식문화사전]
 +
*[http://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의생활]
 +
*한국문화 콘텐츠 콜렉션 고유복식
 +
**URL 만료로 열람불가
 +
*COSTUM KOREA 한국복식사전
 +
**URL 만료로 열람불가
 +
**각각의 자료에 연관자료 항목을 삽입하여 자료 간의 연계를 가능케함 · 본 연구의 기준 모델
 +
**자료검색은 메뉴방식과 직접 검색 두 가지로, 메뉴방식은 ‘디렉토리 검색’, ‘ㄱㄴㄷ검색’, 직접검색은 ‘통합검색’, ‘상세검색’이 제공됨.
 +
 +
 +
===복식 정보 DB 구축을 위한 자료 검토===
 +
====기존 복식 정보 DB====

2019년 1월 17일 (목) 09:39 판

논문의 구성

서론 : 연구 배경, 목적, 방법 및 범위
본론1: 복식 정보 DB 구축을 위한 자료 검토
본론2: 가례도감의궤 복식 정보 DB 설계
본론3: 가례도감의궤 복식 정보 DB 활용
결론

연구의 목적과 방법

  • 전통복식자료의 디지털화
    • ① 고문헌 아카이브
    • ② 2차 가공 콘텐츠
    • ③ 복식용어사전
  •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원하는 이용자가 생겨남에 따라 복식 자료에 대한 원천 자료를 열람하고자 하는 수요 발생.
  • BUT 현재 복식 관련 웹사이트에서는 원천자료에 대한 서비스가 미비하여 고문헌 아카이브 또는 실제 문헌을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음.

연구 목적

  • 원천자료 참조가 가능한 복식 정보 시스템 모델을 구축, 원천자료로는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선정.
  • 원천자료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가공된 복식 콘텐츠의 근거를 제시하여 신뢰성 증진.


연구 방법

  • 의궤 상에 나타나는 인물(직책명)과 복식, 반차도를 분석하여 ‘직책’, ‘복식’, ‘착용정보’, ‘반차도아바타’, ‘복식용어사전’ 등 5개의 테이블로 조직화.
  • 구축한 의궤 복식 정보 DB와 외부 유관 데이터의 연계 활용방안 3가지 모색
    • 1. World Wide Web을 통한 시각화 프로그램의 온라인 서비스
    • 2. 복식 용어에 고유한 식별자(URL) 부여를 통한 외부 데이터 연계
    • 3. 기계적 판독이 가능한 형태의 원천 데이터 제공
  • 활용자료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여타 복식 관련 콘텐츠를 서비스 중인 DB, 웹사이트를 비교분석


복식 정보 DB 구축을 위한 자료 검토

기존 복식 정보 DB

번역자들의 관련 지식이 부족함으로 오탈자나 잘못된 정보가 수정되지 않은 경우가 있음

복식문화원형

  • 문화콘텐츠닷컴
    • 문화원형콘텐츠 내용에 따라 세세한 분류를 하고 있는 것이 특징, 특히 주제별 카테고리 가운데 ‘한국의 전통장신구’,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한국의 고유복식’, ‘고려복식’ 등의 복식 전문 콘텐츠와 ‘의례 · 놀이 · 연회’에서 ‘효명세자와 춘앵전의 재발견’, ‘전통혼례와 혼례음식’, ‘조선왕실의 관혼상제’ 등 유관한 의례 콘텐츠 3종이 있음.
  • 한국의 전통장신구
    • 장신구의 역사와 종류, 구성, 착용예시에 대한 텍스트 및 사진, 동영상, 오디오 원형자료 열람가능
  •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 삼국 ~ 조선시대까지의 복식 사진, 일러스트, 3D 그래픽, 동영상, 플래시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제공
  • 한국의 고유복식
    • 삼국 ~ 조선시대까지의 복식 고유의 색을 측정하여 그 값을 보이는 RGB 테이블 제공
  • 고려복식
    • 고려시대 다양한 신분계층의 복식을 3D 그래픽으로 재현, 실제 의복 제작에 필요한 치수 등을 제공
  •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로 복식 콘텐츠를 제작하였지만 각 콘텐츠 별로 다른 사업체에서 제작하였기에 이 역시 오류가 발견되어 복식전문가의 검수가 필요한 상황

복식 유물 소장 박물관 웹사이트

  •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고궁박물관
  •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 유물이미지, 명칭, 시대, 용도, 재질, 착장자 정보, 설명 등을 위주로 데이터 제공
    • 이미지뷰 형식을 보여주고 있어 시각적 인식효과를 높였으나 소장한 복식 유물 중 대표적인 것만 제공하고 주로 정면 이미지만 웹상에 보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음.

전통복식문양

복식용어사전

  • 김영숙교수 한국복식문화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의생활
  • 한국문화 콘텐츠 콜렉션 고유복식
    • URL 만료로 열람불가
  • COSTUM KOREA 한국복식사전
    • URL 만료로 열람불가
    • 각각의 자료에 연관자료 항목을 삽입하여 자료 간의 연계를 가능케함 · 본 연구의 기준 모델
    • 자료검색은 메뉴방식과 직접 검색 두 가지로, 메뉴방식은 ‘디렉토리 검색’, ‘ㄱㄴㄷ검색’, 직접검색은 ‘통합검색’, ‘상세검색’이 제공됨.


복식 정보 DB 구축을 위한 자료 검토

기존 복식 정보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