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교통로 복원과 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경기도 광주부를 중심으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na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결론)
(연구자의 주제선정 이유 및 방법론)
26번째 줄: 26번째 줄:
 
* 주제선정 이유: 교통로의 복원은 역사지리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주제선정 이유: 교통로의 복원은 역사지리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연구 동향: 최근 들어 대부분의 공간정보는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통해 수집, 관리, 분석되고 있다. 이 중에서 역사지리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DB구축 및 방법론 등은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으로 불린다. '''역사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의 시간성에 초점을 맞추어, 행정, 자연, 인문 지리정보의 시각적인 변화를 GIS기법을 통해 기록, 분석 및 시각화하는 방법론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결과가 본격적으로 나오지는 못했다. 교통로의 경로를 비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로의 특성상 과거의 계속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현재 남아있는 흔적으로 과거 경로를 비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인는 답사를 통해 보완하는 방법 밖에 없는데 이를 하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다른 점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보다 교통로의 복원은 상대적으로 늦어지는 실정이다.'''
+
* 연구 동향: 최근 들어 대부분의 공간정보는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통해 수집, 관리, 분석되고 있다. 이 중에서 역사지리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DB구축 및 방법론 등은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으로 불린다. '''역사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의 시간성에 초점을 맞추어, 행정, 자연, 인문 지리정보의 시각적인 변화를 GIS기법을 통해 기록, 분석 및 시각화하는 방법론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결과가 본격적으로 나오지는 못했다. 교통로의 경로를 비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로의 특성상 과거의 계속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현재 남아있는 흔적으로 과거 경로를 비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는 답사를 통해 보완하는 방법 밖에 없는데 이를 하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다른 점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보다 교통로의 복원은 상대적으로 늦어지는 실정이다.'''
  
 
===기존 연구의 문제점===
 
===기존 연구의 문제점===

2019년 1월 17일 (목) 11:00 판

논문 목차

1. 서론

   문제제기
   선행연구
   연구시기 및 지역

2. 교통로 복원의 자료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
  근대지도

3. 광주부 교통로 복원과 분석

  행정구역과 고지형 복원
  자료 별 교통 정보 분석
  교통로의 복원

4. 교통로 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기존 교통로 모델 분석
  조선시대 교통로 DB설계

5. 결론

서론

연구자의 주제선정 이유 및 방법론

  • 주제선정 목적: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부를 통해 교통로를 복원하고, 이를 기초로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이용한 전근대교통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목적
  • 주제선정 이유: 교통로의 복원은 역사지리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연구 동향: 최근 들어 대부분의 공간정보는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통해 수집, 관리, 분석되고 있다. 이 중에서 역사지리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DB구축 및 방법론 등은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으로 불린다. 역사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의 시간성에 초점을 맞추어, 행정, 자연, 인문 지리정보의 시각적인 변화를 GIS기법을 통해 기록, 분석 및 시각화하는 방법론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결과가 본격적으로 나오지는 못했다. 교통로의 경로를 비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로의 특성상 과거의 계속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현재 남아있는 흔적으로 과거 경로를 비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는 답사를 통해 보완하는 방법 밖에 없는데 이를 하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다른 점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보다 교통로의 복원은 상대적으로 늦어지는 실정이다.

기존 연구의 문제점

  • 일부지방의 지방의 고지도를 이용한 옛길 복원과 역원로를 중심으로 한 간선도로 복원에 치우쳐 있다.
  • 교통로 복원에 근거가 되는 고지도와 지리지, 정리고 계열의 자료를 통합 분석하지 못하고 특정 자료에 한정되어 있다.
  • 교통로 복원에 역사지리정보시스템 방법론을 적용하지 못해 경유지와 경로에 대한 시공간적 DB 설계 및 DB구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방법론

  • 고지도 자료를 분석하고 교통로 복원 방향성 설립
  • HGIS를 활용한 복원방법 수립
  • 설계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기반

교통로 복원 7단계

  •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의 지명DB구축 및 위치비정
  • 고지도 상의 교차점에 대한 별도의 DB구축 및 복원
  • 근대지형도 도로망 추출
  • 구한말 도로망 복원
  • 조선시대 간선도로 복원
  • 전국지도에서 군현 간 연결망 복원

본론

교통로 복원의 자료

  • 고지도(대동여지도, 조선도, 해동지도, 여지도)
 경기도의 옛지도
  • 지리지(여지도서, 대동지지)
지리지는 일정한 지역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기록물이다. 지리지의 분류는 제작 주체별, 제작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된다. 
  • 정리고(도로고, 대동지지)
교통을 주제로 제작한 지리지로서 전국의 육로와 수로에 대해 총망라한 지리지이다. 
  • 근대지도(구한말한반도지형도, 일제시대지형도)
근대지도는 일본인에 의해 근대 측량기술에 의해 제작된 지도를 말한다.

광주부 교통로 복원과 분석

복원은 크게 원자료 DB화, 분석, 현재 위치 비정의 3단계로 구성하여 도로 복원

  • 행정구역과 고지형 복원
1) 특정 자료, 특정 연도의 행정구역 목록 추출
2) 행정구역의 변화 이력 추적
3) 시기별 행정구역 복원
4) 읍치 및 행정중심지의 복원
  • 자료 별 교통 정보 분석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를 비교분석. 자료 간 교통정보의 유사성과 차이점 분석하고, 자료 간 교통정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 
  • 교통로의 복원
1)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의 지명DB 구축 및 위치 비정

지명 데이터베이스 구축 대상은 교통로 상의 경유지와 경로의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지명을 포함하였다. 지명DB는 원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로 나눠서 구축하고 공통적인 지명 속성 부분과 자료별 개별 특성을 반영하는 부분으로 나눠서 구축하였다. 공통 요소로는 지명(한자), 지명(한글), 기호, 소속행정구역, 현위치 정보, 자료원 정보 등이 있다. 지명DB는 속성 테이블과 공간 레이어로 나눠서 관리된다. 지명 정보는 속성테이블, 지명의 현 위치 비정 정보는 공간 레이어로 관리된다. (논문의 표 삽입할 것. p72, 73)

2) 지명 외에 고지도 상의 교차점에 대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복원
3) 경로 복원을 위한 근대 지형도 상의 도로망 추출
4) 일제강점기 도로망을 기반으로 구한말 도로망을 복원
5) 조선시대 간선도로를 복원
간선도로 복원은 첫 번째 경유지의 비정과 두 번째 경로의 비정으로 나눈다. 경유지 비정의 방법은 1단계 지명 DB구축 및 위치 비정 단계의 그것과 같다. 다만 정리고의 구성 특성에 맞도록 경로의 계층적 정보와 경유지간의 거리 정보를 추가적으로 구축할 필요는 있다.  (논문의 표 삽입할 것. p80,)
6) 군현지도 차원에서 광주 내의 교통로를 복원
7) 전국지도 차원에서 군현 간 연결망을 복원

교통로 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한국과 일본의 현재 도로망 모델을 분석, 전근대 교통로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점

  • 한국의 교통로 데이터 표준 (92페이지 그림 삽입)
  • 일본의 교통로 데이터 표준 (95페이지 그림 삽입)
일본의 <국토 수치정보 서비스>는 지형, 토지 이용, 공공시설 등 국토에 관한 기초공간정보이다. 

조선시대 교통로 DB 설계

  • 원자료 교통정보

(97페이지 그래프 삽입, 99p, 100p, 101p, 103p, 표 삽입)

  • 공간 비정 레이어

(104p, 105p, 108p, 110p)

결론

  • 역사지리정보시스템
1) 역사지리정보시스템은 방법론의 적용은 고지도와 지리지의 활용도를 크게 증진시킨다. 
2) 현재 위치 비정에 대한 정보가 텍스트가 아닌 좌표를 갖는 도형으로서 표현되는 과정 - 경위도 좌표의 획득 뿐 아니라, 위치로서 공간상의 분포와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3) GIS 오버레이 분석을 통해서도 과거와 현재의 시공각적인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음. 이는 다양한 시공간적 문제제기와 답을 제공할 수 있다. 4)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고지도 및 지리지의 교통 벙보를 비교분석 한 뒤 역사지리정보시스템 방법론을 통해 당시의 교통로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데이터베이스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 요약
1) 조선시대 광주부에 관한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를 수집 분석하여 각자료에 수록된 교통정보를 분류하고 특성고찰
2) HGIS를 이용한 교통로 복원 과정을 제시
3) 조선시대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속성데이터인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와 공간테이터인 지명, 교차점, 경로 비정 레이어의 연계로 이뤄짐

  • 연구 활용
1) 역사지리환경 복원 중 교통로 구축의 설계안에 적용할 수 있다. 
2) 전근대 교통정보에 대한 수치정보 산출이 가능하다. 
3) 조선시대 리 거리의 실증적 분석이 가능하다. 
  • 연구 한계
1)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부로 연구대상이 한정되어, 광주 외에 다른 군현의 고지도 및 지리지에 수록된 교통 정보간의 차이점을 분석할 수 없었다. 향후 연구 필요하다. 
2) 수운과 해운에 관한 분석은 하지 못했다. 수운과 해운 정보를 통합하여 결절지로서의 포구와 나루의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설계 부분에서는 GIS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교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지역 간, 지역 내 중심지 연결에 관한 설계와 조선시대 사회경제데이터와의 연계분석을 위해 노드, 링크 및 연결가중치를 중심으로 공간데이터 설계 추가해야한다. 

추가자료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