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de List: 156 nodesCentral node: 조선_영조

ClassificationImageId / Label / RemarkDescriptionNetwork
Event
행사
id: 1728_영조-무신친정
영조무신친정(英祖戊申親政)(1728)
Event
행사
id: 1734_영조-갑인춘친정
영조갑인춘친정(英祖甲寅春親政)(1734)
Event
행사
id: 갑자년진연
갑자년 진연 (1744 영조 20)
1744년(영조 20) 조선_영조의 보령 50세와 인원왕후의 57세 생신을 함께 축하하여 경덕궁 숭정전과 광명전에서 열린 진연.
Event
사건
id: 개천_준천(1760)
청계천 준천/경진준천(1760)
1760년(영조 36)에 진행된 개천(현재의 청계천) 준설.
Event
사건
id: 개천_준천(1773)
청계천 준천/계사준천(1773)
1773년(영조 49)에 진행된 개천(현재의 청계천) 준설.
Record
문헌
시집
id: 경인갱운첩-영조
경인갱운첩(庚寅賡韻帖)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대신 및 공신의 후예들과 나눈 창화시를 수록하여 1770년에 간행한 시집.
Event
의례/의식
id: 경종의_국장
경종의 국장
Event
연회
id: 경현당수작연
경현당 수작연(景賢堂受爵宴, 1765)
【1765】. 10월 11일 경희궁의 경현당(景賢堂)에서 영조의 망팔(望八)을 기념하여 시행한 연회.
Record
문헌
역사서
id: 계술수연록-영조
계술수연록(繼述受宴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1766년 숭정전에서 베푼 연례의 내용을 기록한 역사서.
Concept
개념용어
id: 계주문
계주문
Record
문헌
교서, 윤음
id: 과폐이정윤음-영조
과폐이정윤음(科弊釐正綸音)
1759년 영조가 과거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내린 교서.윤음.
Record
문헌
예서
id: 국조상례보편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Record
문헌
id: 국조속오례의
국조속오례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속편(續編).
Actor
왕실인물
후궁
id: 귀인_조씨-영조
귀인 조씨(貴人趙氏)
Event
사건
id: 금주령-1758
금주령 1758(영조 34)
1758년(영조 34) 큰 흉작으로 궁중의 제사에도 술 대신 차를 쓰는 등 엄격한 금주령이 발표되었고, 왕이 홍화문(弘化門)에 나가 직접 백성들에게 금주윤음(禁酒綸音)을 발표하였다.
Concept
행사의례
id: 대사례
대사례 1743
Record
문헌
법제서, 절목
id: 대소과이정절목-영조
대소과이정절목(大小科釐正節目)
1759년 에 제정된 『과폐이정윤음』의 내용을 보완하여 재정리한 21개 조항을 수록한 법제서.절목.
Place
장소
id: 동관왕묘
동묘(東廟)/동관왕묘(東關王廟)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 촉나라 장수 관우의 소상을 봉안한 사당. 보물. 정식명칭은 동관왕묘이나 동묘라고 흔히 부름.
Record
금석문
id: 동관왕묘_서무_비
동관왕묘 서무 내 비(東關王廟 西廡 碑)
Object
편액-동관왕묘
id: 동관왕묘_정전_편액_10
동관왕묘 영조 어제어필 편액 2
Object
편액-동관왕묘
id: 동관왕묘_정전_편액_15
동관왕묘 영조 어제어필 시액 2
Object
편액-동관왕묘
id: 동관왕묘_정전_편액_4
동관왕묘 영조 어제어필 편액 1
Object
편액-동관왕묘
id: 동관왕묘_정전_편액_9
동관왕묘 영조 어제어필 시액 1
Record
문헌
id: 동국문헌비고
동국문헌비고
조선 후기의 백과사전이다.
Event
사건
id: 모화관친림(1760)
모화관친림(1760)
1760년(영조 36) 영조가 모화관(慕華館)에서 각 군문(軍門)과 준천소 군병(軍兵)들의 훈련 모습을 시찰하고 준천(濬川) 사업에 참여한 군병을 격려함.
Object
의식도구
id: 몽금척족자
몽금척족자(夢金尺簇子)
※ 연향
Record
문헌
id: 무목왕정충록
무목왕정충록
명나라 [[웅대목]](熊大木)이 지은 '[[대송중흥통속연의]](大宋中興通俗演義)'를 번역한 소설이다.
Actor
왕실인물
왕자
id: 사도세자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
【1735~1762】. 조선 제21대 영조의 둘째 아들. 제22대 정조의 생부
Event
의례/의식
id: 사도세자-혜빈의_가례
사도세자-혜빈의 가례
Concept
행사의례
id: 상존호
상존호
Event
의례/의식
id: 선의왕후의_국장
선의왕후의 국장
Record
문장
id: 소훈이씨제문
소훈이씨제문
1721년(조선 경종 1) 11월 19일에 [[소훈이씨]]를 위해 왕세제였던 [[조선 영조 | 영조]]가 직접 지은 제문을 한글로 옮긴 것이다.
Record
문헌
id: 속대전
속대전
1746년(영조 22)에 ≪경국대전≫ 시행 이후에 공포된 법령 중에서 시행할 법령만을 추려서 편찬한 통일 법전.
Record
문헌
id: 속자성편
속자성편
Record
금석문
묘표
id: 수경원영빈이씨묘표
수경원 영빈이씨 묘표
Event
사건
id: 수문상친림(1760)
수문상친림(1760)
1760년(영조 36) 영조(英祖)가 오간수문(五間水門)에 행차하여 준천의 현장을 관람함.
Record
문헌
교서, 윤음
id: 수성윤음-영조
수성윤음(守城綸音)
1751년 영조가 도성수비에 대하여 내린 교서.윤음.
Actor
왕실인물
후궁
id: 숙빈_최씨
숙빈 최씨(淑嬪崔氏, 1670~1718)
【1670년~1718년】. 조선 제19대 숙종의 후궁이자 제21대 영조의 어머니.
Actor
왕실인물
후궁
id: 숙의_문씨-영조
숙의 문씨(淑儀文氏)
Record
의궤
id: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상호도감의궤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상호도감의궤
Record
문헌
id: 어제강녕전고실록여침만억
어제강녕전고실록여침만억
Record
문헌
어제(御製), 조칙
id: 어제경민음-영조
어제경민음(御製警民音)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백성들을 경계하기 위하여 내린 조칙을 1762년에 간행한 어제(御製).조칙.
Record
문헌
id: 어제경복궁
어제경복궁
Record
문헌
어제(御製), 언해서
id: 어제경세문답속록언해-영조
어제경세문답속록언해(御製警世問答續錄諺解)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어제경세문답속록』을 풀이한 어제(御製).언해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자성록
id: 어제경세문답속록-영조
어제경세문답속록(御製警世問答續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어제경세문답』의 속편으로 1763년에 저술한 어제(御製).자성록.
Record
문헌
어제(御製), 언해서
id: 어제경세문답언해-영조
어제경세문답언해(御製警世問答諺解)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어제경세문답』을 풀이한 어제(御製).언해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경세문답-영조
어제경세문답(御製磬世問答)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경사(經史) 가운데에서 후세를 경계할만한 내용을 수록하여 1761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경세편-영조
어제경세편(御製警世篇)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세상을 깨우치기 위하여 1764년에 찬술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고금연대귀감-영조
어제고금연대귀감(御製古今年代龜鑑)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후대의 군왕들을 위해 역대 전적에서 치국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여 1757년에 저술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윤리서
id: 어제권세위효제문-영조
어제권세위효제문(御製勸世爲孝悌文)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효제(孝悌)를 권장하기 위해 1773년에 간행한 어제(御製).윤리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교훈서
id: 어제근정훈유-영조
어제근정훈유(御製勤政訓諭)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신하들에게 내린 훈유의 글을 1771년에 간행한 어제(御製).교훈서.
Record
문헌
id: 어제내훈
어제내훈
1737년(조선 영조 13)에 [[소혜왕후]]가 왕실여성을 비롯한 부녀자들을 교훈하기 위해 덕행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Record
문헌
어제(御製), 훈유문
id: 어제대훈-영조
어제대훈(御製大訓)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신임사화의 주동자들을 처벌하기 위하여 1741년에 찬술한 어제(御製).훈유문.
Record
문헌
어제(御製), 왕실기록물
id: 어제독서록-영조
어제독서록(御製讀書錄)
1767년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가 어려서부터 74세에 이르기까지 강독해 온 책을 연조에 따라 기록한 어제(御製).왕실기록물.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백행원-영조
어제백행원(御製百行源)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백성들에게 효행을 권장하기 위하여 1765년에 저술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고도서
id: 어제보경당기회:1764
어제보경당기회(御製寶慶堂紀懷)
필사본 1책. 영조가 자신이 태어난 보경당에서의 느낀 감회를 적어 만든 시첩.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청구기호 K4-2414).
Record
문헌
어제(御製), 언해서, 교훈서
id: 어제상훈언해-영조
어제상훈언해(御製常訓諺解)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지은 교훈서인 『어제상훈』을 풀이하여 1745년에 간행한 어제(御製).언해서·교훈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교훈서
id: 어제상훈-영조
어제상훈(御製常訓)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후대 왕들의 치적에 도움이 되도록 1745년에 간행한 어제(御製).교훈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주석서
id: 어제소학지남-영조
어제소학지남(御製小學指南)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소학』을 해석하여 1766년에 간행한 어제(御製).주석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속상훈-영조
어제속상훈(御製續常訓)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세자와 후대 왕에게 내리는 교훈을 담아 1758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유학서
id: 어제속자성편-영조
어제속자성편(御製續自省編)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어제자성편』의 속편으로 1759년에 저술한 어제(御製).유학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편록
id: 어제속집경당편집-영조
어제속집경당편집(御製續集慶堂編輯)
1768년부터 1770년까지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가 친히 지은 모선·이후·술회 등의 글을 모아 엮은 어제(御製).편록.
Record
문헌
어제(御製), 잠언
id: 어제송숙야잠욱면충자겸시평생여의-영조
어제송숙야잠욱면충자겸시평생여의(御製誦夙夜箴勖勉沖子兼示平生予意)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세손인 정조의 근면함을 격려하기 위하여 1776년에 저술한 어제(御製).잠언.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심감-영조
어제심감(御製心鑑)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심학(心學)에 관한 글을 모아 엮은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엄제방유곤록-영조
어제엄제방유곤록(御製嚴堤防裕昆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왕세손에게 당론의 폐해를 알리기 위해 1764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자성록
id: 어제자성록-영조
어제자성록(御製自醒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부모에게 효를 다하지 못한 소회를 자성적인 글로 서술하여 1763년에 간행한 것으로 추정되는 어제(御製).자성록.
Record
문헌
id: 어제자성편
어제자성편
1746년(영조 22) 영조가 독서와 생활을 통해 느끼고 생각한 바를 모아서 엮은 책.
Record
문헌
어제(御製), 왕실기록물
id: 어제자성편-영조
어제자성편(御製自省篇)
1746년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가 독서와 생활을 통해 느끼고 생각한 바를 모아 엮은 어제(御製).왕실기록물.
Record
문헌
어제(御製), 교훈서
id: 어제정훈-영조
어제정훈(御製政訓)
1749년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가 장헌세자에게 치도의 근본을 10조목으로 나누어 훈계한 어제(御製). 교훈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첨간대훈-영조
어제첨간대훈(御製添刊大訓)
조선 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소론의 유봉휘·조태구 등을 역률(逆律)로 처벌하면서 1755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교훈서
id: 어제칙유원량-영조
어제칙유원량(御製飭諭元良)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세자를 훈계하기 위하여 저술한 어제(御製).교훈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팔순서시후곤록-영조
어제팔순서시후곤록(御製八旬書示後昆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80세 때 세손을 훈칙하여 1773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표의록-영조
어제표의록(御製表義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영빈이씨의 의열(義烈)을 기려 1764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풍천록-영조
어제풍천록(御製風泉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명나라 태조·신종·광종·희종·의종 등의 공덕을 찬양하여 1771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교훈서
id: 어제회갑편록-영조
어제회갑편록(御製回甲編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세자에게 군주로서 실천해야 할 덕목을 가르치기 위하여 1754년에 저술한 어제(御製).교훈서.
Record
문헌
어제(御製), 인륜서, 왕실기록물
id: 어제효제편-영조
어제효제편(御製孝悌篇)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효제(孝悌)의 대의(大義)와 실천에 관하여 1763년에 저술한 어제(御製).인륜서·왕실기록물.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훈서언해-영조
어제훈서언해(御製訓書諺解)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후세인들을 위하여 1756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훈서-영조
어제훈서(御製訓書)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심성을 수양하고 권장하는 의미로 1756년에 저술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어제(御製)
id: 어제훈유-영조
어제훈유(御製訓諭)
조선후기 제21대왕 영조가 사도세자의 관례(冠禮)를 행할 때 세자에게 지어준 교훈과 경계의 글을 모아 수록한 어제(御製).
Record
문헌
id: 여사서
여사서 『女四書』
1736년(조선 영조12)에 간행한 『여사서』 중 왕실 여성의 교육을 위해 언해 부분만 일부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Actor
왕실인물
id: 연령군_이훤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1719)
Place
장소
방어시설
id: 연융대
연융대(鍊戎臺)/탕춘대(蕩春臺)
조선후기 도성과 북한산성 사이에 있던 돈대. 1505년(연산군 11) 이곳에 탕춘대를 마련하고 앞 냇가에 수각을 짓고 미희들과 놀았던 데서 유래된 이름. 1751년(영조 27) 영조는 탕춘대에 거둥하여 활쏘기로 무사를 뽑고, 1753년(영조 29)에 탕춘중성(蕩春中城)을 새로 쌓고, 1754년(영조 30)에 연융대라 개칭하고 군대를 훈련하였음.
Event
사건
id: 연융대사연(1760)
연융대사연(1760)
1760년(영조 36) 영조가 준천소 당상(堂上)부터 하급 예속(隸屬)에 이르기 까지 준천의 참여자를 모두 연융대(鍊戎臺)에 모이게 한 후 잔치를 베품.
Actor
왕실인물
왕자군
id: 연잉군
연잉군
영조 즉위전 왕자군 때 받은 봉작명
Actor
인물
왕자
id: 연잉군_이금
연잉군 이금(延礽君 李昑 1694~1776)
Actor
왕실인물
후궁
id: 영빈_이씨
영빈이씨(暎嬪李氏 1696~1764)
【1696~1764】 조선후기 제21대 영조의 후궁.
Object
그림
기록화
id: 영수각송
영수각송《靈壽閣頌》
【1765년】. 견본채색, 40.9×26.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Object
그림
기록화
id: 영수각친림도
영수각친림도《靈壽閣親臨圖》(기사경회첩 중)
【1744년】. 견본채색, 43.5×67.8㎝, 국립중앙박물관
Record
문헌
정치서
id: 영수백세록-영조
영수백세록(永垂百世錄)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노론과 소론의 당쟁을 종식시키기 위하여 편찬한 정치서.
Object id: 영조_어진
영조_어진
Record
의궤
id: 영조묘호도감의궤
영조묘호도감의궤(英祖廟號都監儀軌)
Object
물품
왕실유물
id: 영조어보내함
영조어보내함(英祖御寶內函)
Object
인장
보인
id: 영조은인
영조은인(英祖銀印)
Event
왕실행사
id: 영조을유기로연
영조 을유 기로연(英祖乙酉耆老宴, 1765)
1765년(영조 41, 乙酉) 8월 18일영조가 왕세손을 데리고 기로소를 방문하여 기로소 내의 영수각(靈壽閣)에서 전배례(展拜禮)를 행하고 그 옆에 위치한 기영관(耆英館)에서 기로신들과 술자리를 연 행사
Event
의례/의식
id: 영조-정순왕후의_가례
영조-정순왕후의 가례
Object
물품
죽책함
id: 영조죽책함
영조죽책함(英祖竹冊函)
Event
사건
id: 영화당친림(1760)
영화당친림(1760)
1760년(영조 36) 준천이 완료되어 창덕궁 춘당대(春塘臺)에서 준천소의 당상과 낭청에게 시사(試射, 무장들의 활쏘기 시합)를 행한 후 영화당(暎花堂)에서 사선(賜膳, 신하들에게 음식을 내림)한 것.
Place
능묘
왕릉
id: 온릉-溫陵
온릉-溫陵
Concept
개념용어
id: 왕실의_활쏘기_의식
왕실의 활쏘기 의식
Place
능묘
왕릉
id: 원릉-元陵
원릉-元陵
Actor
인물
id: 윤구연
윤구연
【?~1762】.
Event
행사
id: 을유년수작
을유년 수작 (1765 영조 41)
1765년(영조 41) 10월 조선_영조의 보령 71세를 경축하기 위해 경희궁 경현당에서 베푼 궁중연향.
Event
의례/의식
id: 의소세손의_예장
의소세손의 예장
Record
등록
id: 의주등록-1780
의주등록(儀註謄錄)-1780
Record
등록
id: 의주등록속-1894
의주등록속(儀註謄錄續)-1894
Record
문헌
id: 이륜행실도
이륜행실도
[[조신|조신(曺伸, 1454~1529)]]이 [[중종]]의 명으로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이다.
Record
문헌
id: 자성편
자성편
Actor
왕실인물
후궁
id: 정빈_이씨
정빈 이씨(靖嬪李氏, 1694~1721)
【1694년~1721년】. 조선의 21대 왕인 영조(英祖)의 후궁이자, 추존왕 진종(眞宗)의 어머니. 궁호는 연호(延祜)이고, 시호는 온희(溫僖)이다. 본관은 함양(咸陽)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이후철(李後哲)로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고, 어머니는 김해 김씨(金海金氏)로 사과(司果) 김매일(金梅一)의 딸인데 정경부인(貞敬夫人)으로 추증되었다. 할아버지는 이조 판서(判書)에 추증된 이신선(李信瑄)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조 참판(參判)에 추증된 이언량(李彦良).
Actor
왕실인물
왕비
id: 정성왕후
정성왕후(貞聖王后 1692~1757)
【1692~1757】 조선후기 제21대 영조의 왕비.
Actor
왕실인물
왕비
id: 정순왕후-영조
정순왕후(貞純王后 1745~1805)
Architecture
왕실건축-종묘
종묘_정전_신실
id: 정전_제12실
종묘 정전 제12실
Actor
왕실인물
id: 조선_경종
조선 경종(景宗)
1688(숙종 14)∼1724(경종 4). 조선 제20대 왕.
Actor
왕실인물
id: 조선_숙종
조선 숙종(肅宗)
Actor
왕실인물
id: 조선_영조
영조(英祖 1694~1776)
【1694~1776】 조선후기 제21대(재위:1724~1776) 왕.
Actor
왕실인물
추존왕
id: 조선_장조
장조(莊祖 1735~1762)
【1735~1762】 조선후기 제21대 영조의 둘째 아들인 왕자.
Actor
왕실인물
추존왕
id: 조선_장종
조선 장종(莊宗)
【1735~1762】. 조선의 추존왕. 사도세자. 장헌세자. 조선 제21대 영조의 둘째 아들. 제22대 정조의 생부
Actor
왕실인물
추존왕
id: 조선_진종
조선 진종(眞宗)
【1719~1728】. 조선의 추존왕. 효장세자. 조선 제21대 영조의 첫째 아들. 왕실족보상 제22대 정조의 아버지.
Concept
분류주제
id: 조선왕실_계보
조선왕실 계보
Concept
묘(廟)
id: 종묘_공신당_영조_묘
종묘 공신당 영조 묘
Event
종묘연대기
부묘
id: 종묘연대기-1778-E01
영조(英祖)를 종묘에 부묘하다 (1778)
【1778 정조 2】 영종대왕(英宗大王)과 정성 왕후(貞聖王后)를 종묘 제13실에 부묘하다
Event
종묘연대기
조천
id: 종묘연대기-1782-C
영조(英祖)를 불천위로 정하다 (1782)
【1782 정조 6】 친진에 이르지 않은 영조를 불천위로 정하다
Actor
관서
경관
id: 준천사
준천사(濬川司)/준천소(濬川所)
1760년(영조 36) 개천(開川, 현 청계천) 준천을 위해 준천소를 임시설립함. 이후 준천의 효과를 지속하기 위하여 정식기구인 준천사가 설치하고, 개천의 준천과 소통, 백악(白岳)·인왕(仁旺)·목멱(木覓)·낙산(駱山) 등 4산의 나무를 보호하도록 함. 1789년(정조 13) 주교(舟橋)를 관장하는 주교사가 설치되어 당시에는 준천당상이 주교사를 겸관하였으나, 1793년(정조 17)에 확정된 「주교절목」에서는 주교사의 주관당상이 준천사의 주관당상까지 겸관하게 됨.
Architecture
건축
궁궐건축-창덕궁
id: 창덕궁_보경당
창덕궁 보경당(寶慶堂)
창덕궁 내전 영역의 건물로, 조선 초기에는 정치 공간으로 쓰인 건물.
Architecture
건축
건축-궁궐건축
id: 창덕궁_태화당
창덕궁 태화당(泰和堂)
Object
그림
기록화
id: 청계천_준천도
청계천 준천도《淸溪川濬川圖》
Object
그림
기록화
id: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
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親臨光化門內勤政殿庭試時圖》
【1747년】. 견본채색, 208.8×574.6㎝. 조선 영조 23년 9월 19일에 실시한 정시(庭試)에 왕이 친림하여 신하들에게 시의 제목을 내려 시를 짓도록 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것
Event
의례
종묘
id: 친성생기
친성생기(親省牲器)
Event
의례
id: 친전향축
친전향축(親傳香祝)
Actor
왕실인물
왕녀
id: 화길옹주
화길옹주(和吉翁主)
【1754년(영조 30) ~ 1772년(영조 48)】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 문숙의(文淑儀)는 사도세자(思悼世子)를 모략하여 작위가 발탁되고 폐출되었다. 친언니는 화령옹주(和寧翁主)이다. 부마는 능성 구씨(綾城具氏)능성위(綾城尉)구민화(具敏和)이다.
Actor
왕실인물
왕녀
id: 화령옹주
화령옹주(和寧翁主)
【1753년(영조 29) ~ 1821년(순조 21)】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 문숙의(文淑儀)는 사도세자(思悼世子)를 모략하여 작위가 발탁되고 폐출되었다. 친동생은 화길옹주(和吉翁主)이다. 부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청성위(靑城尉)심능건(沈能建)이다.
Actor
왕실인물
왕녀
id: 화순옹주
화순옹주(和順翁主)
【1720년(숙종 46) ~ 1758년(영조 34)】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이준철(李竣哲)의 딸인 이정빈(李靖嬪)이다. 친오라버니는 효장세자(孝章世子)로 더 잘 알려져 있는 경의군(敬義君)이고, 친언니는 화억옹주(和憶翁主)이다. 부마는 경주 김씨(慶州金氏)월성위(月城尉)김한신(金漢藎)이다.
Actor
왕실인물
왕녀
id: 화완옹주
화완옹주(和緩翁主)
【1737년(영조 14) ~ 1808년(순조 8)】 조선 제21대 왕인 영조(英祖)의 딸. 봉호는 화완옹주(和緩翁主).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주거지는 서울인데, 주로 궁에서 살았다. 한때 강화도 교동부(喬桐府)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어머니는 증 찬성이유번(李楡蕃)의 딸인 선희궁(宣禧宮)영빈 이씨(映嬪李氏)이다. 친오빠가 사도세자(思悼世子)이고, 조카가 제22대 왕인 정조(正祖)이다. 본관이 연일 정씨(延日鄭氏)로, 이조 판서(判書)정우량(鄭羽良)의 아들인 일성위(日城尉)정치달(鄭致達)과 혼인하였다. 1757년(영조 33) 딸과 부마(駙馬)를 연달아 잃은 후, 아버지 영조의 배려로 다시 궁에 들어와서 살았다. 부마의 먼 친척인 정후겸(鄭厚謙)을 양자로 삼았는데, 영조가 세손(世孫)인 정조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맡길 때, 화완 옹주는 정후겸 등과 함께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하는 등 정조가 왕위에 오르는 것을 방해하였다. 그 결과 정후겸은 사사(賜死)되었고, 화완 옹주는 유배에 처해졌으나, 후에 정조의 비호로 죄가 모두 사면되었다.
Actor
왕실인물
왕녀
id: 화유옹주
화유옹주(和柔翁主)
【1741년(영조 17) ~ 1777년(정조 1)】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풍양 조씨(豊壤趙氏)조태징(趙台徵)의 딸인 조귀인(趙貴人)이다. 부마는 창원 황씨(昌原黃氏)창성위(昌城尉)황인점(黃仁點)이다.
Actor
왕실인물
왕녀
id: 화평옹주
화평옹주(和平翁主)
【1727년(영조 3) ~ 1748년(영조 24)】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찬성(贊成)에 증직된 이유번(李楡蕃)의 딸 이영빈(李暎嬪)이다. 남동생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이며, 여동생은 화협옹주(和協翁主)와 화완옹주(和緩翁主), 그리고 일찍 세상을 떠난 3명이 있다. 부마는 반남 박씨(潘南朴氏)금성위(錦城尉)박명원(朴明源)이다. 정조(正祖)의 친고모이기도 하다.
Actor
왕실인물
왕녀
id: 화협옹주
화협옹주(和協翁主)
【1733년(영조 9) ~ 1752년(영조 28)】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찬성(贊成)에 증직된 이유번(李楡蕃)의 딸 이영빈(李暎嬪)이다. 친언니로는 화평옹주(和平翁主)가 있으며, 나머지 3명의 친언니는 일찍 세상을 떠났다. 친남동생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이고, 친여동생은 화완옹주(和緩翁主)이다. 부마는 평산 신씨(平山申氏)영성위(永城尉)신광수(申光洙)이다.
Actor
왕실인물
왕자
id: 효장세자
효장세자(孝章世子, 1719~1728)
조선후기 제21대 영조의 첫째 아들. 정조 즉위 후 진종으로 추대되었다.
Event
의례/의식
id: 효장세자의_책례
효장세자의 책례
Event
의례/의식
id: 효장세자-현빈의_가례
효장세자-현빈의 가례
Record
문헌
어제, 효제서술서
id: 효제편-영조
효제편(孝悌篇)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효제(孝悌)의 대의와 실천에 관하여 1763년에 저술한 어제.효제서술서.
Actor
왕실인물
왕자
id: 희수-아명
희수-아명(禧壽-兒名)
영조의 아명. 봉작 전 이름을 짓기 전까지 사용한 것으로 보임. 당대선원록에 기록됨
Index
참고문헌색인
id: bib-조선_영조
참고문헌
Story
Episode
id: E0-R2-13D
사도세자의 죽음
Story
Episode
id: E0-R2-13E
혜경궁 홍씨의 대처
Story
Episode
id: E0-R2-28A
혜경궁과 홍봉한
Story
Episode
id: E0-R2-28B
정조 효장세자에 입후(立後)되다
Story
Episode
id: E0-R2-28C
창경궁 자경전 (이야기)
Story
Episode
id: E2022-R0-01A
백성을 생각하여 준천을 결정한 영조
Story
Episode
id: E2022-R0-01B
백성들 덕분에 57일만에 끝난 준천
Story
Episode
id: E2022-R0-01C
준천 참여자의 마음을 헤아린 영조
Story
Episode
id: E2022-R1-37B
최숙원방호산청일기: 24살 숙원 최씨 첫 출산에서 아들을 순산하다
Story
Episode
id: E2022-R1-37C
최숙의방호산청일기: 두 번째 출산으로 낳은 아들, 최장수왕 영조
Story
Episode
id: E2022-R5-18A
집무복 입고 활쏘기 연습
Story
Episode
id: E2022-R5-18B
대사례 출궁의와 작헌례 복식
Story
Episode
id: E2022-R5-18C
대사례와 문·무과 시험에서 왕과 백관의 복식
Story
Episode
id: E2022-R5-18D
과거시험 합격자 복식과 환궁할 때 복식
Index
웹자원색인
id: ref-조선_영조
WWW 참조 자원
조선_영조

§ Link List: 240 triples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갑자년진연조선_영조isHeldFor
경인갱운첩-영조조선_영조contributor
계술수연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계주문조선_영조creator
과폐이정윤음-영조조선_영조creator
국조상례보편정성왕후isRelatedTo
국조상례보편조선_영조contributor
국조속오례의조선_영조publisher
귀인_조씨-영조화유옹주hasDaughter母女
금주령-1758조선_영조isRelatedTo
대소과이정절목-영조조선_영조creator
동관왕묘조선_숙종isRelatedTo
동관왕묘_서무_비동관왕묘isLocatedIn
동관왕묘_서무_비조선_숙종writer
동관왕묘_서무_비조선_영조writer
동관왕묘_정전_편액_10조선_영조creator
동관왕묘_정전_편액_15조선_영조creator
동관왕묘_정전_편액_4조선_영조creator
동관왕묘_정전_편액_9조선_영조creator
동국문헌비고조선_영조publisher
몽금척족자조선_영조isRelatedTo
무목왕정충록조선_영조creator
사도세자조선_장종sameAs
상존호조선_영조isRelatedTo
소훈이씨제문조선_영조creator
속대전동관왕묘isRelatedTo
속대전조선_영조publisher
속자성편조선_영조creator
수경원영빈이씨묘표영빈_이씨isTombstoneOf
수경원영빈이씨묘표조선_영조calligrapher
수경원영빈이씨묘표조선_영조writer
수성윤음-영조조선_영조editor
숙빈_최씨조선_영조hasSon
숙빈_최씨희수-아명hasSon
숙의_문씨-영조화길옹주hasDaughter母女
숙의_문씨-영조화령옹주hasDaughter母女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상호도감의궤조선_숙종isRelatedTo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상호도감의궤조선_영조isRelatedTo
어제강녕전고실록여침만억조선_영조creator
어제경민음-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경복궁조선_영조creator
어제경세문답속록언해-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경세문답속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경세문답언해-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경세문답-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경세편-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고금연대귀감-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권세위효제문-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근정훈유-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내훈조선_영조publisher
어제대훈-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독서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백행원-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보경당기회:1764조선_영조creator
어제보경당기회:1764창덕궁_보경당isRelatedTo
어제상훈언해-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상훈-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소학지남-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속상훈-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속자성편-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속집경당편집-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송숙야잠욱면충자겸시평생여의-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심감-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엄제방유곤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자성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자성편조선_영조creator
어제자성편-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정훈-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첨간대훈-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칙유원량-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팔순서시후곤록-영조조선_영조editor
어제표의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풍천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회갑편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효제편-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훈서언해-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훈서-영조조선_영조creator
어제훈유-영조조선_영조creator
여사서조선_영조publisher
연융대조선_영조isRelatedTo
연융대사연(1760)연융대isHeldAt
연잉군조선_영조sameAs
연잉군_이금조선_영조sameAs
영빈_이씨사도세자hasSon
영빈_이씨사도세자-혜빈의_가례participatesIn
영빈_이씨조선_장조hasSon母子
영빈_이씨조선_장종hasSon母子
영빈_이씨화완옹주hasDaughter母女
영빈_이씨화평옹주hasDaughter母女
영빈_이씨화협옹주hasDaughter母女
영수각송조선_영조contributor
영수백세록-영조조선_영조creator
영조_어진조선_영조depicts
영조묘호도감의궤정성왕후isRelatedTo
영조묘호도감의궤조선_영조isRelatedTo
영조어보내함조선_영조isRelatedTo
영조은인조선_영조contributor
영조죽책함조선_영조commemorates
온릉-溫陵조선_영조isTombOf
원릉-元陵정순왕후-영조isTombOf
원릉-元陵조선_영조isTombOf
윤구연금주령-1758isRelatedTo
윤구연조선_영조isRelatedTo
을유년수작조선_영조isHeldFor
의주등록-1780조선_영조isRelatedTo
의주등록속-1894정성왕후isRelatedTo
의주등록속-1894정순왕후-영조isRelatedTo
의주등록속-1894조선_영조isRelatedTo
이륜행실도조선_영조publisher
자성편조선_영조creator
정빈_이씨조선_진종hasSon
정빈_이씨화순옹주hasDaughter母女
정빈_이씨효장세자hasSon
정빈_이씨효장세자-현빈의_가례participatesIn
정성왕후정전_제12실isEnshrinedIn영조 비 정성왕후서씨
정순왕후-영조정전_제12실isEnshrinedIn영조 비 정순왕후김씨
조선_경종경종의_국장participatesIn
조선_경종조선_영조hasBrother
조선_숙종숙빈_최씨hasWife
조선_숙종연령군_이훤hasSon부-자
조선_숙종연잉군hasSon
조선_숙종조선_경종hasSon父子
조선_숙종조선_영조hasSon父子
조선_영조1728_영조-무신친정participatesIn
조선_영조1734_영조-갑인춘친정participatesIn
조선_영조갑자년진연participatesIn
조선_영조개천_준천(1760)leads
조선_영조개천_준천(1773)leads
조선_영조경종의_국장participatesIn
조선_영조경현당수작연participatesIn
조선_영조귀인_조씨-영조hasWifeorder=5
조선_영조대사례participatesIn
조선_영조동관왕묘isRelatedTo
조선_영조모화관친림(1760)participatesIn
조선_영조사도세자hasSon
조선_영조사도세자-혜빈의_가례participatesIn
조선_영조선의왕후의_국장participatesIn
조선_영조수문상친림(1760)participatesIn
조선_영조숙의_문씨-영조hasWifeorder=6
조선_영조연령군_이훤hasBrother형제
조선_영조연융대사연(1760)isRelatedTo
조선_영조영빈_이씨hasWifeorder=4
조선_영조영수각친림도isRelatedTo
조선_영조영조을유기로연participatesIn
조선_영조영조-정순왕후의_가례participatesIn
조선_영조영화당친림(1760)participatesIn
조선_영조왕실의_활쏘기_의식participatesIn
조선_영조을유년수작participatesIn
조선_영조의소세손의_예장participatesIn
조선_영조정빈_이씨hasWife
조선_영조정성왕후hasWife
조선_영조정순왕후-영조hasWife
조선_영조정전_제12실isEnshrinedIn영조대왕
조선_영조조선_장조hasSon父子
조선_영조조선_장종hasSon父子
조선_영조조선_진종hasSon父子
조선_영조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isRelatedTo
조선_영조화길옹주hasDaughter父女
조선_영조화령옹주hasDaughter父女
조선_영조화순옹주hasDaughter父女
조선_영조화완옹주hasDaughter父女
조선_영조화유옹주hasDaughter父女
조선_영조화평옹주hasDaughter父女
조선_영조화협옹주hasDaughter父女
조선_영조효장세자hasSon
조선_영조효장세자의_책례participatesIn
조선_영조효장세자-현빈의_가례participatesIn
조선_영조bib-조선_영조bibliography
조선_영조ref-조선_영조onlineReference
조선_장조사도세자sameAs
조선_진종효장세자sameAs
조선왕실_계보조선_경종includes
조선왕실_계보조선_숙종includes
조선왕실_계보조선_영조includes
조선왕실_계보조선_장조includes
조선왕실_계보조선_진종includes
종묘_공신당_영조_묘조선_영조isRelatedTo
종묘연대기-1778-E01정성왕후isRelatedTo
종묘연대기-1778-E01조선_영조isRelatedTo
종묘연대기-1782-C조선_영조isRelatedTo
준천사개천_준천(1760)administrates
준천사개천_준천(1773)administrates
준천사조선_영조founder
창덕궁_보경당조선_영조isBirthPlaceOf
창덕궁_태화당조선_영조isBirthPlaceOf
창덕궁_태화당창덕궁_보경당isNear
청계천_준천도조선_영조isRelatedTo
친성생기국조속오례의isMentionedIn
친성생기조선_영조administrates
친전향축국조속오례의isMentionedIn
친전향축조선_영조administrates
효장세자효장세자의_책례participatesIn
효제편-영조조선_영조creator
희수-아명조선_영조sameAs
E0-R2-13D영빈_이씨isRelatedTo
E0-R2-13D조선_영조isRelatedTo
E0-R2-13DE0-R2-13EisPreviousInSequenceTo
E0-R2-13E사도세자isRelatedTo
E0-R2-13E조선_영조isRelatedTo
E0-R2-28A사도세자isRelatedTo
E0-R2-28A조선_영조isRelatedTo
E0-R2-28AE0-R2-28BisPreviousInSequenceTo
E0-R2-28B사도세자isRelatedTo
E0-R2-28B조선_영조isRelatedTo
E0-R2-28B효장세자isRelatedTo
E0-R2-28BE0-R2-28CisPreviousInSequenceTo
E0-R2-28C사도세자isRelatedTo
E0-R2-28C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0-01A개천_준천(1760)isRelatedTo
E2022-R0-01A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0-01A준천사isRelatedTo
E2022-R0-01AE2022-R0-01BisPreviousInSequenceTo
E2022-R0-01B개천_준천(1760)isRelatedTo
E2022-R0-01B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0-01B준천사isRelatedTo
E2022-R0-01BE2022-R0-01CisPreviousInSequenceTo
E2022-R0-01C개천_준천(1760)isRelatedTo
E2022-R0-01C모화관친림(1760)isRelatedTo
E2022-R0-01C수문상친림(1760)isRelatedTo
E2022-R0-01C연융대isRelatedTo
E2022-R0-01C연융대사연(1760)isRelatedTo
E2022-R0-01C영화당친림(1760)isRelatedTo
E2022-R0-01C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1-37B숙빈_최씨isRelatedTo
E2022-R1-37B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1-37BE2022-R1-37CisPreviousInSequenceTo
E2022-R1-37C숙빈_최씨isRelatedTo
E2022-R1-37C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1-37C창덕궁_태화당isRelatedTo
E2022-R5-18A대사례isRelatedTo
E2022-R5-18A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5-18AE2022-R5-18BisPreviousInSequenceTo
E2022-R5-18B대사례isRelatedTo
E2022-R5-18B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5-18BE2022-R5-18CisPreviousInSequenceTo
E2022-R5-18C대사례isRelatedTo
E2022-R5-18C조선_영조isRelatedTo
E2022-R5-18CE2022-R5-18DisPreviousInSequenceTo
E2022-R5-18D대사례isRelatedTo
E2022-R5-18D조선_영조isRelatedTo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