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한식의 당죽
한식의 당죽
9) 당죽(餳粥)
형초세시기 [1] 한식에는 3일간 불을 금하므로 당대맥죽(餳大麥粥, 엿보리죽)을 쑨다.
【주 육홰(陸翽)[2]의 《업중기(鄴中記)[3]》 에서는 “한식에는 3일간 예락(醴酪, 엿죽)을 먹는데, 또한 멥쌀과 보리를 끓여 진한 죽을 만들고 살구속씨를 찧어 죽을 쑨다.”[4]라 했다.
《옥촉보전(玉燭寶典)》[5]에서는 “요즘 사람들은 보리죽을 쑬 때 살구속씨를 갈아 넣어 진한 죽을 만든 뒤, 엿을 가져다 넣는다.”’[6]라 했다.
손초(孫楚)[7]의 〈제자추문(祭子推文, 개자추를 제사지내는 제문)〉에서는 “기장밥 한 소반과 예락(醴酪) 두 사발이네.”[8]라 했다. 이것들이 한식 때의 일이다】
각주
- ↑ 《荊楚歲時記》 (《文淵閣四庫全書》 589, 19~20쪽).
- ↑ 육홰(陸翽) : ?~?. 진(晉)나라 국자조교(國子助教)라는 정보 외에는 미상.
- ↑ 업중기(鄴中記) : 중국 진(晉)나라 국자조교(國子助教) 육홰(陸翽)가 업성(鄴城, 하남성 안양시 북쪽 교외) 의 사적에 대해 기록한 역사서.
- ↑ 한식에는……쑨다 : 《鄴中記》 (《文淵閣四庫全書》 463, 314쪽).
- ↑ 옥촉보전(玉燭寶典) : 중국 북제(北齊)의 두 대경(杜臺卿, ?~?)이 《예기(禮記)》 〈월령(月令)〉의 체제를 따라 시속(時俗)에 대한 자료를 모아 1달에 1권씩 총 12권으로 쓴 책.
- ↑ 요즘……넣는다 : 출전 확인 안 됨 ; 《鄴中記》 (《文淵閣四庫全書》 463, 314쪽).
- ↑ 손초(孫楚) : ?~293. 중국 서진(西晉)의 관리·문인. 자는 자형(子荆). 조위(曹魏)의 표기장군(驃騎將軍) 손자지(孫資之, ?〜?)의 손자, 남양태수(南陽太守) 손굉지(孫宏之, ?〜?)의 아들. 진(晉) 혜제(惠帝) 초기에 풍익태수(馮翊太守)를 지냈으며 저서로 문집 6권이 있다.
- ↑ 기장밥……사발이네 : 《西晉文紀》 卷11 〈西晉〉 “祠介子推祝文”(《文淵閣四庫全書》 1398, 22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