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색을 내는 도구:채색:석록

pungseok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3일 (목) 16:5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석록(石綠)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
석록은 구리 광산에서 나온다. 구리가 자양(紫陽)의 기운을 받으면 녹이 생기고, 녹이 오래되면 돌이 되기 때문에 이를 ‘석록(石綠)’이라 하는데, 공청(空靑)100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증청(曾靑)101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과 근원이 같다. ‘대록(大綠)’이라 부르기도 한다.
【 안 소송(蘇頌)102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은 《도경본초(圖經本草)》에서 “석록은 소주(韶州)와 신주(信州)103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에서 난다. 화공이 녹색을 내기 위해 쓰는 것은 덩어리가 아주 크며, 그중 푸른색과 흰색이 섞인 문양이 있는 것이 사랑스럽다. 신주 사람들은 석록을 쪼개 허리띠나 기물 및 부인의 의복을 치장하는 장신구를 만든다.” 104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라 했다. 범성대의 《계해우형지》에서는 “생석(生石, 가공하지 않은 돌) 가운데 성질이 돌처럼 단단한 것을 ‘석록(石綠)’이라 한다. 다른 종류로 부서진 흙처럼 약하고 무른 것은 ‘니록(泥綠)’이라 하는데, 품질이 가장 안 좋다.” 105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라 했다.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이 연경의 시장에서 수입하는 것은 모두 부서진 흙처럼 모래가루가 되니, 돌덩어리를 쪼개 기물을 만든 것은 본 적이 없다. 소송의 설과 같다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것은 모두 니록이지 석록이 아님을 비로소 알겠다.】 【 우안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요사(硇砂) 1근을 태워 요사록(硇砂綠) 15.5냥을 만든다.” 106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는 말이 있으니, 석록과 니록 외에 또 요사록도 있는 것이다.】《본초강목》107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 [1]


99 석록:녹색 보석의 하나인 공작석(孔雀石)으로, 아교에 공작석 가루를 섞어 색을 만들어 쓴다. 공작석(태백석탄박물관) 100 공청(空靑):아연과 알루미늄을 함유한 산화광물로, 짙은 녹색이나 회색을 띤다. 양매청(楊梅靑)이라고도 한다. 101 증청(曾靑):석고와 같은 결정 형태인 남동석(藍銅石)이 층으로 된 것으로, 결정은 유리광택이 나고 남청색을 띠며 반투명 혹은 불투명이다. 102 소송(蘇頌):1020~1101. 북송(北宋) 때 관리이자 천문학자이자 약물학자로, 저서로 《도경본초(圖經本草)》, 《신의상법요(新儀象法要)》 등이 있다. 103 신주(信州):중국 강서성(江西省) 상요(上饒)에 있는 도시. 104 《本草圖經》 卷1 <玉石上品> “綠靑”, 7쪽. 105 《桂海虞衡志》 <志金石>. 106 《大明會典》 卷195 <顏料>, 341쪽. 107 《本草綱目》 卷10 <金石部> “綠靑”, 597쪽.

각주

  1.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5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