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전수장(논물지팡이)
내용
2) 전수장(田水杖, 논물지팡이)[1]
대나무든 나무든 관계없이 차라리 소박할지언정 화려해서는 안 되고, 짧을지언정 길어서는 안 된다. 아래쪽 끝에 사방 0.1척인 작은 쇠삽을 끼워 넣어 농사철마다 농사를 살피는데, 죽립(竹笠)에 나막신 차림으로 지팡이를 가지고서 논두렁 사이를 슬슬 돌아다니다가 수방(水篣)[2]에 진흙이 막힌 곳을 만나면 삽으로 터 준다. 도잠(陶潛)[3]이 지팡이에 의지해 논물 소리[田水]를 들으면서 “이 물이 내 스승이나 어른 계신 곳도 지나가리라.” [4]고 탄식했으므로 ‘전수장(田水杖)’이라 한다.《금화경독기》
[5]
각주
- ↑ 전수장(田水杖, 논물지팡이):논에 물꼬를 트거나 막을 때 쓰는 농기구로, 긴 자루 끝에 작은 삽이나 괭잇날을 달아 지팡이처럼 짚고 다닌다.
- ↑ 수방(水篣):대바구니처럼 만들어 논두렁에 설치한 배수 기구로, 오물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리지》 권12 <그림으로 보는 관개시설> ‘수방’을 참조 바람.
- ↑ 도잠(陶潛):365~427. 중국 동진(東晉)의 시인. 자는 연명(淵明)이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고,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등이 있다.
- ↑ 이 물이……지나가리라:《연명별전(淵明別傳)》에 “도연명이 일찍이 논물 소리를 들었다. 지팡이에 기대어 한참을 듣더니, ‘벼 이미 자라 푸른빛이 사람을 물들이는구나. 때로 가슴을 터놓듯이 막힌 곳을 한번 치우노니, 이 물이 내 스승이나 어른 계신 곳도 지나가리라.(禾稻已秀, 翠色染人. 時剖胸襟, 一洗荊棘, 此水過吾師丈人矣.)’고 했다.”는 글이 있다. 《雲山雜記》 卷2 ‘田水聲過吾師丈人’.
- ↑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54~25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