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방과 캉은 제도가 다르다

pungseok
최시남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30일 (금) 10:3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 방과 캉(炕)[1]은 제도가 다르다
우리나라의 방 제도는 다음과 같다. 가령 동쪽이 높은 남향집의 경우 동쪽 1칸[2]은 위가 다락, 아래는 부뚜막이고, 가운데 1칸이나 2칸이 방이며, 서쪽 1칸이나 2칸이 대청이다. 방은 남북으로 창을 내어 햇빛을 받아들이고 바람을 통하게 하며, 대청을 둘러 분합문(分閤門)[3]을 만든다. 대청과 방의 경계는 ‘장지[粧子]’[4]로 구획을 지어 추위를 만나면 닫고 더위가 오면 여니,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서늘하여 생활하기에 편하다.
중국의 캉 제도는 다음과 같다. 남쪽으로는 모두 창이고, 한가운데 1칸은 출입문이다. 동·서·북 삼면에는 돌출된 처마가 없게 하여 벽돌로 외벽을 쌓으면서 바로 서까래 머리까지 묻히도록 지붕 높이까지 이르게 하며, 동서 두 벽에는 각각 둥근 창을 뚫는다. 남쪽 창에서 북쪽 벽 아래까지 서로 마주하게 벽돌을 쌓아 ‘침대 구들[臥炕]’을 만들되, 그 너비는 10척 남짓 되게 하고, 바닥에는 모두 벽돌을 깐다.
대개 벽돌을 많이 쓰고 흙이나 나무는 적게 쓰며, 동・서・북 삼면의 기둥과 들보가 모두 벽 안에 묻히도록 하기 때문에 비바람을 맞지도 않고 불이 이웃으로 번질 걱정도 없다. 일단 한가운데의 문만 하나 닫으면 저절로 성벽(城壁) 또는 성루(城壘)나 성보(城堡)가 되어 도적이 벽을 뚫거나 담을 타넘는 사태를 끊을 수 있으니, 역시 좋은 제도이다. 중국 대강(양자강) 이남의 방 구조 가 우리나라와 비교해서 어떤지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대체로 남쪽 사람들이 방에서 살고 북쪽 사람들이 캉에서 사는 것도 각각 그곳의 풍속을 따른 결과이다.《금화경독기》[5]

각주

  1. 캉(炕):만주 지역에서 구들을 가리키는 용어. ‘구들[龜突]’이란 방 밑에 화기(火氣)가 통하게 하여 난방하는 구조체로, 온돌의 구조부를 가리킨다. 만주 지역의 캉은 방 전체를 난방하지 않고 침상에만 가설하는 것이 특징이다.
  2. 칸:원문의 ‘楹’은 본래 ‘기둥’이라는 뜻이나, 기둥과 기둥 사이인 ‘칸’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
  3. 분합문(分閤門):한옥의 방이나 대청 앞쪽 전체에 길게 드리는 여러 짝의 문. 뒤의 ‘7. 창’에서 자세하게 소개한다.
  4. 장지[粧子]:살대에 종이를 발라서 채광이 되게 한 창이나 문. 보통 방과 마루 사이의 문을 가리키며, 미닫이와 비슷하나 높이가 높고 문지방을 낮게 설치한다. 뒤의 ‘7. 창’에서 자세하게 소개한다
  5.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15~1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