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비구갑

pungseok
김광명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26일 (월) 15:3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9) 비구갑(備具匣, 여행 상비품 상자)
비구갑은 가벼운 나무로 만들고, 겉은 가죽을 덧대어 감싼 뒤, 배갑(拜匣)[1]처럼 두껍게 옻칠한다. 높이는 0.7척, 너비는 0.8척, 길이는 1.4척이다. 그안에 위아래로 2개의 서랍을 만들되 위는 얕고 아래는 깊게 만들어 작은 빗상자 1개, 찻잔 4개, 투분(骰盆)[2] 1개, 향합(香盒, 향 담는 합) 1개, 향로 1개, 다합(茶盒) 1개, 시저병(匙筯甁, 수저통) 1개를 넣어둔다.
위의 서랍 속에는 작은 벼루 1개, 먹 1개, 붓 2자루, 작은 수주자(水注子)[3] 1개, 수세미 1개, 도서용 작은 상자 1개, 골패(骨牌)[4]담는 상자 1개, 투자매마(骰子枚馬)[5] 담는 합 1개, 향탄병(香炭餠)[6]담는 합 1 개, 길에서 쓰기 편리한 문구갑(文具匣)[7]1개를 둔다.
그 문구갑 안에는 재도(裁刀, 마름질용 칼)·송곳·귀 이개·이쑤시개·소식육차(消息肉叉)[8]·손톱깎이·면 도칼 등의 물건을 보관한다. 또 주패(酒牌)[9]통 1개, 시운패(詩韻牌, 시의 운자가 적힌 패)통 1개, 시통(詩筒) 1 개를 보관하되, 시통 안에는 홍엽전(紅葉箋)[10] 과 각색의 전(箋)을 보관했다가 시를 적는다.
아래 칸에는 머리 빗는 데 쓰는 도구 상자를 보관해서 산에서 유숙할 때 편리하게 쓴다. 밖은 자물 쇠로 여닫게 한다. 이를 지니고 산을 유람하면 역시 매우 편리할 듯하다. 《준생팔전》[11][12]

각주

  1. 배갑(拜匣):인사 온 손님을 배웅할 때 답례 예물을 넣는 장방형의 납작한 상자. 나무나 가죽으로 만든다.
  2. 투분(骰盆):투자 또는 주사위를 담아 굴리는 통. 아래 투자매마 주석 참고.
  3. 수주자(水注子):물이나 차를 담아 따르는 주전자 모양의 그릇. 수주라고도 한다.
  4. 골패(骨牌):노름 또는 유희(遊戲)를 위한 도구. 작고 납작한 네모 조각 32개에 각각 흰 뼈 등으로 장식을한 뒤, 각 숫자만큼의 구멍을 새긴다.
  5. 투자매마(骰子枚馬):노름에 사용하는 도구. 주로 나무를 깎아 만드는데, 주사위 형태 또는 길고 납작한 형태 등으로 만들어 각 면에 숫자나 글자를 새겨 넣는다. 투자 또는 주마(籌碼)라고도 한다.
  6. 향탄병(香炭餠):향과 숯을 반죽해서 떡 모양으로 만든 향.
  7. 문구갑(文具匣):문방 도구를 보관하는 상자.
  8. 소식육차(消息肉叉):고기 조각을 찍어서 불에 굽거나 요리할 때 사용하는 포크 모양의 도구.
  9. 주패(酒牌):옛사람들이 술을 마실 때 흥을 돋우기 위해 쓰던 도구. 종이로 만든 패에 술의 명칭과 함께 신선이나 유명인 등 여러 인물 그림이 그려져 있어 술을 마실 때 감상하며 그 의미를 음미하였다고 한다. 당 (唐)나라에서 기원한 이후로 명청(明淸)대에 성행했다. 엽자(葉子)라고도 한다.
  10. 홍엽전(紅葉箋):단풍 무늬 등이 은은하게 새겨진 시전.
  11. 《遵生八牋》 卷8 〈起居安樂牋〉下 “溪山逸游條” ‘游具’(《遵生八牋校注》, 261쪽).
  12.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4,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09~4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