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세시 풍속의 총 목록:월별행사

pungseok
최시남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26일 (월) 10:0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월별 행사

좋은 절기의 좋은 날을 세상 사람들이 즐긴 지 오래되었다. 때로는 하나의 고사(古事)로 인해 남아 있기도 하고, 때로는 한 사람의 사적(事迹)에 의지해 중요해지기도 한다. 나머지 절기의 평범한 날이라도 오히려 유행한 풍속으로 되살릴 만한 행사가 많다. 그러므로 한 편에 모두 모아 동호인에게 전한다.

전정홍래필 빈풍칠월도(傳鄭泓來筆豳風七月圖, 국립중앙박물관)

1월
천랍(天臘)[1] 【세조(歲朝)[2]
유복(油卜)[3] 【인일(人日)[4]
금오이야(金吾弛夜)[5] 【15일(대보름)】
모마일(耗磨日)[6] 【16일】
매양야등(買兩夜燈)[7] 【17일·18일】
보천천(補天穿)[8] 【19일】
송궁(送窮)[9] 【29일】


2월
헌생자(獻生子)[10] 【1일】
답청(踏靑)[11] 【2일】
방춘절(芳春節)[12] 【8일】
말의 조상신에게 제사 지내는 날 【강일(剛日)[13]
치롱주(治聾酒)[14] 【사일(社日)[15]
박접회(撲蝶會)[16] 【15일】


3월
불계(祓禊)[17] 【상사(上巳)[18]
유상(流觴)[19] 【3일】
모석유(摸石遊)[20]·금연(禁煙, 불 피우지 않는 날) 【한식(寒食)[21]
사신화(賜新火)[22] 【청명(淸明)[23]
송춘(送春)[24] 【하순】


4월
음주(飮酎)[25] 【상순】
용화회(龍華會)[26] 【8일】
창포탄(菖蒲誕)[27] 【14일】
앵순주(櫻笋廚)[28] 【15일】
결하(結夏)[29]·완화담(浣花潭)[30] 【19일】


5월
지랍(地臘)[31] 【5일】
호로곡(皓露曲)[32]·죽취(竹醉)[33] 【13일】
천지합(天地合)[34] 【16일】
불제(祓祭)[35] 【하지(夏至)[36]
분룡(分龍)[37] 【그믐】


6월
피복(避伏)[38] 【3일】
천황절(天貺節)[39] 【6일】
천맥과(薦麥瓜)[40] 【초복(初伏)[41]
벽통권(碧筒勸)[42] 【중복(中伏)[43]
죽소음(竹篠飮)[44]·연탄(蓮誕)[45] 【24일】


7월
추류(貙劉)[46] 【입추(立秋)[47]
폭복서(曝腹書)[48] 【7일】
작교(鵲橋)[49] 【칠석(七夕)[50]
투교연(鬪巧宴)[51] 【8일】
우란분(盂蘭盆)[52] 【15일】
귀등절(鬼燈節)[53] 【18일】


8월
오명낭(五明囊)[54] 【초하루】
위기국(圍棋局)[55] 【4일】
광릉도(廣陵濤)[56] 【8일】
천구(天灸)[57] 【10일】
제일(梯日)[58] 【15일】
모란탄[牡丹誕][59] 【15일】


9월
황극일(皇極日)[60] 【5일】
식일(息日)[61] 【7일】
제고(題糕)[62] 【9일】
소중양(小重陽)[63] 【10일】
국화절(菊花節)[64]
어구홍엽(御溝紅葉)[65]


10월
진세수(秦歲首)[66] 【초하루】
저곡(儲穀)[67]·난로회(煖爐會)[68]·소춘(小春)[69]·하원(下元)[70]【15일】
제사한(祭司寒)[71]【해일(亥日)】


11월
현토탄(懸土炭)[72] 【동지 전 3일】
영장(迎長)[73] 【동지전 1일】
첨궁선(添宮線)[74] 【동지】
기위(妓圍)[75]
흑금사(黑金社)[76]
천축지절(天竺至節)[77] 【16일】


12월
세요고(細腰鼓)[78] 【8일】
성회절(星廻節)[79] 【16일】
사조(祠竈)[80] 【24일】
송한(送寒)[81] 【하순(下旬)】
구나(驅儺)[82] 【세제(歲除)[83]
매치애(賣癡獃)[84] 【제석(除夕)】
《청한공(淸閑供)》[85]

빈풍칠월도첩(豳風七月圖帖, 국립중앙박물관)

각주

  1. 천랍(天臘):음력 1월 초하루, 즉 설날이다. 도가(道家)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2. 세조(歲朝):1월 초하루. 세단(歲旦)이라고도 한다.
  3. 유복(油卜):1월 7일에 기름을 뿌려 1년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 《어정월령집요(御定月令輯要)》 권5 〈정월령(正月令)〉 “유복(油卜)”에서 이날에는 “기름을 수면에 뿌린 다음 그 무늬를 관찰하여 1년의 풍흉을 점쳤다.(以油灑水面觀其紋, 驗一歲之豐歉.)”라 했다.
  4. 인일(人日):1월 7일의 아칭(雅稱).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 〈전집(前集)〉 권6 “천시부(天時部)” ‘인일다음(人日多陰)”에 의하면, 동방삭(東方朔)의 점서(占書)에서 1월 1일부터 6일까지 각각 그날의 날씨를 관찰하여 닭·개·양·돼지·소·말 등의 육축(六畜)에 대해서 점을 치고, 7일은 사람에 대해 점치고, 8일은 곡식의 풍흉을 점쳤다고 한다.
  5. 금오이야(金吾弛夜):도성(都城)의 치안을 담당하는 금오위(金吾衛)의 금령을 푸는 풍속. 한(漢)나라 때부터 1월 대보름에 시행해 온 풍속이다.
  6. 모마일(耗磨日):1월 16일에 술을 마시는 풍속. 《어정월령집요(御定月令輯要)》 권5 〈정월령(正月令)〉 “모마일(耗磨日)”에서는 “1월 16일은 옛날에는 창고를 열지 않고, 지금의 사일(社日)처럼 술을 마셨다.(正月十六日, 古不開倉庫, 飮酒如今之社日.)”고 한다.
  7. 매양야등(買兩夜燈):1월 17일과 18일 이틀 밤을 밝히는 등을 사서 걸어두는 풍속.
  8. 보천천(補天穿):하늘의 구멍을 메우는 날이라는 의미이며, 1월 19일이나 20일에 전병(煎餠)을 지붕 위에 던지는 풍속이다. 《세시광기(歲時廣記)》 권1 〈춘(春)〉 “계전병(繫煎餅)”에는 “강동의 풍속에서는 1월 20일을 천천일(天穿日)이라 하여 붉은 실로 전병을 묶어 지붕 위에 던지는데, 이를 ‘보천천’이라 했다.(江東俗號, 正月二十日爲天穿日, 以紅縷繫煎餅餌置屋上, 謂之‘補天穿’.)”는 기록이 있다.
  9. 송궁(送窮):귀신을 쫓는 풍속. 1월 29일에는 집안의 먼지나 오물을 쓸고 씻어내어 물에 던지면서 ‘송궁(送窮, 궁한 귀신을 보낸다)’이라 외쳤다고 한다. 당(唐)나라의 한유(韓愈, 768~824)는 〈송궁문(送窮文)〉에서 지궁(智窮, 지혜가 궁한 귀신)·학궁(學窮, 학문이 궁한 귀신)·문궁(文窮, 문장이 궁한 귀신)·명궁(命窮, 수명이 궁한 귀신)·교궁(交窮, 사귐이 궁한 귀신), 모두 다섯 궁귀(窮鬼)를 경계하라고 했다.
  10. 헌생자(獻生子):당나라 이래로 있어 온 민간의 풍속. 음력 2월 1일을 중화절(中和節)이라 하여 푸른 주머니에 오곡과 오이 및 과일의 종자를 담아 서로 서로에게 건네준다.
  11. 답청(踏靑):당송 이래로 청명절을 전후하여 새싹이 돋는 교외에 산책하며 유람하는 풍속.
  12. 방춘절(芳春節):도교의 명절. 이날 옥신대도군(玉晨大道君)이 옥소림방(玉霄琳房)에 올라 사방으로 천하를 둘러보는 날이라고 한다.
  13. 강일(剛日):갑일(甲日)·병일(丙日)·무일(戊日)·경일(庚日)·임일(壬日). 양강(陽剛)에 해당하는 홀수일이므로 강일(剛日)이라고 한다. 강일에 말의 시조에게 제사를 올렸다.
  14. 치롱주(治聾酒):귀밝이술. 사일(社日)에 술을 마시면 귀가 어두운 증상을 고칠 수 있다는 고사가 전한다.
  15. 사일(社日):입춘(立春) 후 5번째 무일(戊日). 춘사(春社)라고도 한다.
  16. 박접회(撲蝶會):음력 2월 15일 아침을 ‘화조(花朝)’라 하는데, 이날 남자와 여자들이 모여 꽃 앞에서 나비를 잡는 놀이를 한다.
  17. 불계(祓禊):3월 3일에 물가에 가서 목욕하여 불상(不祥)한 것을 제거하는 풍속.
  18. 상사(上巳):음력 3월의 1번째 사일(巳日)이었으나 나중에는 3월 3일 곧 삼짇날을 가리키게 되었다.
  19. 유상(流觴):유상곡수(流觴曲水)의 준말로, 굽이진 시냇물에 술잔을 돌려서 마시는 놀이이다. 앞의 〈문주연회(文酒讌會, 시문과 술을 즐기는 잔치)〉 “유상곡수(流觴曲水)” 항목에 상세한 내용이 있다.
  20. 모석유(摸石遊):산수를 유람하면서 쉬기 좋은 바위를 찾아 노는 풍속.
  21. 한식(寒食):동지(冬至)부터 105일째 되는 날. 이날에는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있다. 중국 진(晉)나라의 충신 개자추(介子推)의 혼령을 위로하는 뜻이 있다. 진나라 문공(文公)이 곤궁하여 굶주릴 때 개자추가 허벅다리의 살을 잘라 바쳐서 목숨을 지탱했으나, 뒤에 왕위에 올랐을 때 개자추에 대한 등용을 잊고 말았다. 개자추는 원망하지 않고 조용히 면산(緜山)에 숨었고 문공은 뒤늦게 그의 충성심을 깨닫고 찾았으나 산에서 나오지 않았다. 이에 그를 나오게 하려고 면산에 불을 놓았으나 오히려 개자추는 불에 타죽고 말았다. 그를 기리기 위해 사람들은 한식날에 찬 음식을 먹었다.
  22. 사신화(賜新火):청명(淸明) 하루 전날에는 예전의 불씨로 살린 불을 일절 쓰지 못하게 하고, 청명 당일에 새로운 불씨로 불을 피워서 백관들에게 하사해 주는 풍속.
  23. 청명(淸明):24절기의 하나로, 춘분(春分) 15일 후, 곡우(穀雨) 15일 전이다. 양력 4월 6일 전후이며, 음력으로는 3월이다. 청명은 예로부터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는 중요한 날로 여겨졌다.
  24. 송춘(送春):봄을 보내는 뜻으로 음력 3월 그믐날에 노는 놀이. 관리들은 각각 채색한 지팡이를 짚고, 봄을 상징하는 작은 소[牛]인형을 만들어 고관의 집에 두루 보낸다.
  25. 음주(飮酎):잘 빚은 진한 술을 마시던 풍속.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할 4월 초에 술이 완성되면, 천자와 군신들이 조정에서 예악을 즐기며 이 술을 마시던 풍속이 있었다.
  26. 용화회(龍華會):옛날에는 음력 4월 8일 설법회를 마련하여 미륵불이 도를 이루고 부처가 되어, 이 세계에 내려오기를 축원했다. 용화(龍華)는 미륵불이 이 나무 아래에서 득도했다고 하는 용화수를 의미한다.
  27. 창포탄(菖蒲誕):창포꽃이 피는 날을 기념하던 풍속.
  28. 앵순주(櫻笋廚):당나라 때 앵두와 죽순이 나오기 시작할 무렵 조정에서 앵두와 죽순 등으로 반찬을 만들어 먹던 풍속.
  29. 결하(結夏):승려들이 음력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3개월간 한 곳에 모여 일체의 외출을 금하고 수행에만 전념하는 하안거(夏安居)를 시작하는 일. 15일에 하안거를 위해 모이기 시작하여 19일부터 본격적으로 수행한다. 원래 인도에서는 브라만교에서 안거 제도가 시작되었다. 안거 제도는 우기(雨期)인 여름철에 수행자들이 돌아다니며 수행을 하다가 폭풍우를 만나 피해를 보기도 하거나, 또 이를 피하고자 초목과 벌레들을 살상하는 사태가 많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아예 외출을 금하고 수행에만 몰두하던 관습에서 유래했다.
  30. 완화담(浣花潭):일명 완화계(浣花溪), 또는 금강(錦江)이라고 한다. 성도(成都) 서쪽 서포현(犀浦縣)에 있다. 계곡물이 모여 강으로 흘러넘치는데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채전(彩牋, 시 짓는 색종이)을 많이 만드는 까닭에 ‘완화(浣花)’라고 이름했다. 음력 4월 19일 두보(杜甫, 712~770)가 완화계가에 있는 자신의 초당(草堂)인 창랑정(滄浪亭)에서 채색 비단옷을 입고 잔치를 열었다는 ‘완화일(浣花日)’ 풍속이 전해진다.
  31. 지랍(地臘):음력 5월 5일 단오(端午)를 말한다. 수릿날·천중절(天中節)이라고도 하며 중국에서는 중오(重午)·중오(重五)·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단오는 초오(初五)의 뜻으로 5월의 첫째 오일(午日)을 말한다. 음력으로 5월은 오월(午月)에 해당하며, 달과 날이 홀수로 중복되는 것을 상서롭게 여겨서 5월 5일을 명절날로 했다. 단오는 중국 한대(漢代)의 문헌에도 나타나는데, 옛날부터 5월은 장마가 시작되는 달로 나쁜 병이 유행하기 쉽고, 여러 가지 액(厄)을 제거해야 하는 나쁜 달로 보았기 때문에 예방조치로서 여러 풍속이 생겨났다.
  32. 호로곡(皓露曲):더위가 한창인 음력 5월 여름 동정호(洞庭湖)에 배를 띄우고 “호로추상지곡(皓露秋霜之曲, 흰 이슬과 가을 서리의 노래)”을 부르며 더위를 식혔다는 기록이 《천중기(天中記)》 권5 〈하(夏)〉에 있다.
  33. 죽취(竹醉):대나무를 심는 날. 음력 5월 13일은 용이 생겨나는 날이란 뜻의 ‘용생일(龍生日)’로 부르고 대 나무를 심는다. 죽취일(竹醉日)이라고도 한다.
  34. 천지합(天地合):천지가 만나는 날을 기념하는 풍속. “도가(道家)에서는 5월 16일을 하늘과 땅이 만나는 날로 여기니, 부부는 잠을 따로 자야 한다.(道家以五月十六日爲天地合日, 夫婦當異寢.)”는 기록이 《천중기》 권5 〈하(夏)〉에 있다.
  35. 불제(祓祭):산천에 제사를 지내서 사악한 기운을 떨쳐 없애는 의식. 앞에 나온 3월의 ‘불계’와 그 의미는 같다.
  36. 하지(夏至):24절기의 하나.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있으며, 양력 6월 21일경에 해당한다. 1년 가운데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37. 분룡(分龍):분룡우(分龍雨)가 내리는 날. 분룡우는 일종의 여름 소나기인데, 수레바퀴 하나 사이를 두고 비가 지나가는 때도 있다고 한다. 고대 사람들은 비를 관장하는 용의 관할 구역이 달라서 그렇다고 여겨 ‘분룡우’라 했다.
  38. 피복(避伏):6월 3일 복서(伏暑)의 더위를 피하는 날.
  39. 천황절(天貺節):중국 송나라 때의 명절. 송나라 진종(眞宗) 때에 6월 6일 하늘에서 천자의 조칙을 내렸다고 하여 이날을 천황절로 삼았다는 고사가 전한다. 민간에서는 이날 옷가지나 책들을 햇볕에 말려 곰팡이와 습기를 제거하는 풍속이 있다.
  40. 천맥과(薦麥瓜):초복의 이칭. 조상에게 이날 여름에 수확한 맥류[麥]와 오이류[瓜]를 바치는 풍속이 있었다.
  41. 초복(初伏):하지(夏至) 후의 3번째 경일(庚日). 복(伏)이란 말은 엎드려 숨는다는 뜻이 된다. 입춘(立春)에는 목(木)이 수(水)를 대신하고, 입하(立夏)에는 화(火)가 목(木)을 대신하며, 입동(立冬)에는 수(水)가 금 (金)을 대신하는데, 이 관계는 상생(相生)의 관계이다. 다만 입추(立秋)에는 금(金)이 화(火)를 대신하는데, 이 관계는 상극(相克)이다. 가을의 기운인 금이 여름의 기운인 화를 두려워하는 까닭에 금의 기운으로 이루어진 경일(庚日)에 이르면 반드시 엎드려 숨게 되어 더위가 기승을 부린다는 의미다. 하지 후의 4번째 경일이 중복이고, 입추 뒤의 첫 경일이 말복이다.
  42. 벽통권(碧筒勸):연잎으로 만든 술잔으로, 술을 권하며 마시는 날.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문인 정각(鄭慤, ?~?)이 삼복(三伏)의 더위가 오면 역성(歷城) 북쪽에 있는 사군림(使君林)에서 손님들을 데리고 연잎 술잔으로 술을 마시며 놀았다고 한다.
  43. 중복(中伏):하지(夏至) 후의 4번째 경일(庚日). 초복으로부터 열흘 뒤이다.
  44. 죽소음(竹篠飮):대나무 숲속에서 술을 마시는 풍속.
  45. 연탄(蓮誕):연꽃이 피는 날.
  46. 추류(貙劉):중국에서 고대에 천자가 입추일(立秋日)에 희생으로 바칠 짐승을 사냥하여 종묘에 제사를 올리는 의례.
  47. 입추(立秋):24절기 가운데 13번째 절기. 대서와 처서 사이의 양력 8월 8~9일경으로, 대서(大暑)의 15일 후이다. 입추부터 입동 전까지를 가을로 친다.
  48. 폭복서(曝腹書):중칠일(重七日)이라고도 하는데, 7이 겹치는 날로 경적(經籍)을 내다 말리기 좋은 날이다. 문주회(文酒會)를 열어 연회를 하고 책을 햇볕에 쬐어 말린다.
  49. 작교(鵲橋):오작교(烏鵲橋). 음력 칠월 칠석날 저녁에 견우와 직녀 두 별이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까마귀와 까치가 은하에 모인 다음 자기들의 몸을 연결해서 다리를 만든다는 고사가 있다.
  50. 칠석(七夕):음력 7월 7일에 행하는 풍속. 칠석날 저녁에 은하수의 양쪽 둑에 있는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이 1년에 1번 만난다고 하는 전설에 따라 별에 제사지내는 행사이다. 옛날에 견우와 직녀의 두 별이 사랑을 속삭이다가 옥황상제(玉皇上帝)의 노여움을 사서 1년에 1번씩 칠석 전날 밤에 은하수에 놓인 오작교를 건너 만났다고 한다. 두 사람이 헤어지면서 흘린 눈물로 해마다 칠석날에는 비가 내린다는 속설이 있다.
  51. 투교연(鬪巧宴):중국에서 고대에 7월 7~8일 저녁에 행하던 놀이. 칠석날 저녁 왕비 홀로 비단 장막을 친 누대에 올라 비단을 잘라 누대 아래에 뿌리면, 여러 빈궁이 주워 모아 누구의 것이 더 아름다운지를 겨룬 뒤, 다음날 큰 연회를 열고 심사를 하여 지는 사람에게 벌로 방석 하나를 만들게 했다.
  52. 우란분(于蘭盆):공양을 바치는 불교의 풍속. 인도에서는 본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란분(于蘭盆)은 도현(倒懸)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즉 ‘거꾸로 매달리다’라는 의미의 산스크리트 ‘avalambana’에서 바뀐 ‘ullambana’의 한문 음역(音譯)이다. 자손이 끊겨 공양을 받지 못하는 사자(死者)의 혼은 나쁜 곳에 떨어져 거꾸로 매달리는 고통을 받기 때문에, 이들 혼에게 음식을 바쳐 괴로워하는 혼을 구원해준다는 믿음에서 유래하였다. 예로부터의 민간신앙이 불교와 습합(習合, 철학이나 종교 분 야에서 서로 다른 학설이나 교리를 절충하는 것)하여 민간의 풍속으로 발전했다. 후대로 오면서 하안거를 마치는 날인 7월 15일에 행하는 공양회(供養會)와 결부되었다.
  53. 귀등절(鬼燈節):미상.
  54. 오명낭(五明囊):8월 초하루에 이슬을 담는 주머니를 만들어 온갖 풀잎 끝의 이슬을 받아 눈을 씻는 풍속. 이렇게 하면 눈이 밝아진다고 한다.
  55. 위기국(圍棋局):바둑을 두는 풍속.
  56. 광릉도(廣陵濤):8월 8일에 양주(揚州) 광릉(廣陵)에 있는 곡강(曲江)의 파도를 구경하는 풍속. 곡강의 파도는 한나라 때에 매우 넓고 호탕한 경치를 이루고 있어서 많은 유람객이 이곳으로 바람을 쐬러 왔다고 한다.
  57. 천구(天灸):붉은 물을 어린아이의 몸이나 이마에 찍어 질병과 재앙을 떨쳐 보내는 풍속. 《형초세시기》에는 8월 보름으로 되어 있고 문헌에 따라 조금씩 날짜가 다르기도 하다.
  58. 제일(梯日):미상.
  59. 모란탄[牡丹誕]:모란이 피는 날을 즐기며 연회를 여는 풍속.
  60. 황극일(皇極日):천하의 기준이 되는 날. 《서경(書經)》 〈주서(周書)〉 “홍범(洪範)”에 “다섯째는 황 극이니, 임금이 크게 기준을 세운다.(五皇極, 皇建其有極.)”라 했다.
  61. 식일(息日):일체의 일을 하지 않고 쉬는 날. 강남 지방에는 9월 9일이 식일이다.
  62. 제고(題糕):중국 당나라의 문인 유우석(劉禹錫, 772~842)이 중양절(重陽節)에 시를 지을 때 ‘고(糕)’ 자를 써서 시를 지으려 했으나 이 글자가 오경(五經)에 없다는 이유로 다시는 짓지 않았는데, 후대에 송나라 시인 송기(宋祁, 998~1061)가 이를 비판하는 〈구일식고자유영(九日食糕字有詠)〉이란 시에서 “유우석은 고(糕) 자로 감히 시를 짓지 못해, 시인 가운데 일세의 호걸이란 명칭을 허망하게 했네.(劉郞不敢題糕字, 虛負詩中一世豪.)”라 했다.
  63. 소중양(小重陽):도성의 사대부와 서인(庶人)들 가운데 대부분이 중양절 다음 날도 모여 연회를 베풀었기 때문에 9월 10일을 소중양절(小重陽節)이라 불렀다.
  64. 국화절(菊花節):중양절의 이칭. 이때가 국화가 필 무렵에 해당하므로 지어진 명칭이다. 중양절은 세시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을 가리킨다. 9는 원래 양수(陽數)이며, 양수가 겹쳤다는 뜻으로 중양(重陽)이라 한다.
  65. 어구홍엽(御溝紅葉):어구(御溝)는 궁궐의 정원을 흘러 지나는 물길인데, 그 물길에서 단풍잎을 주워다가 단풍잎 위에 시를 써서 사랑하는 사람에게 건넸다는 고사가 있다.
  66. 진세수(秦歲首):진(秦)나라 역법의 1월 초하루. 음력 10월 1일에 해당한다.
  67. 저곡(儲穀):다음 해 수확 전까지 쓸 곡식을 10월 15일에 저장하는 풍속.
  68. 난로회(煖爐會):화로를 꺼내어 불씨를 담은 다음 손님을 불러 연회를 베푸는 모임.
  69. 소춘(小春):음력 10월에는 겨울의 시작인 입동(立冬)이 들어 있지만, 아직 가을 기운이 남아 있어 추위는 느껴지지 않으므로 붙여진 이름. ‘동난(冬暖)’이라고도 한다.
  70. 하원(下元):음력 10월 15일을 하원(下元)이라 하여 설인 상원(上元) 날과 같이 거리에 등을 달고 연회를 베풀어 즐기는 풍속이 있었다.
  71. 제사한(祭司寒):추위를 관장하는 겨울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
  72. 현토탄(懸土炭):고대 중국에서 동지 전에 흙과 숯 무게를 재서 동지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의식. 《사기(史記)》 권27 〈천관서(天官書)〉에 “동지 즈음 낮 길이가 매우 짧아지면 흙과 숯 무게를 잰다.(冬至短極, 縣土炭.)”라 했고, 《사기집해(史記集解)》에서는 여기에 대한 주석으로 “동지 3일 전에 저울 양 끝에 흙과 숯 을 건 다음 무게가 균형을 이루는지 확인하는데, 동짓날에 양기(陽氣)가 이르면 숯이 무겁고, 하짓날에 음기(陰氣)가 이르면 흙이 무겁다.(先冬至三日,縣土炭於衡兩端,輕重適均,冬至日陽氣至則炭重,夏至日陰氣至則土重.)”라는 기록이 있다.
  73. 영장(迎長):동지 이후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동지 하루 전날 낮이 길어짐[長]을 맞이한다[迎]는 의미로 행하는 민간 풍속.
  74. 첨궁선(添宮線):당나라 궁중에서는 여자들이 노동한 분량으로 낮의 길고 짧음을 측량했는데, 동지 후에 해의 그림자가 점점 길어지기 시작하면 매일 1가닥의 선(線)에 해당하는 분량의 일을 더했다. 첨선(添線)이라고도 한다.
  75. 기위(妓圍):기녀들로 병풍을 만들어 즐기는 풍속. 매년 겨울이 되면 왕이 궁중의 기녀들을 병풍처럼 빽빽하게 둘러 세워 추위를 막았다는 고사가 있다.
  76. 흑금사(黑金社):겨울을 대비하여 숯을 마련하는 모임. 《어정월령집요(御定月令輯要)》권17 〈동령(冬令)〉에 “여산(廬山) 백록동(白鹿洞)에서는 유사(遊士)들이 서로 모여서 매번 겨울 추위에 돈을 추렴하고 숯을 사서 겨울 추위를 대비하였는데, 이를 흑금사라 불렀다.(廬山 白鹿洞遊士輻輳, 每冬寒醵金市烏薪, 爲禦冬備, 號黑金社.)”라 했다.
  77. 천축지절(天竺至節):인도의 납일. 《어정월령집요》에는 12월 16일로 기록되어 있다. 《어정월령집요》 권20 〈십이월령(十二月令)〉 “천축랍(天竺臘)”에 “천축의 12월 16일은 납일(臘日, 올해를 보내기 전에 조상이나 종묘사직에 제사지내는 날)이다.(天竺十二月十六日爲臘.)”라 했다.
  78. 세요고(細腰鼓):악기를 연주하는 풍속. 장구[杖鼓]의 이칭으로, 악기의 머리와 입이 크고 허리가 가늘어서 유래한 명칭. 음력 12월 8일을 납일(臘日)로 정하여 마을 사람들이 모두 이 악기를 두드리며, “납일에 북 울리니, 봄의 풀이 돋아난다.(臘鼓鳴, 春草生.)”고 노래했다.
  79. 성회절(星廻節):고대 중국 남방의 풍속. 성회절(星回節)이라고도 한다. 《어정월령집요》 권20 〈십이월령(十二月令)〉 “성회절(星回節)”에 “12월 16일은 성회절이니, 그날은 피풍대(避風臺)로 놀러가서 청평관(淸平官, 시를 짓는 문인)에게 시를 짓게 했다.(十二月十六日爲星回節, 其日遊於避風臺, 命淸平官賦詩.)”라 했다.
  80. 사조(祠竈):부뚜막신인 조왕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 고대의 제왕인 염제씨(炎帝氏)가 화관(火官)을 설치했는데, 염제씨가 화관에게 죽어서 조왕신이 되었다는 고사가 있다.
  81. 송한(送寒):12월 하순 추위를 보낸다는 의미로 행하던 풍속.
  82. 구나(驅儺):요사스러운 기운이나 역귀(疫鬼, 역병을 일으킨다는 귀신)를 몰아내는 푸닥거리.
  83. 세제(歲除):한 해의 마지막 날. 옛 풍속에 이날 북과 장구를 치며 역신을 몰아내는 풍속을 ‘축제(逐除)’라고 하였기 때문에 세제(歲除)라 한다는 고사가 있다.
  84. 매치애(賣癡獃):중국 송나라 오중(吳中) 지방의 풍속. 제야(除夜)에 어린이들이 길거리를 돌아다니며 “어리석음을 팔아요!(賣癡獃!)”라고 외쳤는데, 이렇게 하면 한 해의 잘못을 잊고 새해에는 철이 든다고 생각했다.
  85. 《淸閑供》 〈月令演〉(《香艷叢書》第3集 卷2, 321~32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