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쓰개:치관
내용
치관(치포관) [1]
치포관(緇布冠)이다. 《시경》에서 ‘치촬(緇撮)’이라 했는데, 촬(撮)은 상투를 모아 튼다는 말이다. 옛날에는 이를 ‘태고관(太古冠)’이라 했는데, 그 제도는 크기가 작으면서 양(梁) [2] 5개가 있다. 지금 사람들이 상투를 트는 작은 관을 만들 때는 종이를 여러 겹 대어 만들거나 뿔로 만드는데, 모두 양(梁)이 있고 옻칠을 했으니, 모두 검은 끈으로 상투를 묶던 것이 전해 내려온 제도이다. 《가례》에 실린 ‘치관(緇冠)’이나 《삼재도회》에 실린 ‘오적관(五積冠)’ [3]은 그 형태가 조금 크면서 양과 비녀가 있으니, 이는 요즘의 상투를 모으는 관과 대체로 비슷하다.《금화경독기》
각주
- ↑ 치관(치포관):검은색 베[布]로 만든 관으로, 요임금과 순임금이 다스리던 태고시대의 치포관은 재계할 때 쓰던 관[齋冠]이다. 고례서와 당대(唐代)까지의 문헌에서 변함없이 ‘치포관’으로 유지되지만, 송대(宋代)에 이르러 ‘치포관’ 외에 ‘치관(緇冠)’이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조선 중기까지는 두 명칭을 함께 사용했고, 18~19세기에는 고례를 따라 ‘치포관’을 사용해 현대까지 전해지고 있다. 형태는 고례서에서는 상투를 감싸는 작은 관이다. 송대에는 상투만 감싸지만 턱 아래에 끈을 매는 대신 비녀[笄]를 꽂는 형태로 변했다. 조선 후기 허전(許傳)에 의해 상투만 감싸는 작은 형태가 아닌 머리 전체를 덮는 독립된 관모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박길수, 〈緇布冠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32쪽)
- ↑ 양(梁):관의 정수리 부분에 아래에서 위로 나 있는 세로줄이다. 양의 수에 따라 신분의 높고 낮은 등급이 구별되어, 조선시대 조복에 쓰는 양관(梁冠)은 신분에 따라 오량관(五梁冠)・삼량관(三梁冠)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조선시대 양관 제도〉
- ↑ 《三才圖會》 〈衣服〉 “五積冠”, 6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