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융과 모전

pungseok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21일 (수) 17:4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5) 융(毧)[1]과 모전 [氈]
면양에는 2종이 있다. 하나는 ‘사의양(簑衣羊)’이라 하는데 그 솜털을 잘라 모전[氈]이나 융조각을 만든다. 세상에 두루 퍼진 털모자나 털버선은 모두 이것으로 생산한 것이다. 이 종자는 서주(徐州), 회수(淮水) 이북의 주나 군에서 번성하게 자라지 않는 곳이 없다. 남쪽 지방은 호군(湖郡)에서만 면양을 기른다. 1년에 3회 털을 깎는다.【여름철에는 털갈이를 하므로[2] 깎지 않는다.】 양 1마리에서 1년에 융 버선 3켤레의 재료를 얻고, 암수 한 쌍이 새끼 양 2마리를 낳기 때문에 북쪽 지방의 집에서 면양 100마리를 기르면 한 해의 수입이 100금(金)이라고 한다. 다른 하나는 ‘율륵양(矞艻羊)’【번어(番語)[3]이다.】이라 한다. 진(秦) 지역의 사람은 이를 ‘산양(山羊)’이라고 해서 면양과 구별한다. 처음에는 서역에서 임조(臨洮)[4]로 전해졌는데, 지금은 난주(蘭州)[5]에서 유독 번성한다. 그 안쪽의 솜털이 가늘고 부드러운 것으로 융베[絨褐]를 짠다. 고운 융베는 모두 난주에서 나므로 ‘난융(蘭絨)’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면양의 솜털을 깎아 그중 거친 털로는 모전[氈]을 만들고, 고운 털로는 융(絨)을 만든다. 모전은 모두 물을 끓여 끓는 물 안에 던져 넣고 문지르면서 씻고 털들이 엉겨 붙으면 널빤지로 원하는 물건의 형태를 만든 뒤 그 위에 융을 깔고서 굴대를 굴려서 만든다. 일반적으로 모전이나 융은 흰색과 검은색이 원래 색이고, 그 나머지 색은 모두 물들인 것이다.《천공개물》[6]


모전 만드는 법:봄털과 가을털을 반씩 섞어 쓴다. 가을털은 질기고 강하며 봄털은 부드럽고 약해, 어느 하나만 쓰면 너무 치우치므로 반드시 섞어서 써야 한다. 2월의 도화수(桃花水)[7]가 나 올 때 만든 모전이 가장 좋다. 일반적으로 모전을 만들 때는 두껍고 커서는 안 되고 오직 고르게 팽팽하고 얇아야만 좋은 제품이다. 2년 동안 깔고서 누우면 때가 약간 타기 때문에 9월이나 10월에 화전(靴氈)[8]으로 만들어 팔고, 다음해 4~5월에 모전이 나올 때 다시 새 모전을 산다. 이것이 모전을 오래 보존하면서도 구멍나거나 낡지 않은 채로 쓰는 방법이다. 만약 모전을 자주 바꾸지 않으면 때가 타서 더러워질 뿐만 아니라 구멍이 난 뒤에는 바로 가치가 없어져 헛되이 재물만 낭비하게 된다. 이렇게 영구히 이어갈 수 있는 방법을 어찌 다른 것과 대등한 수준으로 놓고 말할 수 있겠는가?《제민요술》[9]


연경에서 수입한 모전의 등급은 흰 융전(毧氈)을 상급으로 치고, 붉은 모전이 다음이며, 자주색이나 청색 등 여러 색으로 만든 모전을 하급으로 친다. 흰색이지만 어둡게 변하거나, 털이 거칠어 전체가 뻣뻣한 모전의 경우 중국인들은 기물을 싸는 데 쓸 뿐이고 요를 만들지는 않으니, 그 가격이 융전의 1/3이나 1/4도 되지 않는다.《금화경독기》[10]



각주

  1. 융(毧):본래 ‘융(毧)’은 동물의 ‘고운 털’을 의미하고, ‘융(絨)’은 직물을 의미한다.(《玉篇》 <毛部> “毧”: “細毛也.”;<糸部> “絨”:“細布也.”) 《옥편(玉篇)》에 따르면 융(毧)은 원료를 말하고 융(絨)은 그 결과물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융(毧)’과 ‘융(絨)’은 같은 의미로 쓰여서, 동물의 털로 만든 천을 의미한다. 동 물의 털로 만든 천은 눌러서 만든 것이 있고,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직조한 것이 있다. 흔히 눌러서 만든 것을 전(氈), 즉 펠트(felt)라 하는데, 본문에서는 전(氈)과 융(毧) 모두 눌러서 만들고 털의 질에 따라 다르게 부르며, 직조한 것은 융갈(絨褐)이라 했다. 융갈은 《옥편》의 ‘세포(細布)’와 같은 의미로 보인다.
  2. 털갈이를 하므로:《서경》 <요전>에 나온다.
  3. 번어(番語):중국 아닌 주변국 또는 변방[番]의 말. ‘율륵(矞艻)’은 여진어로 ‘큰 양’이라는 의미이다.
  4. 임조(臨洮):지금의 중국 감숙성(甘肅省) 민현(岷縣)에 해당하는 지역.
  5. 난주(蘭州):지금의 중국 감숙성의 성도(省都).
  6. 《天工開物》 卷2 <乃服> “褐氈”, 106~108쪽.
  7. 도화수(桃花水):복숭아꽃이 필 무렵에 얼음이 녹아 불어난 물로, 봄철의 시냇물을 말한다.
  8. 화전(靴氈):모전을 요로 쓰다가 낡으면 해지기 전에 신발[靴]을 만드는 재료로 팔았던 것으로 보인다.
  9. 《齊民要術》 卷6 <養羊> 第57 “作氈法”(《齊民要術校釋》, 428쪽).
  10.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18~2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