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조선시대에 사용하던 평좌용(平坐用) 낮은 책상. 서안(書案), 기, 서상(書牀)이라 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서상
|
이칭/별칭 |
서안, 기
|
재질 |
다양한 나무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서상(書牀, 책상) :《임원경제지》 〈이운지 권제4〉
넓은 방에는 넓고 폭이 큰 책상을 사용하고, 작은 방이나 침실에는 폭이 좁고 작은 책상을 사용해야 한다. 책상의 제도는 막대 4개로 다리를 만들고네 가장자리를 구유처럼 움푹 패이게 하고, 다리 4 개의 가운데에 별도로 번개무늬·영지버섯·간략한 용의 형상 따위를 새겨 견고하게 박아 넣은 책상이 있다. 또 글자나 그림이 그려진 축이 옆으로 펼쳐지는 모양으로, 양 변의 축 끝이 땅에서 떨어져 있고,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일어나면서 모양이 만들어 지는 책상이 있다.[1]가늘고 길쭉한 병처럼 생긴 다리 4개가, 넓고 큰 판자 1개를 받치고 있는 모양의 책상도 있다.
자단으로 만들고 가운데에 대리석을 박아 넣은 책상이 가장 아름답고, 순전히 자단으로 만든 책상이 그 다음이다. 우리나라의 제주[耽羅]에서 나는 산유자나무, 전라도 여러 고을에서 나는 먹감나무, 황해도 대청도(大靑島)[2] 에서 나는 늙은 뽕나무로 만든 책상이 또한 그 다음이다. 《금화경독기》 [3]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Notes
- ↑ 글자나……있다:원문에서 말하고 있는 책상의 구조는 현대의 접이식 책상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접어 두거나 눕혀 둘 수 있는 책상으로 추정된다.
- ↑ 대청도(大靑島):지금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에 딸린 섬. 남쪽으로는 소청도, 북쪽으로 백령도, 동쪽 으로 황해남도 옹진군과 마주하고 있다. 본래 명칭은 포을도(包乙島)였으나, 고려 초기에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 ↑ 출전 확인 안 됨.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