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pungse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0년 11월 3일 (화) 14:40 최시남 (토론 | 기여)님이 파일:초가2.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0년 11월 3일 (화) 14:17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척도 - 건물의 세 부분1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1) 건물의 세 부분<br/> 심괄(沈括)은 《몽계필담(夢溪筆談)》에서 유 호(喩皓)의 《목경(木經)》을 인용하여, “일반적으 로 건물에는 세 부분이 있는데, 들보<ref>들보:건물의...")
- 2020년 11월 3일 (화) 14:16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초가 지붕2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br/> 바닷가나 물가, 포구 같은 곳에서는 갈대로 지붕을 잇고, 북쪽 내륙에서는 자작나무 껍질로 지붕을 잇는다. 갈대나 자작나무 껍질은 볏짚에 비해 상당히 오래 견디지만,...")
- 2020년 11월 3일 (화) 14:16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초가 지붕1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3) 초가 지붕<br/> 시골에서는 지붕을 이을 때, 대부분 볏짚을 사용하여 볏짚 2~3줌으로 엮어서 이를 비늘처럼 겹쳐 가며 지붕을 얹는다. 다시 볏짚으로 새끼를 꼬아 가로세로로...")
- 2020년 11월 3일 (화) 14:16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우리나라의 제도2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br/> 기와지붕에 참새가 구멍 뚫고 뱀이 똬리 트는 이유는 오로지 상분의 척도에 법식이 없기 때문이다. 대개 서까래를 까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령 오량(五梁)<ref>오량(五...")
- 2020년 11월 3일 (화) 14:16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우리나라의 제도1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2) 우리나라의 제도<br/> 우리나라의 기와 몸통은 너무 크기 때문에 너무 휘어 있다. 너무 휘어 있기 때문에 저절로 그 안에 빈곳이 많아 그곳을 흙반죽으로 메우지 않을 수 없...")
- 2020년 11월 3일 (화) 13:22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포백척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포백척</strong>은 바느질을 할 때에 쓰는 자이다. 서유구(徐有榘)의...".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3:21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화선(划船)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화선(划船)</strong>은 물가와 나루터 근처에서 사용하는 작은 배로,...".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3:21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온돌 제도3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br/> 어떤 이는 말한다. “우리나라 사람은 온돌방에 사는 데 익숙해서 지금 하루아침에 제도를 바꿀 수 없다. 그러니 우리나라 방 제도를 그대로 따르면서 온돌 깔기만 캉 제...")
- 2020년 11월 3일 (화) 13:2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 - 캉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2) 캉 제도<br/> 먼저 캉의 기초를 쌓는데, 높이는 1.8척이다. 그리고 바닥을 평평하게 고른 뒤에 벽돌 조각을 바둑돌처럼 놓아 받침대로 삼고 그 위에 벽돌을 깐다. 벽돌의 두께...")
- 2020년 11월 3일 (화) 13:1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 - 온돌 제도1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3) 온돌 제도<br/> 우리나라의 온돌 제도에는 6가지 결점이 있다. 진흙을 쌓아 고랫등<ref>고랫등:구들장을 올려놓는, 방고래와 방고래 사이의 약간 두두룩한 곳.</ref>을 만들고...")
- 2020년 11월 3일 (화) 13:11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항간(桁竿, 빨래 너는 장대)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항간(桁竿, 빨래 너는 장대)</strong>은 옷을 널어 햇볕에 말...".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3:1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온돌 제도2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br/> 연암 박지원은 “우리나라 온돌 제도에는 6가지 결점이 있다.”고 했는데, 그 주장이 옳다. 나는 그 주장을 확대하여 다음과 같이 6가지 해로움이 있다고 생각한다.<br/> 온...")
- 2020년 11월 3일 (화) 13:1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온돌 제도1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3) 온돌 제도<br/> 우리나라의 온돌 제도에는 6가지 결점이 있다. 진흙을 쌓아 고랫등<ref>고랫등:구들장을 올려놓는, 방고래와 방고래 사이의 약간 두두룩한 곳.</ref>을 만들고...")
- 2020년 11월 3일 (화) 13:1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 - 방과 캉은 제도가 다르다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ref>캉(炕):만주 지역에서 구들을 가리키는 용어. ‘구들[龜突]’이란 방 밑에 화기(火氣)가 통하게 하여 난방하는 구조체로, 온돌의 구조부를 가리킨다. 만주 지역의 캉은 방...")
- 2020년 11월 3일 (화) 13:1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몸채와 곁채의 배치 - 중국의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font color="blue">몸채와 곁채의 배치 - 중국의 제도</font>'''<br/> 1) 중국의 제도<br/> 중국의 건물 제도는 모두 ‘일(一)’자 형태여서 구부러져 꺾이거나 건물끼리 딱 붙어 있지...")
- 2020년 11월 3일 (화) 13:05 최시남 (토론 | 기여)님이 파일:부뚜막2.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0년 11월 3일 (화) 13:03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건물의 기초:중국의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의 집 짓는 제도에서는 반드시 땅을 깨끗이 정리하고 달구로 다지고 나서 다시 깎아 평평하고 반듯하게 하여 토규(土圭)<ref>토규(土圭):그림자 길...")
- 2020년 11월 3일 (화) 13:03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건물의 기초:우리나라의 제도2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br/> 집을 지을 때 기초 닦기에 가장 유의해야 한다는 것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안다. 그래서 재력이 있는 집에서는 이것저것 많이 드는 비용을 아까워하지 않고 숯을 넣고 다...")
- 2020년 11월 3일 (화) 13:02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건물의 기초:우리나라의 제도1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br/> 일반적으로 집을 지을 때 먼저 집 지을 땅을 헤아려 정하고 큰 나무달굿대[木杵]【민간에서 ‘원달구[元達古]’<ref>원달구[元達古]:땅을 다질 때 사용하는 장구 모양의...")
- 2020년 11월 3일 (화) 13:02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건물의 기초:우리나라의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2) 우리나라의 제도'''<br/> 일반적으로 집을 지을 때 먼저 집 지을 땅을 헤아려 정하고 큰 나무...".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3:02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건물의 기초 - 중국의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의 집 짓는 제도에서는 반드시 땅을 깨끗이 정리하고 달구로 다지고 나서 다시 깎아 평평하고 반듯하게 하여 토규(土圭)<ref>토규(土圭):그림자 길이를...")
- 2020년 11월 3일 (화) 13:02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건물의 기초 - 우리나라의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내용== 2) 우리나라의 제도<br/> 일반적으로 집을 지을 때 먼저 집 지을 땅을 헤아려 정하고 큰 나무달굿대[木杵]【민간에서 ‘원달구[元達古]’<ref>원달구[元達古]:땅을 다질 때 사용...")
- 2020년 11월 3일 (화) 13:01 최시남 (토론 | 기여)님이 파일:부뚜막.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0년 11월 3일 (화) 12:55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상택지:전국의 샘물: 한양의 샘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내용== 한양은 인가가 조밀하여 우물과 샘에 모두 소금기가 있고 혼탁하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 훈련...". 유일한 편집자는 "김현진"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4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사향(麝香)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사향(麝香)</strong>은 사향노루 수컷의 사향선(麝香腺, 생식샘) 안에...". 유일한 편집자는 "김용미"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4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부인교(부인용 가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부인교</strong>는 주로 여성들이 타는 가마를 가리켜 말한다. 서유...".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4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배-중국의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배-중국의 제도</strong>는 중국의 배 건조법에 대한 설명이다. 서유...".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4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배-우리나라의 제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배-우리나라의 제도</strong>는 우리나라의 배에 대한 내용이다. 서...".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4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발차(發車)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발차(發車)</strong>는 소 한 마리가 끄는 수레로, 작은 돌 따위를 나...".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3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인두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인두</strong>는 바느질할 때 불에 달구어 직물의 구김을 눌...".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37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빨랫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빨랫줄</strong>은 옷을 걸어서 햇볕에 말리는 노끈이다. ==Se...".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37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strong>는 옷감을 두드려 다듬는...".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3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밀승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밀승</strong>은 꿀의 용량을 잴 때 쓰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09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몸 씻는 여러 도구 - 조두합(가루비누합)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조두합(가루비누합)</strong>은 가루비누와 양칫소금을 담는 상자로...".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0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몸 씻는 여러 도구 - 양칫물사발(漱水碗)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양칫물사발[漱水碗]</strong>은 양칫물을 담아 두는 그릇이다. ==Sema...".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0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몸 씻는 여러 도구 - 놋대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놋대야</strong>는 놋쇠로 만든 대야이다. 대야는 물을 담아서 얼굴...".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0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두(斗)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두(斗)</strong>는 부피의 단위이다. 곡식, 액체, 가루 따위의 부피를...".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0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동차(童車)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동차</strong>는 작은 짐을 나르는 기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0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도구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도구</strong>는 도량형 도구 중에서 부피를 측정하는 단위인 승(升)...".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2:08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대차(大車)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대차</strong>는 커다란 돌이나 원목 등 무거운 짐을 운반할 때 사용...".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1:12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담기(擔機)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담기</strong>는 짐을 운반하는 기구로, 성을 쌓을 때는 주로 경칫돌...".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1:09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곡(斛)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곡(斛)</strong>은 부피의 단위이다. 원래는 중국에서 곡식을 계량할...".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3일 (화) 11:05 최시남 (토론 | 기여)님이 파일:부엌2.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0년 11월 3일 (화) 10:04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2가지 두를 쓰지 마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2가지 두를 쓰지 마라</strong>는 민간의 두와 곡은 집집마다 제도가...". 유일한 편집자는 "김광명" (토론))
- 2020년 11월 2일 (월) 17:51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바늘을 녹슬지 않게 보관하는 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바늘을 녹슬지 않게 보관하는 법</strong>은 바늘을 호두 껍...".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2일 (월) 17:51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바늘(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바늘[針]</strong>은 옷 따위를 짓거나 꿰매는 데 쓰는, 가늘...".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2일 (월) 17:51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다리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다리미</strong>는 구겨진 옷이나 직물의 주름이나 구김 부분...".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2일 (월) 17:5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골무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골무</strong>는 바느질할 때 바늘을 눌러 밀어 넣기 위하여...".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
- 2020년 11월 2일 (월) 17:50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이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가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가위</strong>는 직물이나 종이, 머리털 따위를 자르는 기구...". 유일한 편집자는 "최시남"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