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옷과 갖옷:학창의
내용
4) 학창의(鶴氅衣)[1]
학창의는 제갈량이 입었던 옷으로 그 제도는 전하지 않는다. 지금 사람들은 다만 공복(公服) 속에 입는다. 창의(氅衣)[2]에다 그 깃[領]・소매끝[袪]・가장자리[邊]・아랫단[齊]을 검은색으로 두른 옷을 ‘학창의’라 한다. 그러나 옛날의 옷은 오직 조복(朝服)과 제복(祭服)・곤복(袞服)[3]의 상의만 소매를 넓게 했고, 그 밖에 심의 등 예복은 그 겨드랑이 부분[袼, 진동]을 팔꿈치가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만 했다. 하물며 위・촉・오 삼국이 전쟁하던 시대였으니 어떠했겠는가? 또 우리나라의 장복(章服, 관복) 역시 국초에는 모두 좁은 소매였으니 소매가 둥글고 넓은 제도는 근세의 말세에 잘못된 제도이다. 학창의를 만들고자 한다면 먼저 소매 제도부터 그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금화경독기》[4]
각주
- ↑ 학창의(鶴氅衣):깃이 곧고 소매가 넓으며 큰 무(윗옷의 양쪽 겨드랑이 아래에 대는 천 조각)가 달린 포의 하나. 뒤 중심선 아래와 양옆이 트였으며, 흰색이나 청색으로 옷을 만들고 깃, 소매끝, 아랫단, 트임 등의 가장자리에 검은색 선을 두르는 특징이 있다. 사대부의 일상복이었는데, 주로 덕망 높은 도사(道士)나 학자가 입었다.
- ↑ 창의(氅衣):깃이 곧고 소매가 넓으며 큰 무가 달린 포(袍)의 하나로, ‘대창의(大氅衣)’라고도 한다. 뒤 중심선 허리 아래로 긴 트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곤복(袞服):황제와 왕의 최고 복장인 면복의 상의를 말한다. 면복의 상의는 검은색(푸른빛이 도는 검은색)으로 해서 하늘[天]과 양(陽)을 형상화하고, 치마는 붉은색으로 해서 땅[地]과 음(陰)을 형상화한다. 황제는 총 12종의 무늬로 표현하는데 상의에 해, 달, 별, 산, 용, 산꿩의 6종, 하상에 불, 호랑이와 원숭이를 표현한 종이(宗彛), 물풀[藻], 쌀[粉米], 도끼[黼], 아(亞) 자 모양 불(黻)의 6종을 쓴다. 황태자와 왕은 이 중 해, 달, 별을 제외한 9종의 무늬로 표현하는데 상의에 산, 용, 불, 산꿩, 종이의 5종을 쓰고, 하상에 물풀, 쌀, 도끼 불 무늬의 5종을 쓴다. 구장복(
- ↑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97~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