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ngseok
강민우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7월 11일 (토) 15:54 판 (새 문서: 침구의 하나로, 사람이 앉거나 누울 때 바닥에 깐다. 서유구는 겉에 무명홑청을 덧대어 세탁이 쉽도록 했다.<br> 《집운》에서 “‘욕(褥)...)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침구의 하나로, 사람이 앉거나 누울 때 바닥에 깐다. 서유구는 겉에 무명홑청을 덧대어 세탁이 쉽도록 했다.
《집운》에서 “‘욕(褥)’은 음이 욕(辱)이고, 전욕(氈褥, 모전으로 만든 요)이다.”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이 없는 ref 태그는 반드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라 했으니, 중국 사람들은 모전으로 요를 만들었나 보다. 우리나라에서는 양을 기르지 않아 소의 털로 이불속을 넣고 무명으로 밖을 싸는데, 그 두께는 모전보다 3~4배나 되지만 따뜻함은 뒤떨어진다. 북경에서 수입한 거친 모전을 3~4겹으로 겹쳐 꿰매어 요 하나를 만들고 지금처럼 무명으로 겉을 싸야 한다.[1]



요(국립민속박물관)
  1. 《임원경제지 섬용지》 권3, 〈복식 도구〉 3, “이부자리” 4), ‘요’(《임원경제지 섬용지》 2, 1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