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변소와 도랑:도랑 제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도랑 제도'''</br></br> 겉도랑을 ‘거(渠)’라 하고 속도랑을 ‘음(淫)’이라 한다.【양신(楊愼)<ref>양신(楊愼):1488~1559. 명나라...)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도랑 제도'''</br></br>
+
'''5) 도랑 제도'''</br></br>
 
겉도랑을 ‘거(渠)’라 하고 속도랑을 ‘음(淫)’이라 한다.【양신(楊愼)<ref>양신(楊愼):1488~1559. 명나라 중기의 학자. 호는 승암(升菴). 사천성(四川省) 사람으로, 경학과 시문에 탁월했으며 박학하기로 이름이 높았다. 저서로 《단연총록(丹鉛總錄)》, 《승암집(升菴集)》 등이 있다.</ref>의 《단연총록(丹鉛總錄)》에서 “절강성 인가의 도랑은 대부분 질기와로 만들 었는데, 질기와가 부엌 굴뚝의 모양과 같아서 이름을 ‘음(淫)’이라 한다. 이는 질기와가 소통되어 막히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ref>절강성……것이다:이 내용은 《藝林彙考》 卷8 〈棟宇篇〉 “廡序類”에서 확인된다.</ref>라고 했다.】 담 밖에는 ‘거’를 만들고, 담 안에는 ‘음’의 제도를 써야 한다.</br>
 
겉도랑을 ‘거(渠)’라 하고 속도랑을 ‘음(淫)’이라 한다.【양신(楊愼)<ref>양신(楊愼):1488~1559. 명나라 중기의 학자. 호는 승암(升菴). 사천성(四川省) 사람으로, 경학과 시문에 탁월했으며 박학하기로 이름이 높았다. 저서로 《단연총록(丹鉛總錄)》, 《승암집(升菴集)》 등이 있다.</ref>의 《단연총록(丹鉛總錄)》에서 “절강성 인가의 도랑은 대부분 질기와로 만들 었는데, 질기와가 부엌 굴뚝의 모양과 같아서 이름을 ‘음(淫)’이라 한다. 이는 질기와가 소통되어 막히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ref>절강성……것이다:이 내용은 《藝林彙考》 卷8 〈棟宇篇〉 “廡序類”에서 확인된다.</ref>라고 했다.】 담 밖에는 ‘거’를 만들고, 담 안에는 ‘음’의 제도를 써야 한다.</br>
 
일반적으로 낭(廊)・무(廡)・고(庫)・상(廂)은 물길이 지나는 곳이므로 이곳 아래의 땅에 모두 홈을 파고 와두(瓦竇)를 눕혀서 묻되, 차례로 층이 지도록 서로 이어 담 밖의 겉도랑에 그대로 이르게 한다. 담 밖의 겉도랑은 큰 빗물이 담을 휘돌아 앞마당 아래에서 종횡으로 맞닿아 합쳐져 바로 밭의 도랑에 이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겉도랑의 깊이는 지세의 높이를 가늠 해서 그에 맞게 덜거나 더하는데, 이때 물 빠짐이 쉽도록 해야 한다. 담 아래에 있는 도랑이 너비가 10척 이상이면 배수가 잘될 뿐만 아니라 도둑도 막을 수 있다.</br>
 
일반적으로 낭(廊)・무(廡)・고(庫)・상(廂)은 물길이 지나는 곳이므로 이곳 아래의 땅에 모두 홈을 파고 와두(瓦竇)를 눕혀서 묻되, 차례로 층이 지도록 서로 이어 담 밖의 겉도랑에 그대로 이르게 한다. 담 밖의 겉도랑은 큰 빗물이 담을 휘돌아 앞마당 아래에서 종횡으로 맞닿아 합쳐져 바로 밭의 도랑에 이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겉도랑의 깊이는 지세의 높이를 가늠 해서 그에 맞게 덜거나 더하는데, 이때 물 빠짐이 쉽도록 해야 한다. 담 아래에 있는 도랑이 너비가 10척 이상이면 배수가 잘될 뿐만 아니라 도둑도 막을 수 있다.</br>
예전에 진기(陳紀)<ref>진기(陳紀):129~199. 원방(元方)은 그의 자.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나오는 난형난제(難兄難弟) 고사의 주인공이다.</ref>의 집은 배수가 잘되지 않아 평생토록 집이 팔리지 않았다. 대개 사람 사는 집이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비가 많이 왔을 때 집이 물에 잠기게 된다. 이로 인해 담이나 벽이 습기를 빨아들이면 담장과 집이 무너지고, 방구들이 습기를 빨아들이면 사람이 반신불수를 앓게 된다. 부뚜막에서 물이 나면 밥 짓는 데 시간을 잘 맞추지 못하고, 소금기와 탁한 것이 우물에 들어가면 음식이 불결해지며, 마당에 넘실넘실 물이 차면 누에치기를 할 수 없다. 이처럼 여러 가지 근심과 피해를 일일이 다 들 수가 없으 니, 집을 지을 때는 하수도에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금화경독기》<ref>출전 확인 안 됨.</ref></br></br>
+
예전에 진기(陳紀)<ref>진기(陳紀):129~199. 원방(元方)은 그의 자.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나오는 난형난제(難兄難弟) 고사의 주인공이다.</ref>의 집은 배수가 잘되지 않아 평생토록 집이 팔리지 않았다. 대개 사람 사는 집이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비가 많이 왔을 때 집이 물에 잠기게 된다. 이로 인해 담이나 벽이 습기를 빨아들이면 담장과 집이 무너지고, 방구들이 습기를 빨아들이면 사람이 반신불수를 앓게 된다. 부뚜막에서 물이 나면 밥 짓는 데 시간을 잘 맞추지 못하고, 소금기와 탁한 것이 우물에 들어가면 음식이 불결해지며, 마당에 넘실넘실 물이 차면 누에치기를 할 수 없다. 이처럼 여러 가지 근심과 피해를 일일이 다 들 수가 없으 니, 집을 지을 때는 하수도에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금화경독기》<ref>출전 확인 안 됨.</ref><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89~190쪽.</ref></br></br>
 +
 
  
 
==각주==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Architecture]][[분류:Architecture-건축부품]][[분류:김광명]][[분류:임원경제지]][[분류:임원경제지-섬용지]]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Architecture]][[분류:건축물]][[분류:건축부품]][[분류:영조지제]][[분류:변소와도랑]][[분류:욕실]][[분류:변소]][[분류:소변저장고]][[분류:잿간]][[분류:도랑 제도]][[분류:섬용지]][[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김광명]][[분류:금화경독기]][[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2월 3일 (목) 22:10 기준 최신판

내용

5) 도랑 제도

겉도랑을 ‘거(渠)’라 하고 속도랑을 ‘음(淫)’이라 한다.【양신(楊愼)[1]의 《단연총록(丹鉛總錄)》에서 “절강성 인가의 도랑은 대부분 질기와로 만들 었는데, 질기와가 부엌 굴뚝의 모양과 같아서 이름을 ‘음(淫)’이라 한다. 이는 질기와가 소통되어 막히지 않는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2]라고 했다.】 담 밖에는 ‘거’를 만들고, 담 안에는 ‘음’의 제도를 써야 한다.
일반적으로 낭(廊)・무(廡)・고(庫)・상(廂)은 물길이 지나는 곳이므로 이곳 아래의 땅에 모두 홈을 파고 와두(瓦竇)를 눕혀서 묻되, 차례로 층이 지도록 서로 이어 담 밖의 겉도랑에 그대로 이르게 한다. 담 밖의 겉도랑은 큰 빗물이 담을 휘돌아 앞마당 아래에서 종횡으로 맞닿아 합쳐져 바로 밭의 도랑에 이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겉도랑의 깊이는 지세의 높이를 가늠 해서 그에 맞게 덜거나 더하는데, 이때 물 빠짐이 쉽도록 해야 한다. 담 아래에 있는 도랑이 너비가 10척 이상이면 배수가 잘될 뿐만 아니라 도둑도 막을 수 있다.
예전에 진기(陳紀)[3]의 집은 배수가 잘되지 않아 평생토록 집이 팔리지 않았다. 대개 사람 사는 집이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비가 많이 왔을 때 집이 물에 잠기게 된다. 이로 인해 담이나 벽이 습기를 빨아들이면 담장과 집이 무너지고, 방구들이 습기를 빨아들이면 사람이 반신불수를 앓게 된다. 부뚜막에서 물이 나면 밥 짓는 데 시간을 잘 맞추지 못하고, 소금기와 탁한 것이 우물에 들어가면 음식이 불결해지며, 마당에 넘실넘실 물이 차면 누에치기를 할 수 없다. 이처럼 여러 가지 근심과 피해를 일일이 다 들 수가 없으 니, 집을 지을 때는 하수도에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금화경독기》[4][5]


각주

  1. 양신(楊愼):1488~1559. 명나라 중기의 학자. 호는 승암(升菴). 사천성(四川省) 사람으로, 경학과 시문에 탁월했으며 박학하기로 이름이 높았다. 저서로 《단연총록(丹鉛總錄)》, 《승암집(升菴集)》 등이 있다.
  2. 절강성……것이다:이 내용은 《藝林彙考》 卷8 〈棟宇篇〉 “廡序類”에서 확인된다.
  3. 진기(陳紀):129~199. 원방(元方)은 그의 자.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나오는 난형난제(難兄難弟) 고사의 주인공이다.
  4. 출전 확인 안 됨.
  5.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89~19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