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죽상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strong>12) 죽상자</strong><br/> 죽상자는 대오리로 엮어 만드는데, 네모나거나 둥글다. 그 뚜껑은 바닥까지 덮어 땅에 닿거나 윗머리...)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strong>12) 죽상자</strong><br/>
+
<strong>12) 죽상자[竹箱]</strong><br/>
 
죽상자는 대오리로 엮어 만드는데, 네모나거나 둥글다. 그 뚜껑은 바닥까지 덮어 땅에 닿거나 윗머리의 0.1척 정도만을 덮기도 한다. <br/>죽상자는 남쪽 지방과 죽주군(竹州郡)<ref>죽주군(竹州郡):지금의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일대.</ref>에서 생산되며, 여기에는 마른 과일이나 생과일을 저장할 수 있다.《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432~433쪽. </ref><br/>
 
죽상자는 대오리로 엮어 만드는데, 네모나거나 둥글다. 그 뚜껑은 바닥까지 덮어 땅에 닿거나 윗머리의 0.1척 정도만을 덮기도 한다. <br/>죽상자는 남쪽 지방과 죽주군(竹州郡)<ref>죽주군(竹州郡):지금의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일대.</ref>에서 생산되며, 여기에는 마른 과일이나 생과일을 저장할 수 있다.《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432~433쪽. </ref><br/>
 
==각주==
 
==각주==

2020년 11월 23일 (월) 17:22 기준 최신판

내용

12) 죽상자[竹箱]
죽상자는 대오리로 엮어 만드는데, 네모나거나 둥글다. 그 뚜껑은 바닥까지 덮어 땅에 닿거나 윗머리의 0.1척 정도만을 덮기도 한다.
죽상자는 남쪽 지방과 죽주군(竹州郡)[1]에서 생산되며, 여기에는 마른 과일이나 생과일을 저장할 수 있다.《금화경독기》[2]

각주

  1. 죽주군(竹州郡):지금의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일대.
  2.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432~4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