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주본지 만드는 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주본지(奏本紙)<ref>주본지(奏本紙):왕에게 올리는 글을 쓰는 종이.</ref> 만드는 법==
+
==내용==
 +
<strong>주본지(奏本紙)<ref>주본지(奏本紙):왕에게 올리는 글을 쓰는 종이.</ref> 만드는 법</strong><br/>
 
남방에서는 죽순이 소뿔처럼 생기게 자랄 때를
 
남방에서는 죽순이 소뿔처럼 생기게 자랄 때를
 
기다려 껍질째 베어낸 뒤, 마디마디를 자른다. 물에다 석회를 타서 통 속에 넣고 5〜6일이 지난 다음
 
기다려 껍질째 베어낸 뒤, 마디마디를 자른다. 물에다 석회를 타서 통 속에 넣고 5〜6일이 지난 다음
 
대광주리에 담고 삶아서 익힌다. 이어서 석회를 말끔히 씻어내고 문드러지도록 찧어 고운 포대(布帒)에
 
대광주리에 담고 삶아서 익힌다. 이어서 석회를 말끔히 씻어내고 문드러지도록 찧어 고운 포대(布帒)에
 
담은 다음 다시 씻어 낸 후, 활척(滑滌)<ref>활척(滑滌):닥풀을 가리킨 듯하다. 한지를 만들 때는 황촉규(黃蜀葵)의 뿌리즙을 사용하는데, 이를 ‘닥풀’이라고도 한다.</ref>즙 넣은 물과 섞어 만든다. 【안 활척은 풀 이름이다. 뿌리와
 
담은 다음 다시 씻어 낸 후, 활척(滑滌)<ref>활척(滑滌):닥풀을 가리킨 듯하다. 한지를 만들 때는 황촉규(黃蜀葵)의 뿌리즙을 사용하는데, 이를 ‘닥풀’이라고도 한다.</ref>즙 넣은 물과 섞어 만든다. 【안 활척은 풀 이름이다. 뿌리와
가지를 잘게 되도록 두드린 다음 이를 물에 담가서 그 물로 아교를 만든다.】 《청장관만록》<ref>출전 확인 안 됨;《五洲衍文長箋散稿》 〈人事篇〉 “器用類” ‘文具’.</ref><br/>
+
가지를 잘게 되도록 두드린 다음 이를 물에 담가서 그 물로 아교를 만든다.】 《청장관만록》<ref>출전 확인 안 됨;《五洲衍文長箋散稿》 〈人事篇〉 “器用類” ‘文具’.</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48~249쪽. </ref><br/><br/>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서재의 고상한 벗들(하)]][[분류:종이]][[분류:주본지 만드는 법]][[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김용미]]
+
==각주==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서재의 고상한 벗들(하)]][[분류:문방아제(하)]][[분류:종이]][[분류:주본지 만드는 법]][[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청장관만록]][[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0월 29일 (목) 11:36 판

내용

주본지(奏本紙)[1] 만드는 법
남방에서는 죽순이 소뿔처럼 생기게 자랄 때를 기다려 껍질째 베어낸 뒤, 마디마디를 자른다. 물에다 석회를 타서 통 속에 넣고 5〜6일이 지난 다음 대광주리에 담고 삶아서 익힌다. 이어서 석회를 말끔히 씻어내고 문드러지도록 찧어 고운 포대(布帒)에 담은 다음 다시 씻어 낸 후, 활척(滑滌)[2]즙 넣은 물과 섞어 만든다. 【안 활척은 풀 이름이다. 뿌리와 가지를 잘게 되도록 두드린 다음 이를 물에 담가서 그 물로 아교를 만든다.】 《청장관만록》[3][4]

각주

  1. 주본지(奏本紙):왕에게 올리는 글을 쓰는 종이.
  2. 활척(滑滌):닥풀을 가리킨 듯하다. 한지를 만들 때는 황촉규(黃蜀葵)의 뿌리즙을 사용하는데, 이를 ‘닥풀’이라고도 한다.
  3. 출전 확인 안 됨;《五洲衍文長箋散稿》 〈人事篇〉 “器用類” ‘文具’.
  4.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48~24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