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종이 두드리는 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종이 100장마다 1석으로 삼아 두드린다. 이때 | + | 종이 100장마다 1석으로 삼아 두드린다. 이때 말린 종이 10장 단위마다 물을 뿌려 축축해진 종이 1 |
− | + | 장을 그 위에 겹친다. 이와 같이 거듭 겹쳐서 올라가면 100장을 1타(垜, 더미)로 만들고, 평평하고 네모 | |
− | 장을 그 위에 겹친다. 이와 같이 거듭 겹쳐서 | + | 난 탁자 위에 놓는다. 다시 평평한 널빤지를 종이 더미 위에 두어 누르고 다시 큰 돌로 널빤지를 눌러놓 |
− | + | 는다. 24시간이 지나면 위아래의 습도가 모두 균일해질 것이다. 이어서 이 종이를 다듬잇돌 위에 올리 | |
− | 난 탁자 위에 놓는다. 다시 평평한 널빤지를 종이 | + | 고 200~300번 고루 두드리면 종이가 모두 튼실해진다.<br/> |
− | |||
− | 는다. 24시간이 지나면 위아래의 습도가 모두 | ||
− | |||
− | 고 200~300번 고루 두드리면 종이가 모두 | ||
− | |||
종이 100장을 두드린 다음에는 그 가운데에서 | 종이 100장을 두드린 다음에는 그 가운데에서 | ||
종이 50장을 햇볕을 쏘여 말린다. 그리고 바로 축축 | 종이 50장을 햇볕을 쏘여 말린다. 그리고 바로 축축 | ||
45번째 줄: | 40번째 줄: | ||
==각주== | ==각주==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서재의 고상한 벗들(하)]][[분류:종이]][[분류:종이 두드리는 법]][[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김용미]] |
2020년 9월 21일 (월) 17:14 판
내용
종이 100장마다 1석으로 삼아 두드린다. 이때 말린 종이 10장 단위마다 물을 뿌려 축축해진 종이 1
장을 그 위에 겹친다. 이와 같이 거듭 겹쳐서 올라가면 100장을 1타(垜, 더미)로 만들고, 평평하고 네모
난 탁자 위에 놓는다. 다시 평평한 널빤지를 종이 더미 위에 두어 누르고 다시 큰 돌로 널빤지를 눌러놓
는다. 24시간이 지나면 위아래의 습도가 모두 균일해질 것이다. 이어서 이 종이를 다듬잇돌 위에 올리
고 200~300번 고루 두드리면 종이가 모두 튼실해진다.
종이 100장을 두드린 다음에는 그 가운데에서
종이 50장을 햇볕을 쏘여 말린다. 그리고 바로 축축
한 종이 50장과 함께 마른 종이를 서로 교차하여 겹
쳐놓고서 다시 종이를 200~300번 고루 두드린다.
이 100장 중에서 위와 같이 다시 50장을 햇볕을 쏘
이고 마르면 또 마른 종이와 축축한 종이를 겹친다.
이와 같이 3~4번 하여 1장도 서로 달라붙지 않을 때까지 한다. 다시 5~7장씩을 한 차례 고루 두드려
서 아래로 내리고 기름종이처럼 광택이 나고 매끄러
워지고서야 그친다. 이 방법은 오로지 종이를 두드
린 뒤 들추어내어 마른 종이와 축축한 종이를 바꾸
는 기술에 달려 있기 때문에, 손으로 균등하게 다루
는 법에 힘써야 한다. 《거가필용》[1]
추백지(搥白紙)[2] 만드는 법:황규화(黃葵花)[3] 뿌
리를 찧어 즙을 내고, 물 1큰사발마다 이 즙을 1~2
술씩 넣고 고루 젓는다. 이 액체를 쓰면 종이가 달
라붙지 않고 매끄럽다. 하지만 만약 뿌리즙을 많이
쓰면 도리어 달라붙어 좋지 않다.
종이 10폭(장)을 겹쳐놓고는 맨 위의 1폭 종이에
축축하게 황규화 즙을 바른 다음 그 위에 다시 마른
종이 10폭을 더한다. 이런 식으로 겹친 종이가 100
폭이 되어도 지장이 없다. 종이가 두꺼우면 7~8장
마다 서로 간격을 두고, 얇으면 10장보다 많이 겹쳐
도 무방하다.
그 위에 두꺼운 널빤지나 돌로 종이를 눌러둔 다
음 하룻밤 지나 겹쳐둔 종이를 하나하나 들어내면
모두 습기가 배어들어 있을 것이다. 이때 종이가 축
축하면 햇볕에 말리고, 그렇지 않으면 돌 위에 평평하게 펼쳐 놓고 1,000여 번 망치로 두드린 다음 낱
장을 걷어내서 햇볕에 완전히 말린다. 그런 다음 다
시 종이를 겹쳐서 하룻밤 눌러 놓고 또 1,000여 번
두드려 광택이 나게 하되, 납전(蠟牋)[4]과 서로 비
슷해져야 비로소 빼어난 종이가 된다. 《쾌설당만
록》[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