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먼지떨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
6) 먼지떨이 [無塵子] <br>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46쪽.</ref>  
+
방용(方鎔)이라는 자가 천문산(天門山)에 은거하면서 종려 잎으로 책의 먼지를 떨면서 이를 ‘무진자(無塵子)’라 부르고, 달마다 술과 포로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ref>19 《雲仙雜記》에서 인용한 《高士春秋》에 나오는 고사이다. 《雲仙雜記》 卷1 “無塵子”.</ref> 이 ‘무진자’는 책의 먼지를 터는 도구일 뿐이다. 지금 사람들은 오목으로 자루를 만드는데, 길이는 겨우 0.8~0.9척이다. 그 끝부분을 꽃술 모양으로 만들고, 검은 비단[帛]과 누런 주(紬)를 각각 0.7척씩 서로 겹치게 접어 꽃술 끝부분에 씌운 다음 실로 묶는다. 이를 그대로 뒤집어서 털면 2폭의 주(紬)와 비단[帛]이 사방으로 늘어진다. 관이나 건 위의 먼지나 때를 떨어내는 데 쓰고 책상이나 책 등에 쌓인 먼지를 터는 도구로도 두루 쓸 수 있어서 무진자라 부른다.《금화경독기》
 +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58~259쪽.</ref>  
  
  

2020년 12월 1일 (화) 17:18 기준 최신판

내용

6) 먼지떨이 [無塵子]
방용(方鎔)이라는 자가 천문산(天門山)에 은거하면서 종려 잎으로 책의 먼지를 떨면서 이를 ‘무진자(無塵子)’라 부르고, 달마다 술과 포로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1] 이 ‘무진자’는 책의 먼지를 터는 도구일 뿐이다. 지금 사람들은 오목으로 자루를 만드는데, 길이는 겨우 0.8~0.9척이다. 그 끝부분을 꽃술 모양으로 만들고, 검은 비단[帛]과 누런 주(紬)를 각각 0.7척씩 서로 겹치게 접어 꽃술 끝부분에 씌운 다음 실로 묶는다. 이를 그대로 뒤집어서 털면 2폭의 주(紬)와 비단[帛]이 사방으로 늘어진다. 관이나 건 위의 먼지나 때를 떨어내는 데 쓰고 책상이나 책 등에 쌓인 먼지를 터는 도구로도 두루 쓸 수 있어서 무진자라 부른다.《금화경독기》 [2]


각주

  1. 19 《雲仙雜記》에서 인용한 《高士春秋》에 나오는 고사이다. 《雲仙雜記》 卷1 “無塵子”.
  2.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58~25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