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죽지 만드는 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57번째 줄: 57번째 줄:
 
는 발틀을 이용한다. 두 손으로 발틀을 잡아 물 속에 넣고 휘저으면서 대나무 섬유를 떠올려 섬유가
 
는 발틀을 이용한다. 두 손으로 발틀을 잡아 물 속에 넣고 휘저으면서 대나무 섬유를 떠올려 섬유가
 
발 속으로 들어오게 한다.<br/>
 
발 속으로 들어오게 한다.<br/>
[[파일:대나무 섬유를 발틀로 뜨기(《천공개물》).jpg|200픽셀|섬네일|대나무 섬유를 발틀로 뜨기(《천공개물》)|왼쪽]]  
+
[[파일:대나무 섬유를 발틀로 뜨기.jpg|200픽셀|섬네일|대나무 섬유를 발틀로 뜨기(《천공개물》)|왼쪽]]  
 
[[파일:발을 뒤집어 종이를 쌓고 누르기.jpg|200픽셀|섬네일|발[簾]을 뒤집어 종이를 쌓고 누르기(《천공개물》)|가운데]]
 
[[파일:발을 뒤집어 종이를 쌓고 누르기.jpg|200픽셀|섬네일|발[簾]을 뒤집어 종이를 쌓고 누르기(《천공개물》)|가운데]]
 
종이의 두께는 사람의 손 놀리는 법에 달려 있으
 
종이의 두께는 사람의 손 놀리는 법에 달려 있으

2020년 9월 17일 (목) 17:44 판

일반적으로 죽지를 제조하는 일은 남방에서 나 타났으나 오로지 복건성(福建省)[1]에서만 단독으로 성행하고 있다. 죽순이 돋은 후가 되어 산골짜기의 깊고 얕은 곳을 살펴보았을 때, 대나무 중에 가지와 잎이 막 돋아나는 대나무가 가장 좋은 원료이다. 절 기가 망종(양력 6월 6일경)이 되면 산에 올라가 대나무 를 벤다. 대나무를 5〜7척 길이로 자른 뒤, 그 산에 만들어 놓은 연못 한 곳으로 가서 물을 채우고 그 안에 자른 대나무를 담궈 둔다. 연못물이 마를 때 가 있을까 염려되면 대나무로 만든 홈통을 연결하 여 쉴 새 없이 물을 끌어넣어야 한다.

대나무를 잘라 연못에 담그기(《천공개물(天工開物)》)











대나무를 담근 지 100일이 지나면, 두드려 씻는 공정을 더하여 죽순을 싸고 있던 거친 껍질과 줄기 의 푸른 껍질을 씻어 버린다 【이를 ‘살청(殺靑)’이라 한 다】. 이렇게 하면 그 가운데의 대나무 줄기 모양은 모시풀 모양과 같다. 질이 좋은 석회를 물에 섞어 진흙처럼 만든 다음 황통(楻桶)[2]에 넣고 삶는데, 불 을 8주야(晝夜) 동안을 기준으로 지핀다. 일반적으로 대나무를 삶을 때 불을 때는 아래의 가마는 지름 4척짜리를 쓰는데, 가마 위는 진흙과 석회를 반죽하여 가장자리를 봉한다. 높이와 너비 는 광동 지역에서 소금 끓이는 뇌분(牢盆)[3]의 그것 들과 같고, 안에는 10섬 남짓의 물을 넣을 수 있다. 가마 위는 황통으로 덮는데 그 둘레는 15척, 지름은 4척 남짓이다. 대를 가마에 넣고 단단히 덮은 후 8 일 동안 충분히 삶는다.

황통에 넣고 충분히 삶기(《천공개물》)
뇌분(《천공개물》)





불을 끄고 하루가 지나면 통을 들고 대나무 섬 유를 꺼내어 맑은 물을 채운 연못에 넣어 깨끗이 씻 는다. 연못의 바닥과 사면은 모두 목판으로 잘 맞춰 봉해서 오물로 더럽혀지지 않도록 한다 【거친 종이 를 만들 때는 이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 대나무 섬유를 깨끗이 씻고 나면 나무의 잿물에 담궜다가 다시 가마에 넣고, 위를 판판하게 해 두고 그 위에 볏짚의 재를 0.1척 정도 두께로 고르게 깐 다. 통 안의 물이 끓어오르면 다른 통 속으로 옮겨 넣고, 이어서 잿물을 부어 넣는다. 잿물이 식으면 끓여서 다시 부어 넣는다. 이렇게 10여 일이 지나면 대나무 섬유는 자연히 썩어서 냄새를 풍긴다. 그러면 꺼내어 절구통에 넣 어 찧는다 【산간 지역에는 모두 물방아가 있다】. 대 나무 섬유를 찧어서 모양이 진흙반죽 같이 되면 종 이를 뜨는 지통(紙桶)에 쏟아 넣는다. 일반적으로 종 이를 뜨는 지통의 위쪽 모양은 네모진 말박과 같으 며, 그 크기의 치수는 그 속에서 종이를 뜨는 발의 크기를 고려하여 넉넉하게 정하고, 발은 또 종이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한다. 대나무 섬유가 만들어졌으면 지통 안에 맑은 물 을 넣어 수면(水面)을 대나무 섬유보다 0.3척 정도 높 게 한다. 지약즙(紙藥汁, 닥풀)을 그 안에 넣으면 【지 약(紙藥)의 모양은 도죽(桃竹)[4]의 잎과 같고 방언은 정해진 이름이 없다】, 떠낸 종이가 마른 후에는 저 절로 희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뜨는 발은 가늘 게 잘라 다듬은 대오리를 엮어 만든다. 발을 말아 올리거나 펼칠 때는 그 밑에 가로세로의 격자가 있 는 발틀을 이용한다. 두 손으로 발틀을 잡아 물 속에 넣고 휘저으면서 대나무 섬유를 떠올려 섬유가 발 속으로 들어오게 한다.

파일:대나무 섬유를 발틀로 뜨기.jpg
대나무 섬유를 발틀로 뜨기(《천공개물》)
발[簾]을 뒤집어 종이를 쌓고 누르기(《천공개물》)

종이의 두께는 사람의 손 놀리는 법에 달려 있으 니, 조금 휘저으면 섬유가 발틀로 적게 들어와서 종 이가 얇고, 많이 휘저으면 많이 들어와서 두껍게 된 다. 대나무 섬유물이 발틀에 떠 있을 때에 발틀을 사방으로 기울이면서 물을 지통으로 흘려보낸다.[5]그런 다음에 발을 뒤집어 종이를 널빤지 위에 떼어 놓아 몇천 장이 되도록 첩첩이 쌓아 올린다. 수량이 차면 그 위를 널빤지로 누르고 줄을 종이 높이와 비슷한 높이로 묶은 다음 밧줄에 막대를 끼 운 뒤, 술 짜는 방법처럼 수분을 말끔히 짜내어 말 린다. 다음에 가볍고 가는 구리 족집게로 종이를 한 장씩 들어올려 불에 쬐어 말린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불에 쬐어 말리려면 먼저 흙 벽돌을 쌓아 좁은 갱도를 내고, 갱도의 바닥을 벽돌 로 덮는다. 갱도 바닥은 벽돌 몇 장마다 벽돌 한 장 씩의 공간을 비워 둔다. 장작을 때면 아궁이에서 타 기 시작해서 불기운은 벽돌 틈을 통하여 갱도 밖으 로 빠져나온다. 벽돌이 충분히 데워지면 젖은 종이 를 한 장씩 담 위에다 붙여 말린 다음 떼어내서 한 질(帙)을 만든다.

불에 달군 흙벽돌에 종이를 쬐어 말리기(《천공개물》)

근래의 폭이 넓은 종이를 ‘대사련(大四連)[6]’이라 하는데, 한때 글 쓰는 데 귀중한 역할을 한다. 다 쓴 폐지는 붉은색과 먹색 및 오염된 것을 씻어내고, 물 에 잘 담궈 불려서 지통에 넣고 재생시킨다. 이렇게 하면 삶아서 담궈 두는 앞 단계의 공정을 생략하여 도 전과 다름없이 종이를 만들 수 있으며, 손실되는 양도 많지 않다. 그러나 대가 흔한 남방 지역에서는 이런 일을 하 지 않는다. 북방에서는 한 마디나 한 조각의 종이 부스러기라도 땅에 떨어져 있으면 바로 주워서 종이 를 재생시키는데, 이런 종이를 ‘환혼지(還魂紙, 생명이 돌아온 종이)’라 한다. 재료가 대나무이든 다른 나무이 든, 섬유의 재질이 정밀하든 거칠든 간에 모두 같은 방법으로 재생한다. 화지(火紙)나 거친 종이 등도 대나무를 자르고 삶 아서 대나무 섬유를 얻고, 석회를 물과 섞어 부어넣 는 것은 이전의 방법과 같다. 단지 종이를 발에서 떼 어 낸 뒤에 이를 불에 말리지 않고, 눌러서 물기를 빼고, 햇볕을 쬐어 말릴 뿐이다. 당(唐)나라 때는 귀신을 섬기는 제사가 빈번하여 지전(紙錢)으로 비단 태우는 의식을 대신했으며 【북 방에서는 잘게 자른 종이를 썼는데, 이를 ‘판전(板錢)’ 이라 한다.】, 이 때문에 이렇게 만들어진 종이를 ‘화지(火紙)’라 불렀다. 그중에서 가장 거칠고 두꺼운 종이를 ‘포과지(包裹紙, 포장지)’라 부르는데, 이 종이는 대나무 섬유와 해를 걸러 재배한 늦벼의 짚을 섞어 만든 것이다. 강서성(江西省)[7] 연산현(鉛山縣)의 여러 고을에서 나는 편지지[柬紙] 같은 종이들은 모두 가느다란 대 나무 원료를 두껍게 떠서 만든 것으로, 비싼 값을 요구한다. 그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은 관간지(官柬紙) 로, 부귀한 집에서는 명함으로 사용한다. 이런 종이 는 두툼하면서도 거친 섬유질이 없다. 홍색(紅色)으 로 물들여 길사(吉事)에 쓰는 길첩(吉帖)으로 만들 때 면 우선 백반물에 물들인 다음 홍화즙(紅花汁)을 더 한다고 한다. 《천공개물(天工開物)[8][9]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송전에 물들이는 법

  1. 복건성(福建省):중국의 남동부, 대만(臺灣) 해협에 면하는 성(省). 민(閩) 종족이 주로 절강성(浙江省) 남 부와 복건성 일대에서 살았으므로, 복건성을 민성(閩省)이라고도 한다.
  2. 황통(楻桶):종이의 재료인 나무나 삼 등을 삶는 통.
  3. 뇌분(牢盆):소금 끓이는 가마.
  4. 도죽(桃竹):대나무의 일종. 질이 견고해서 화살·지팡이·발·멍석 등을 만드는 데 좋은 재료이다.
  5. 대나무……흘려보낸다:발틀로 대나무 섬유가 섞인 물이 들어오게 한 뒤, 발틀을 다시 기울여 물의 일부를 좌우로 흔들면서 지통으로 흘려보내는 과정을 말한다. 이때 대나무 섬유가 발틀에 조금씩 쌓이게 된다. 이 과정을 몇 차례 반복하느냐에 따라 종이의 두께가 결정된다.
  6. 대사련(大四連):중국 원(元)·명(明)대에 생산된 종이로, 대나무로 만들었으며 폭이 넓고 질겨서 공문서용 으로 공급되었기 때문에 공독지(公牘紙)라고도 한다.
  7. 강서성(江西省):중국 중남부 양자강(揚子江) 남쪽에 있는 성.
  8. 천공개물(天工開物):중국 명나라 말기의 학자 송응성(宋應星, 1587~1648?)이 지은 경험론적 산업기술 서. 1637년 간행. 방적(紡績)·제지(製紙)·조선(造船)·야금(冶金) 등 여러 가지 제조기술을 그림을 곁들여 해설하고 있다.
  9. 《天工開物》 〈殺青第十三〉 “造竹紙”, 325〜3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