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C:귀막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 번역_주석 ||  임원경제지-섬용지 ||  ||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PSS: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PST: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T0003
 
| 번역_주석 ||  임원경제지-섬용지 ||  ||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PSS: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PST: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T0003
 
|}
 
|}
 +
 +
==Network Graph==
 +
 +
<html>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pungseok&project=ps2020&key=PSC:귀막이'></iframe><br/>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pungseok&project=ps2020&key=PSC:귀막이"'/>
 +
</html>
  
 
[[분류:임원경제_데이터_모델]] [[분류:PSC:임원경제_사전]] [[분류:PSC:임원경제_사전:Object]]  [[분류:김현]]
 
[[분류:임원경제_데이터_모델]] [[분류:PSC:임원경제_사전]] [[분류:PSC:임원경제_사전:Object]]  [[분류:김현]]

2020년 8월 30일 (일) 04:02 판

Definition

고대 최고 등급의 관모인 면관(冕冠)의 부속품이다. 면관에 달린 끈의 끝에 솜을 동그랗게 말아 매달다가 후에 그 재료가 옥 등으로 바뀐다. 면관의 양옆에 늘어뜨려 둥근 부분이 귓가에 이르게 하고, 이를 통해 ‘귀를 막는다[充耳]’는 뜻을 형상화한다. 귀막이는 면관을 쓴 사람이 바르지 못한 말을 듣지 않도록[止聽] 하는 것을 상징하고, 나아가 지도자가 아랫사람의 잘못을 들어도 못 들은 척하는 덕(德)을 함양해야 함을 상징한다.(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36~39쪽) 즉 호구(狐裘)나 귀막이가 달린 면관은 농부 등의 평민이 착용할 수 있는 복식이 아니기 때문에 본문에서 이들 물품과 동등하게 나열되는 립이 단지 농부의 복장만은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PSC:귀막이 Object 복식 귀막이(充耳) 귀막이 充耳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title=PSC:귀막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번역_주석 임원경제지-섬용지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PSS: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PST: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T0003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