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수송 기구:배 제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의 배 건조법:세로로는 길고 가로로는 짧 은 널빤지를 쓰되, 널빤지를 거울처럼 평평하게 대패질하...)
 
(내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의 지붕 없는 작은 배라도 반드시 마루처럼 가로
 
의 지붕 없는 작은 배라도 반드시 마루처럼 가로
 
널빤지가 있다.《북학의》<ref>《北學議》 <內編> “船”(《農書》 6, 97쪽).</ref></br></br>
 
널빤지가 있다.《북학의》<ref>《北學議》 <內編> “船”(《農書》 6, 97쪽).</ref></br></br>
 +
 +
 +
'''2) 우리나라의 제도'''</br>
 +
우리나라는 이미 수레의 이로움을 버린데다 배도 온전히 활용하지 못한다. 운반선이든 나룻 배든 관계없이 배 틈으로 들어오는 물이 늘 가득 차서 배 안의 정강이가 마치 내를 건너는 듯 축축하다. 배 속의 물을 퍼서 버리는 데에 날마다한 사람의 힘을 낭비해야 한다. 곡식을 실을 때면 반드시 엮은 나무를 그 바닥에 깔지만 아래쪽에 있는 곡식은 여전히 썩거나 눅눅해질 일이 걱정 된다. 또 위는 누마루 구조이고 아래는 창고 구조인 배의 제도가 없어 사람이나 집기는 뱃전[舷]<ref>뱃전[舷]:배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 뱃전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파일:뱃전.png|300픽셀]]</ref>까지 채우고 말아야 하며, 곡식은 볏짚으로 싸고 자루들은 새끼줄로 동여매니 1곡만 실어도 꼭 2곡을 실은 듯하다. 간혹 뜸이 있어도 폭이 매우 짧으니 비만 오면 배가 비 담는 그릇이 된다.</br>
 +
또 선착장에는 다리를 설치하지 않아서 따로 옷을 벗은 사람들 한 무리가 물에 들어가 품삯을 받고 짐을 진다. 나룻배에는 또한 사람을 업고서 올라가고 말을 펄쩍 뛰게 하여 들어가도록 하기도 한다. 뱃전이 이미 문지방 같아서 다리를 설치 해도 될 정도의 높이에서 말이 문지방처럼 깊은 뱃속으로 뛰니, 다리가 부러지지 않을 말이 몇 마리나 되겠는가. 그러므로 말을 살 때 배를 잘 타는 말이니 배를 잘 못타는 말이니 하는 명칭이 있는 이유는 뱃전에 가로 널빤지가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북학의》<ref>《北學議》 <內編> “船”(《農書》 6, 97쪽).</ref><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3,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141~143쪽.</ref></br></br>
 +
 +
==각주==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Object]][[분류:수송기구]][[분류:운송기구]][[분류:임원경제지]][[분류:섬용지]][[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배]][[분류:농서]][[분류:북학의]][[분류:김광명]][[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1월 2일 (월) 14:37 기준 최신판

내용

1) 중국의 제도
중국의 배 건조법:세로로는 길고 가로로는 짧 은 널빤지를 쓰되, 널빤지를 거울처럼 평평하게 대패질하고 겹쳐서 만든다. 잇댄 틈은 유회(油 灰), 역청을 발라 들러붙게 한다.【안 중국에서 배 를 수리할 때는 모두 유동기름에 석회를 타서 사 용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그 방법을 본뜨고 자 한다면 먼저 들깨나 유동을 심어서 기름을 채 취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곡식을 실을 때 모두 배 안에 그대로 부은 뒤 가로 널빤지로 덮으면 아래가 창고가 된다. 위는 사람이 있는 곳인데, 모두 판옥(板屋)이거나 층루(層樓)로 되어 있으 며 누 위에도 물건을 실을 수 있다. 비록 나루터 의 지붕 없는 작은 배라도 반드시 마루처럼 가로 널빤지가 있다.《북학의》[1]


2) 우리나라의 제도
우리나라는 이미 수레의 이로움을 버린데다 배도 온전히 활용하지 못한다. 운반선이든 나룻 배든 관계없이 배 틈으로 들어오는 물이 늘 가득 차서 배 안의 정강이가 마치 내를 건너는 듯 축축하다. 배 속의 물을 퍼서 버리는 데에 날마다한 사람의 힘을 낭비해야 한다. 곡식을 실을 때면 반드시 엮은 나무를 그 바닥에 깔지만 아래쪽에 있는 곡식은 여전히 썩거나 눅눅해질 일이 걱정 된다. 또 위는 누마루 구조이고 아래는 창고 구조인 배의 제도가 없어 사람이나 집기는 뱃전[舷][2]까지 채우고 말아야 하며, 곡식은 볏짚으로 싸고 자루들은 새끼줄로 동여매니 1곡만 실어도 꼭 2곡을 실은 듯하다. 간혹 뜸이 있어도 폭이 매우 짧으니 비만 오면 배가 비 담는 그릇이 된다.
또 선착장에는 다리를 설치하지 않아서 따로 옷을 벗은 사람들 한 무리가 물에 들어가 품삯을 받고 짐을 진다. 나룻배에는 또한 사람을 업고서 올라가고 말을 펄쩍 뛰게 하여 들어가도록 하기도 한다. 뱃전이 이미 문지방 같아서 다리를 설치 해도 될 정도의 높이에서 말이 문지방처럼 깊은 뱃속으로 뛰니, 다리가 부러지지 않을 말이 몇 마리나 되겠는가. 그러므로 말을 살 때 배를 잘 타는 말이니 배를 잘 못타는 말이니 하는 명칭이 있는 이유는 뱃전에 가로 널빤지가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북학의》[3][4]

각주

  1. 《北學議》 <內編> “船”(《農書》 6, 97쪽).
  2. 뱃전[舷]:배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 뱃전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뱃전.png
  3. 《北學議》 <內編> “船”(《農書》 6, 97쪽).
  4.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3,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141~143쪽.